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들만 3천 만 명이 넘는 사상자를 남긴 인류 최악의 전쟁인 1차 세계대전. 이 전쟁에서는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새로운 전술들이 나타났는데, 그 중 하나가 참호전이었다. 물론 참호 자체야 이전에도 있었지만, 그것이 이 정도도 대대적으로 구축되고 오랫동안 그것을 발판으로 공방전을 벌인 것은 이 때가 처음이었다.

 

     이 영화 ‘1917’1차세계대전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던 1917(전쟁은 이듬해인 1918년에 끝났다), 참호전이 한창이던 독일군 서부전선(프랑스 지역이었다)을 배경으로 한다. 전투를 벌이고 있던 영국국 소속의 스코필드(조지 맥케이)와 그의 친구 블레이크(-찰스 채프먼)가 통신이 끊어진 채 독일군의 함정으로 돌격하려는 부대에 사령관의 공격중지 명령서를 전달하러 가는 하루 동안의 여정을 그리는 작품.

 

 

 

 

     최근에 1차세계대전이 일어나게 된 경과에 대한 두꺼운 분석서(몽유병자들, 1,000페이지가 넘는다)를 읽고 있는 중이라 자연스럽게 영화에 관심이 생겼다. 물론 학술적 분석을 담고 있는 책과 한 개인적 용기를 그리고 있는 영화는 그 성격이나 양상이 많이 다르긴 했다. 전쟁이라는 극한의 상황 속에서 자신이 맡은 임무를 완수하려는 책임감과 적들이 몰려 있는 지역을 홀로 돌파해 나가는 용기를 그리는 영화 쪽이 훨씬 몰입감은 있었다.

 

     실감나는 세트와 전쟁 장면이 인상적이다. 특히 영화 전반부에서 가장 눈에 띈 참호씬은 압권이다. 진창과 시신들을 먹이삼아 모여든 쥐 떼들이 넘쳐나, 참호열이라는 전염병이 창궐할 정도로 비위생적이었던 당시 참호에서의 전투가 어떤 식으로 이루어졌을지 그 느낌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영화정보 프로그램에 따르면 약 1.6km 정도의 참호를 실제로 제작했다고 한다.)

 

     ​단지 배경만이 아니라, 그 안에서 움직이는 인물들도 실감난다. 영화 후반, 적진을 향해 돌격하기 직전의 부대 분위기와 부대전술, 또 전선 투입을 앞두고 모두 숲 속에 둘러 앉아 한 병사의 노래를 듣는 모습도 인상적이고. 여기에 지켜보는 사람도 없는 데 두 병사가 보여주는 개인전술에 기초한 움직임도 아는 사람은 눈에 들어왔을 듯(엄폐물을 찾고, 포복하고, 약진 등등).

 

 

 

 

     용기나 책임감 같은 덕목은 오늘날 점점 약화되어 가는 것 같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다. 언제나 사람들이 과거를 더 이상적으로 묘사하는 것도 사실이긴 하지만,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전염병 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라는 와중에서도 몸 좀 풀겠다며 클럽에 몰려드는 사람들이나, 얼토당토않은 선동에 휩쓸려 여전히 광장에 모여 가짜뉴스를 골백번 외쳐대는 이들을 보면 책임감, 연대의식 같은 게 있기는 한 건가 싶기도 하다.

 

     전염병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전 세계에, 이런 덕목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생각하게 된다. 개인의 자유가 더 중요하다며 자신은 계속 밖에 나가서 활동할거라는 미국의 한 여배우의 트윗이나, 영업중단 행정조치가 내려지기 직전 다들 쏟아져 나와 파티를 벌였더라는 유럽의 어느 나라 사람들을 보면 더더욱. 프랑스 혁명기 오합지졸이었던 혁명군이 이런 모양이었을까.

 

     하지만 또, 같은 시간, 다른 자리에서는 기꺼이 자신의 시간과 돈을 들여가며 더 어려운 이들을 돕기 위해 나선 사람들도 분명 존재한다. 대구의 다양한 자리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의료진들이나, 도시락과 마스크를 보내는 시민들을 보면 여전히 희망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어쩌면 사회를 유지시키는 건 이런 책임감과 용기를 지닌 사람들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