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이 동물원
켄 리우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8년 12월
평점 :
또 나만 모르고 있었던 거지, 켄 리우의 『종이 동물원』. 좋다는 이야기는 어렴풋이 들었던 것 같은데 신경을 안 쓰고 있었던 거지. 딴 데 정신이 팔려서. 오랜만에 누군가에게 나의 근황을 들려줄 기회가 생겼다. 딱히 궁금해하는 것 같지는 않았지만 방언 터지듯 말이 나왔다. 요즘은. 그래. 그러니까. 계속 누워 있어. 누워서 고민만 하고 있지. 그러다가 책 읽고 그러다가 잠들고. 엄마도 그랬는데. 정작 실행은 하지 않고 누워서 걱정과 고민만 했었지.
상황을 타계하려면 일단 일어나서 행동해야 하는 데 그게 아닌 내내 누워서 말로만 걱정하고 불안해 하던, 엄마. 그걸 내가 하고 있지 뭐야. 하는 시답잖은 이야기를 했다. 그러다 엄마 생각이 나고 약간 서글퍼지고. 켄 리우의 소설집 『종이 동물원』을 읽고 있어서 그런 걸지도. SF 소설 모음집이라서 사 놓고도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이상하게 SF 소설에는 약간의 거부 반응이 내겐 있다. 이해력이 안 좋아서 그런 걸지도. 좀 어렵다, SF는.
그런 내가 전자책 기준으로 500페이지가 넘는 『종이 동물원』을 완독했다. 정말 좋아서 아껴 읽었다. 한 편 한 편이 소중하고 짜릿했다. 이렇게도 쓸 수 있구나. 감동받았다. 특히 표제작 「종이 동물원」은 기가 막혔다. 주인공 '나'는 미국인 아버지와 그 아버지가 카탈로그에서 고른 홍콩 출신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 '나'가 울 때마다 어머니는 크리스마스 선물 포장지로 동물을 접어 주었다. 그 동물에게 어머니는 숨을 불어 넣어 주었다. 종이로 만든 동물은 생명을 얻어 돌아다녔다.
나이가 들면서 '나'는 미국적인 아이가 되어간다. 어머니가 영어를 잘 못하는 것에도 제대로 된 장난감이 없는 것에도 짜증을 낸다. 어머니는 '나'와 중국어로 대화를 하고 싶어 하지만 '나'는 대화를 거부하기에 이른다. 어느 날 어머니가 곧 돌아가실 것 같다는 소식을 듣는다. 마지막 순간에 어머니는 청명절이 되면 자신을 기억해 달라고 말한다. 「종이 동물원」은 그렇고 그런 가족의 이야기를 놀라운 반전을 들이밀면서 특별한 이야기로 만들어 낸다. 소설의 마지막을 읽을 때면 내게 생명을 불어 넣어준 단 한 사람을 떠올리며 세상의 모든 슬픔이 밀려온다.
중국, 일본, 간간이 한국의 역사 이야기가 『종이 동물원』에 등장한다. SF 적인 옷을 입고서. 현실을 탈피하는 게 아닌 현실을 제대로 드러내기 위해 켄 리우는 신화, 환상, 역사를 SF로 끌고 온다. 단 한 편도 거를 수 없다. 꼭 읽어보라고 말하고 싶은 책이다. 추리 소설의 형식을 빌려온 「레귤러」는 중간에 끊을 수 없을 정도로 흡입력이 있다. 인종 차별, 역사 왜곡, 인간의 이기주의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면서 가독성까지 있다니 놀랍기만 하다. 딱딱하거나 어렵지 않았던 이유는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능숙함 때문이었다.
망한 지구를 탈출해 우주선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우주선을 고치기 위해 죽음도 불사하는 사람. 후대에게 역사를 알리기 위해 모진 고문을 당하는 사람. 『종이 동물원』에는 특별한데 자신들이 특별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잔뜩 나온다. 소설 속 그들이 했던 선택을 현실에서라면 주저 없이 할 수 있을까. 없다고 생각하기에 소설이 쓰인다. 이야기가 나온다. 꼭 그렇게 했으면 하는 바람에. 자신보다 남을 위한 선택을 우리가 했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을 채우고 싶어서.
따뜻한 사람의 이야기가 그리웠는데 『종이 동물원』은 그걸 충족해 준다. 고통스럽고 슬펐던 기억을 잊고자 했지만 마음은 그렇게 하지 못했다. 살아서 살아 있는 동안은 기억하고 추억하자. 위대하고 훌륭한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지구에서의 역할은 다 한 것이니까. 우주선에 못 타도 좋아. 꼭 알아야 할 역사가 있다면 공부를 해서 기억하도록 하자. 특별한 날이 아니라도 매 순간 떠난 그들을 기억한다면 미처 하지 못한 말을 하려고 찾아올지 모르니까. 잘 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