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의 방정식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2월
평점 :
내가 생각하는 미미여사는 수많은 책을 내면서도 늘 최상의 퀄리티를 유지하는
마술같은 작가였다.
예컨대 3권으로 된 <솔로몬의 위증>은 정말 정성스럽게 쓴 책이
이런 거구나, 라는 걸 여실히 보여줬고,
시시때때로 쓰는 시대물을 읽고 나면
미미여사가 희대의 천재라는 말밖에 할 수가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음의 방정식>은 좀 의외였다.
일단 분량.
처음 이 책을 봤을 때 난 다른 책을 사면 딸려오는 부록인 줄 알았다.
내가 요시모토 바나나를 싫어하는 이유가 그 얄팍한 분량 때문인데,
이 책의 분량은 오히려 바나나에 미치지 못했다.
책표지에 어떻게 장편소설이라고 쓸 수 있는지, 내가 저자였다면 지우자고 했을 것 같다.
둘째, 사건.
꼭 사람이 죽어야만 좋은 소설은 아니다.
하지만 <음의 방정식>에서 일어나는 사건은 몰입하기엔 너무 경미했다.
책을 덮고 난 뒤 ‘이게 뭐야?’는 반발심이 일어난 건,
미미여사 책으로는 처음이었다.
차라리 사립탐정과 변호사가 섬이라도 탔다면 덜 아쉬웠을 것 같다.
그래도 난 미미여사를 좋아하니, 이 상황에 대해 변명을 하고 싶어졌다.
교보에서 미미여사 책을 쌓아놓고 파는 장면을 본 사람들은
미미여사가 준 재벌은 될 거라고 생각하며,
<음의 방정식> 같은 책을 내는 걸 비판할 것이다.
하지만 책을 많이 판다고 해서 꼭 부자는 아니다.
<부자아빠>라는 책으로 대박을 친 로버트 기요사키를 보라.
비슷한 내용을 계속 우려먹으며 책을 계속 내다가 결국 파산을 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3/pimg_747250153137640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3/pimg_7472501531376407.jpg)
존 그레이는 어떤가.
<화성남자> 첫 번째 책만 가지고도 평생 먹고살 것 같았지만,
이런 만행을 저질렀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3/pimg_7472501531376408.jpg)
돈독이 어지간히 오른 걸 보면 사업하다가 크게 망하기라도 한 건가보다.
미미여사도 비슷한 경우가 아닐까?
무슨 이유든 돈이 급히 필요했고,
그래서 이 책을 낸 것이리라.
누구나 급전이 필요할 때가 있고, 미미여사는 그 누군가가 되지 말란 법은 없다.
미미여사의 팬이라면 이해해 주자.
보증을 서서 망했을 수도 있다는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