악어의 맛 온우주 단편선 5
이서영 지음 / 온우주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줄거리 。。。。。。。

     총 아홉 편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이 작품들이 흥미롭다. 인간의 마음을 읽는 고양이(‘밥줄을 지켜라’), 좀비(‘종의 기원’), 거대한 악어를 사랑한 두 꼽추 자매의 이야기(‘악어의 맛’), 오로지 아이를 낳는 것이 목표가 된 가상의 시설(‘히스테리아 선언’), 시간 이동을 하는 남자와 여자(‘사형집행일’), 그리고 초능력을 가진 노인들(‘노병들’) 등 일명 장르소설로 분류되는 소재들이 잔뜩 등장한다.

 

     좀 더 평범한사람들이 등장하는 작품들(‘로보를 위하여’, ‘성문 너머 코끼리’, ‘너의 낡은 캐주얼화’)도 있는데, 그 중 한 편인 성문 너머 코끼리의 경우는 역시 살짝 환상문학의 느낌이 난다.

 

     ​각각의 작품들 뒤에는 작가 자신이 직접 쓴, 작품에 대한 코멘트가 달려 있다. 이 작품은 어디에서 영감을 얻어 쓴 것이고, 무엇을 가리키는 것인지 등.


    

2. 감상평 。。。。。。。

     스스로를 소설 쓰는 사회주의자로 부르는 여류 작가가 쓴 소설이다. 1987년에 태어났다니 이제 우리나이로 서른인데, 이 책이 2013년에 나왔음을 생각해 보면, 작품들은 20대 초중반 즈음에 썼던 것으로 보인다. 젊은 나이였고, 젊은 감각이 톡톡 튀는 단편들이다. 지나치게 빙빙 돌리는 것도 없고, 주제가 무엇인지는 대개 분명하게 드러난다.(뭐 작가 자신이 이건 뭐다 라고 쓰기까지 했으니까) 이 부분은 작품을 좀 더 넓게 이해하는 걸 막는 작가의 오버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뭐 자신이 쓴 이야기가 다른 식으로 읽히는 게 싫었을 수도 있지. 젊으니까 그 정도의 직진성은 이해해 두자.

 

 

     그런데 작품들이 상당히 그로테스크한 느낌을 준다. 좀비를 주인공으로 한 종의 기원도 그렇고 거대한 악어와 꼽추 자매가 등장하는 악어의 맛이나, 대규모의 출산 수용소(라지만 꽤나 대접이 좋은 곳이다)를 다룬 히스테리아 선언등도 비슷한 분위기다. 뭘 말하려는 건지는 알겠는데 지나치게 어둡고 괴기스러운 면도 보여서, 침대에 누워 편하게 읽으려고 했던 애초의 목적 달성에 실패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야기가 아주 읽을 맛이 안 났던 건 아니다. 요새는 좀 게을러졌는지, 읽다가 영 마음에 들지 않는다 싶으면 주저 없이 덮어버린다. 하지만 이 책은 그래도 끝까지 읽도록 만들 정도로 재미가 있다. 가장 재미있게 읽은 이야기는 마지막에 실려 있는 노병들이었다.

 

 

     책은 전체적으로 소수자들, 억압받은 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기에서 소설 쓰는 사회주의자의 진가가 드러난다. 작가는 노동자들을 좀비로 표현하고, 쫓겨나는 노점상들을 고양이의 눈으로 관찰한다. 서로 다른 이야기들이다 보니 한 번에 통째로 설명하기가 좀 어렵긴 하지만, 자칫 어려울 수 있는 주제를 흥미롭게 풀어내는데 재능이 있어 보인다.

 

     좀 더 호흡이 긴, 장편을 써 보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든다. 물론 단편과 장편 사이에는 분량 이상의 큰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이 정도의 글쓰기라면 읽어볼 만한 작품이 나올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