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잃어버린 사람들 - 뇌과학이 밝힌 인간 자아의 8가지 그림자
아닐 아난타스와미 지음, 변지영 옮김 / 더퀘스트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세기 동안 철학자, 신학자, 심리학자들은 자아의 본질에 대해 고민해 왔습니다. 그것은 환상입니까, 아니면 실제입니까? 만약 존재한다면 뇌의 어디에 위치할까요? 자아는 우리가 느끼는 것과 같은 별개의 실체입니까? 저자인 아닐 아난 타스와미는 우리가 자아라고 생각하는 것을 훔치거나 변형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몇 가지 질병과 정신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대답을 하려고 합니다. 특히 그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정체성을 해체시키는 알츠하이머병, 정신분열증과 같은 특정 신경정신병적 장애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자아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지배적인 견해는 항상 자신이 느끼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어떤 비물질적 실체(영혼, 영, 의식이라고 부름)가 몸에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특정한 특별한 상황에서는 몸에서 분리될 수 있습니다(예: 죽음). 우리의 육체에는 유효 기간이 있지만 이 비물질적인 부분은 영원하거나 적어도 물리적 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습니다.


그러나 과학이 뇌의 작용을 밝혀냄에 따라 이 "비물질적 실체"가 실제로 우리의 물질적 뇌,신경계의 활동에서 파생된 창발적 특성 또는 환상인 것처럼 점점 더 많이 보입니다. 유물론적 설명이 한때 설명하기 매우 어려웠던 현상 중 하나는 유체이탈 경험(OBE)입니다. 역사적으로 어떤 사람들은 이것을 사기라고 치부했을 수도 있지만, 그 사례는 충분히 흔하고 유사하게 설명되어 있어 믿음을 긴장시킵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OBE가 특정한 종류의 환각이라고 믿을 수 있는 강력한 이유를 갖게 되었으며, 그 이유는 이제 신경과학자들이 뇌의 특정 지점에 전극을 적용함으로써 OBE가 지속적으로 유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옛 학파의 경우, 자아가 없으며 환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한 불교도들이 단연 가장 가까운 것으로 보입니다.


이 책은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에서는 자아가 무엇인지, 무엇이 자아가 아닌지에 대해 알려주는 마음의 특정한 질병이나 현상을 다룹니다.

첫 번째 장은 자신이 존재하지 않거나 죽었다고 맹세하는 질병인 코타드 증후군을 설명함으로써 문제의 핵심을 직접적으로 다룹니다. 이 고통은 가장 근본적인 자기감, 즉 자신이 별개의 생명체라는 직관을 공격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 자신을 별개의 생명체로 생각하는 또 다른 방법은 인생 이야기를 통해서입니다.

p93 알츠하이머병 말기에는 환자의 서사적 자아가 완전히 망가진다. 결국 남는 것은 이야기가 형성되기 전부터 존재하는 자아를 경험하는 '주체로서의 자아'다.


2장에서는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질병이 어떻게 이러한 자아의식을 깨뜨리는지 살펴봅니다.우리가 자아를 느끼는 또 다른 기본 수준은 우리 몸의 경계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자아에 대한 물리적으로 뿌리 깊은 접근 방식조차 공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이 사지 상실을 느끼는 환상지 증후군의 사례를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그건 그렇고, 이것이 사람들이 영혼이 있다고 느낀 또 다른 이유입니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사지 중 하나 이상이 이물질이라고 느끼는 환상지 증후군과 정반대의 질병에 중점을 둡니다. 저자가 자신의 의료 자격에 적지 않은 위험을 감수하면서 그러한 사람들을 절단하는 의사와 대화를 나눕니다.

p217 우리는 울기 때문에 슬픔을 느끼고, 싸우기 때문에 화가 나며, 떨기 때문에 두려워하는 것이지, 그와 반대로 슬프거나 화가 나거나 두려워서 울거나 싸우거나 떠는 것이 아니다.

4장에서는 자신이 수행하는 행동과 해당 행동을 수행하면서도 자신 사이의 연결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을 탐구합니다.

5장은 이인증 증후군을 조사합니다. 이 증후군에는 사람들이 꿈속에 있는 것처럼 느끼지만 환자가 깨어 있는 동안에는 감정적인 단절이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이것이 발생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수단을 제공하는 두 가지 사례에 중점을 둡니다. 하나는 어릴 때 학대를 당한 개인인데, 그 질병은 트라우마로부터 단절하기 위한 방어기제였던 것 같습니다. 다른 하나는 화학적으로 유도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그 효과는 모든 약물이 여성의 몸에서 빠져나온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었습니다.


p275 (서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오직 사회적 상호작용뿐이다.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은 변화된 자아를 경험하고 타인의 마음을 읽는 것을 힘들어한다. 하지만 신경전형인도 자폐적인 사람들의 마음을 읽지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소통이란 그 정의대로 쌍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때때로 어쩌면 다른 정신세계 사이에서 일어난다 하더라도.

6장에서는 정서적 반응의 둔화와 관련된 또 다른 일련의 고통을 탐구하는데, 그것이 바로 자폐 증후군입니다.

마지막 장에서는 간질의 사례를 고려하여 몸에서 벗어난 자아를 계속 검토합니다. 간질은 많은 강력한 정신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368 내게 가장 큰 의문은 이것입니다. 이인증을 장애로 볼 것인가, 아니면 달라진 마음 상태로 볼 것인가, 일종의 깨달음의 여정이 시작되는 것으로 볼 것인가? 마침내 나는 단순히 인식에 일어난 변화로 바라보게 됐어요. 세상에 대한 관점이 바뀐 것이죠. 자아라는 것이 모든 존재에 비해 얼마나 덧없고 작은 것인지 깨달았어요.

우리의 두뇌는 우리 주변의 세계를 이해하고 우리가 그 세계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그러나 우리의 뇌가 중요한 메커니즘, 예측, 모델을 잘못하게 되면 우리가 세상과 우리 자신과 관계를 맺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은 당신에게서 ‘내가 누구인가’하는 것을 빼앗아가죠. 인간에게 그보다 더 큰 공포가 있을까요? 이 병이 일단 삶에 들어오면 하루하루 살아오면서 축적한 모든 기억과 가치관, 이 세상과 가족, 사회와의 연결고리가 사라져요. ‘인간으로서 내가 누구인가’를 사실상 규정하는 경계를 뜯어내버리죠.
- P61

몇천 년 전 어느 수도승은 나와 타인을 구분하는 것이 유연하고 가변적이라기보다는 애초에 나라는 것 자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우리가 만약 ‘나‘와 ‘나의 것‘의 경험을 뒷받침하는 자아를 찾으려 한다면, 아마도 아무것도 찾지 못할 것이다.
- P351

불교에 수많은 학파가 있지만 그들은 모두 마지막 질문에 대한 부처의 대답은 자아는 ‘없다‘라고 말한다. 불교에서는 당신이 만약 (성찰이나 명상을 통해) 자아를 찾고 있다면, 자아는 일시적이고 계속 변하며 지각된 통합성은 겉보기에 불과하다는 통찰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한다
- P359

나에 대한 인지적 집착들이 그 자체로 일종의 병이자 장애의 근원이라는 것이 불교 사상의 핵심입니다. 병은 바로 자아입니다.

- P3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