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자신의 실수로 잃어버린 여동생이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다시 나타났을 때, 서진(김무열)은 마냥 기뻐 보이지만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너무 오랜만에 만난 가족이니까. 처음부터 조금은 의심스러운 눈으로 상대를 바라보는 그 눈빛은, 최근 아내를 잃은 사고 때문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주인공 서진과는 사뭇 다른 나머지 가족들의 열렬한 환대는 오히려 묘한 긴장감을 형성한다.

 

     부모님을 친절하게 모시고, 자신의 딸도 금세 마음을 열게 만드는 유진(송지효)의 등장은 분명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감독은 자연스럽게 서진의 시선을 따라 그녀를 의심스럽게 쳐다보도록 만든다. 좀처럼 잡히지 않던 실마리가 조금씩 풀려가면서 뭔가 거대한 음모의 그림자를 살짝 비춰주는 감독의 기술은 인상적이다. 마치 작년에 개봉했던 어스2017년에 개봉한 겟 아웃같은, 제대로 된 스릴러를 보게 되는구나 싶은 느낌도 살짝 들었다.

 

     ​하지만 스릴은 음모의 그림자가 가장 커질 때 최고에 달했다가, 그 그림자를 만들어 낸 원래 실체가 드러나는 순간 급속히 곤두박질친다. 인물들의 행동에서 당위성이 사라지고, 억지만 남는 느낌이랄까. 무슨 대단한 사회적 메시지까지 담아달라고 요구하는 것도 아니다. 그냥 긴장감을 잘 유지하다가 결정적인 순간에 터뜨려달라는 건데, 그게 그렇게 어렵나...

 

 

 

 

     영화는 집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주인공의 직업은 집을 설계하는 설계사이고, 오랜만에 찾은 여동생은 바로 주인공의 으로 들어온다. 주인공이 살고 있는 집은 언젠가 잃어버린 동생과 함께 살기 위해 그가 직접 설계한 것이었지만, 정작 일에 빠져 있는 그는 집에 가족들과 함께 머물 시간이 없었다. 어느 순간 그의 이 사라져 버린 셈이었다.

 

      집은 우리에게 가장 편하고 안전한 공간이어야 하지만, 최근 우리는 그렇지 않은 상황을 많이 마주한다. 영화 속처럼 위험하고 수상한 인물이 집 안으로 들어오는 일도 있고, 스토킹이 이루어지거나 엿보기의 장이 되기도 한다.(물론 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집과 관련된 공포는 아예 그게 없다는 점일 테지만) 집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장치가 망가지면서, 영화 속 주인공은 훨씬 더 위험하게 느껴진다.

 

     내 집이 안전하지 못한 공간이 되는 순간, 뭔가 할 수 있는 일은 극히 적어진다. 누구도 끊임없이 싸우러 다닐 수만은 없으니까.(우리에게는 쉴 곳이 필요하다!) 이전에 내 편이라고 생각했던 가족과 친구마저 나를 부정하고, 가장 가까운 공권력인 경찰도 나를 지켜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무엇을 할 수 있겠는가.

 

 

 

 

     몸만이 아니라 우리의 정신도, 마음도 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물론 집은 이 둘 모두를 쉴 수 있게 해 주는 곳이어야 한다) 어쩌면 이쪽이야 말로 좀 더 좀 더 중요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우리의 집은 이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