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브로커라는 직업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자본주의의 뒤편에 숨어있는 문제점들을 드러내는 주제의식은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에서 봤던 기억이 있다. 그 수위의 노골적임은 역시나 미국 쪽이 훨씬 더 강렬했고, 이 영화 은 딱 그냥 즐길 수 있을 정도의 가벼운 터치와 문제의식이 담겨 있는 오락영화 쪽이다.(디카프리오 주연의 그 영화는 시종일관 퇴폐적인 분위기와 우울함이 짙게 배어있었다)

 


 

     상장된 회사의 코드를 모두 암기할 정도로 좋은 기억력을 가진 주인공 일현(류준열)이었지만, 첫 출근 후 수입은 바닥에 머물렀다. 개인 투자자를 상대로 하는 주식 브로커라는 직업이 어느 정도 인맥이 있어야 하는데, 신입사원에게 그런 게 있을리 만무했으니까. 그러던 중 회사 선배의 소개로 은밀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거물 작전세력의 설계자 번호표(유지태)’를 만나게 되고, 이른바 작전에 끼어들어 거액을 벌게 된다는 이야기.

     그런데 이야기가 여기서 끝나면 섭섭할 테고, 처음엔 돈을 좀 만지면서 여자친구도 동료도 내팽개치며 신나하던 그가 각성하게 된 것은 자신처럼 번호표의 하수인 역할을 하다 빠져나오지 못하고 제거되어 버린 선배들의 모습을 보면서부터다. 언젠가 자신도 그런 꼴이 될 거라고 생각했는지, 작전세력을 추적하던 금감원 팀장(?) 한지철(조우진)에게 협력하기 시작한다는 내용.

      영화가 좀 지루하게 느껴졌는데, 인물들이 그다지 생동감이 없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주인공을 맡은 류준열은 요새 너무 나온다 싶을 정도로 많은 작품들에 출연하는데, 신스틸러의 면모를 드러냈던 초기와 달리, 천편일률적이라는 느낌이 살짝 들기도 하다. 어떤 상황에서나 평점심(?)을 보이는 듯하달까.(배우에게 이게 칭찬일지) 영화 속 최종 빌런이었던 유지태는 그다지 위협적으로 보이지 않았고(이건 감독이 번호표의 폭력성을 좀 덜 잔인하게 표현했기 때문이고), 사실 애초부터 나 같은 평범한 사람이 실감하기엔 오가는 단위가 너무 크기도 했고 말이다. 인물이나 전개나, 그냥 모든 게 적당 적당했던 영화랄까.

   

 

      영화는 우리 안 깊은 곳에 있는 욕망을 다룬다. , 재물에 관한 욕망이다. 평범한 증권회사 직원이 수억에 달하는 엄청난 금액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자, 그는 별 고민 없이 일에 뛰어든다. 돈이라는 게 누군가 벌면 누군가는 잃어야 하는 건데, (특히 그것이 뭔가를 만들어 제공해서 번 대가가 아니라, 일종의 도박적 성격을 띠고 있는 주식시장에서, 그것도 가치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단타 매매를 통해 얻은 것이라면 더더욱) 쉽게 말하면 누군가의 돈을 빼앗으면서도 고민을 하지 않을 정도로 무감각한 인물이었던 것.

     흥미로운 부분은 그런 그의 무감각함을 깨운 것이 어떤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원칙을 마주했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자신도 다른 사람들처럼 생명의 위협을 느낄지 모른다는 생존본능의 덕분이었다는 점이다.(사실 그는 처음부터 끝까지 윤리적인 행동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인물이었다) 돈을 위해 다른 사람을 해치는 것이 옳지 못하기 때문에 번호표와의 관계를 끊는 것이 아니라, 나도 그렇게 해를 당할지 모르기 때문에 번호표를 쓰러뜨려야겠다는 생각은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가.


 

     챙길 것은 다 챙기면서 위협이 되었던 인물마저 처리하고 돌아가는 조일현의 모습에 씁쓸한 뒷맛이 남는 건 이 때문이다. 영화 속 주요인물 중에서 유일하게 윤리적인 판단을 유지하기 위해 애썼던 한지철이 좀 더 부각되었더라면 어땠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