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지프 신화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55
알베르 카뮈 지음, 박언주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8월
평점 :
세상에는 합리성, 믿음,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습니다. 그러나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사람에게는 선택권이 있습니다. 자발적으로 이 세상을 떠나거나 무의미하고 부조리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진정으로 심각한 철학적 문제는 자살 문제입니다. 삶이 살 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철학의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는 것입니다.
알베르 카뮈는 부조리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 책의 뒷부분에서는 부조리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떤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지 고려합니다. 터무니없는 것은 종종 인생이 무의미하다는 단순한 생각으로 잘못 특성화됩니다. 사실 카뮈는 부조리를 논리, 의미, 질서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이 욕망을 충족시킬 수 없는 세상의 무능력 사이의 대립으로 정의합니다. 카뮈는 부조리에 맞서는 것이 자살 행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모든 철학적 문제보다 우선한다고 믿는다. 사람들은 삶이 무의미할 때, 그리고 때때로 그들이 인지하는 의미를 지키기 위해 자살한다고 그는 말합니다(예를 들어, 누군가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죽어가는 경우). 인생이 무의미하다면 카뮈도 동의하는 명제인데 자살하는 것이 논리적인가? 카뮈는 부조리를 억누르기 위해 사람들이 어떻게 종교에 귀의하고 결코 오지 않는 더 나은 삶에 대한 희망을 붙잡고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카뮈는 삶이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완전히 자각하며 사는 것이 가능한지 알고 싶어합니다.
카뮈는 이 모든 것이 삶의 부조리를 설명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들 각각에게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습니다. 그들은 인생의 부조리를 저지르기를 너무 두려워했고 대신 믿음의 도약을 통해(보통 신에게) 세상의 의미를 회복했습니다. 카뮈는 부조리한 삶의 세 가지 주요 특징인 반란, 자유 및 열정을 주장합니다. 부조리한 삶은 삶의 답이나 설명에 대한 유혹에 저항해야 합니다. 완전한 자유를 가지고 행동하고 생각하십시오. 열정을 가지고 삶을 추구합니다.
카뮈는 부조리를 자신의 삶에 수용했다고 느끼는 인물의 예를 제공하면서 부조리에 대한보다 실용적인 접근을 시도합니다. 카뮈에게 그것은 부조리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삶의 무의미함을 온전히 인식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실례로 그는 먼저 악명 높은 유혹자인 돈 후안을 봅니다. 그는 질보다 양의 삶을 사는 돈 후안을 칭찬합니다. 어떤 경험도 본질적으로 다른 어떤 것보다 더 가치가 없기 때문에 부조리한 사람은 가능한 한 많이 경험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돈 후안의 경우 이것은 가능한 한 많은 다른 여성과의 섹스를 의미합니다. 카뮈의 부조리한 삶의 또 다른 예는 현재를 살고 다양한 삶을 시도하는 배우와 정치적이고 폭력적인 투쟁이 삶에 긴박함과 생생함을 더하는 정복자입니다.
그런 다음 카뮈는 부조리와 창조의 관계로 관심을 돌립니다. 카뮈는 창의적인 삶이 특히 터무니없는 삶이라고 말합니다. 창조자는 단지 경험하고 묘사할 수 있을 뿐, 설명하고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틀 안에서 카뮈는 러시아 소설가 도스토예프스키의 글을 검토합니다. 특히 <빙의> 속 인물 키릴로프는 일종의 '논리적 자살'을 자행합니다. 삶이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신이 존재해야 한다고 키릴로프는 생각하지만 키릴로프는 직관적으로 신이 없다고 느끼고 자신을 죽임으로써 통제하기로 결정합니다. 그의 마지막 말은 "모든 것이 잘된다"인데, 카뮈에게 그것은 부조리와 함께 사는 것이 정확히 요구하는 말입니다. 카뮈는 도스토옙스키가 철학과 반대되는 소설의 특수한 능력인 행동의 부조리함을 보여준 것에 대해 칭찬하지만, 도스토옙스키가 나중에 그의 개인적인 삶에서 신에게로 돌아간 것에 대해 비판합니다
p191
바위는 또다시 굴러떨어진다. 나는 시지프를 산 아래에 내버려 둔다! 우리는 그가 짊어져야 하는 무게와 늘 다시 만난다. 하지만 시지프는 신을 부정하고 바위를 들어 올리는 우월한 성실함을 가르쳐 준다. 시지프 역시 모든 게 다 잘 됐다고 생각한다. 이제부터 주인 없는 이 세계는 그에게 볼모로도, 하찮게도 보이지 않는다. 그 돌덩이의 부스러기 하나하나, 그 캄캄한 산의 광물 조각 하나도 그에게는 하나의 세계가 된다. 산꼭대기를 향한 투쟁 그 자체만으로도 인간의 마음을 가득 채울 수 있다. 행복한 시지프를 상상하지 않을 수 없다.
카뮈는 제목에 언급된 시지프의 신화를 논의하면서 글을 마무리합니다. 그리스의 왕 시지프는 신들에게 저주를 받았습니다. 그의 궁극적인 운명은 바위를 산 위로 밀어올리는 것이었지만, 그 바위는 다시 떨어져서 영원히 계속해서 다시 시작해야 하는 과정을 필요로 했습니다. 시시포스가 신들의 분노를 불러일으킨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지만, 본질적으로 그는 신들을 무시했습니다. 이야기 중 하나는 그가 죽음을 사슬에 묶어 명왕성을 화나게했다는 것입니다. 시지프는 죽기 직전에 아내의 사랑을 시험하기 위해 “묻히지 않은 그의 시신을 광장 한가운데 던지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녀가 실제로 그렇게 한 것에 짜증이 나서 그를 제대로 묻지 않고 그녀를 징벌하기 위해 지구로 돌아가도 좋다는 명왕성의 허락을 받았습니다. 지하세계에서 돌아온 시시포스는 다시 대지, 특히 자연의 아름다움에 반해 떠나기를 거부했습니다. 이 운명에서 카뮈는 무의미한 세상에서 의미를 갈망하는 인간의 투쟁을 봅니다. 카뮈는 시지프가 자신의 행동의 무익함을 완전히 알고 있기 때문에 궁극의 "부조리한 영웅"이라고 말합니다. 시지프가 산기슭으로 다시 걸어가는 순간은 카뮈의 가장 관심을 끄는 순간으로, 시지프의 "의식의 시간"과 그의 운명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나타냅니다.
글을 읽으면서 카뮈가 철학자라기보다 소설가에 가깝다도 생각되었습니다. 그는 삶의 현실이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 건전한 주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또한 그는 철학적 자살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는 다른 실존주의자들의 철학을 반박하려고 시도하지도 않습니다. 그는 우주가 어떤 초월적 의미를 부여하는지 여부를 알 방법이 없음을 인정합니다. 그는 자신이 확실하게 주장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확실성의 결여이며, 그것이 부조리한 인간이 받아들이고 함께 살아가야 할 전부라고 주장합니다.
현대인의 존재는 시지프의 운명과 비슷합니다. 여러면에서 터무니없고 지루함과 무의미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은 자살을 거부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부조리를 깨닫는 데서 오는 부조리의 감정은 그로 하여금 자신의 운명을 재평가하고 자유로워지게 할 것입니다.
우리는 시지프가 행복하다고 상상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행복하다고 상상해야 합니다.
시지프 신화는 허무주의에 반대하는 주장입니다. 삶의 궁극의 무익함과 부조리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환경에 대한 최소한의 통제력과 능력, 창조하고, 정복하고, 사랑하고, 진보를 경험하고, 새로운 경험을 여는 것이 인생을 철학적으로도 가치 있게 만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부조리는 우리가 피곤할 때, 긴 하루를 마감할 때 우리에게 가장 큰 충격을 줍니다. 시지프는 바위가 굴러 떨어졌을 때 그것을 다시 굴릴 준비를 할 때 가장 큰 충격을 받습니다. 이 순간 우리는 부조리를 인지할 수 있고 심지어 부조리를 겪을 수도 있습니다. 진정한 해결책은 우리도 우리 자신의 주인인 것처럼 시지프가 자신의 주인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부조리를 받아들이는 것은 불모지와 허무함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우주를 우리 삶의 법칙으로 무시하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부조리한 것을 정면으로 응시함으로써, 자신의 운명을 완전히 의식하고 의미에 대한 갈망과 세상의 무익함을 인식하는 것 사이의 마찰과 함께 살기로 선택함으로써, 우리는 어쨌든 행복하기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