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인이라는 가능성 - 나의 세상을 확장하는 낯선 만남들에 대하여
윌 버킹엄 지음, 김하현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3월
평점 :
우리는 많은 타인을 마주하며 살아갑니다. ‘타인’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시나요? 현대 사회에서 타인, 그리고 타인의 시선은 다소 차갑고 평가적으로 묘사되곤 합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짧은 자기소개나 대화에서부터 발표나 연주에 이르기까지 일상 속 타인과의 만남에서 긴장과 불안을 경험합니다. 타인의 눈에 자신이 어떻게 비추어지는지, 혹시 부정적 평가를 받는 것은 아닌지 염려하는 것입니다.
COVID-19기간 동안 겪었던 더 깊은 손실 중 하나는 '고립'과 '단절'입니다. 우리가 사랑하지 않지만 여전히 그 존재로부터 위안과 자극을 받는 사람들의 근접으로부터 우리가 얼마나 많은 것을 얻는지 깨닫게 됩니다.
p10 이제 엘리는 없었고, 나는 돌아왔고, 집은 텅 비었다. 눈물을 흘릴 힘이 없었다. 잠이 필요했다. 함께 13년을 살았는데, 이제는 이렇게 텅 비어 있었다. 느닷없이 밀려든 슬픔이 아직 낯설었다. 나는 이 슬픔이 내게 무엇을 할지, 나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기다리고 있었다
철학자이자 여행자인 저자는 낯선 사람과 연결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탐구합니다. 암으로 아내 엘리를 잃은 슬픔으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아내가 죽기 전에도 저자는 삶의 대부분을 낯선 사람들과 함께 보냈습니다. 자라면서 그의 아버지의 대리인은 신도들과 다양한 부랑자들과 떠돌이들에게 개방적인 집과 같은 곳이었습니다. 성인이 되어서 그는 인도네시아, 중국, 미얀마 및 기타 지역에서 일하고 탐험하고 배우는 데 오랜 시간을 보냈습니다. 실제로 아내가 암진단을 받은 후에도 그는 여전히 청두에서 가르치기 위해 나갔다가 병이 말기 단계에 접어든 것이 분명해진 후에야 돌아왔습니다.
p163 만나는 모든 사람과 친구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방인이 친구가 되지 않을 때도 환대는 깊고 미묘한 변화를 일으킨다. 환대가 가장 크게 탈바꿈하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가장 큰 두려움이 실현되지 않은 모든 만남과 모든 출발에서 세계와 그 안의 가능성에 대한 우리의 감각이 확장된다. 외부와 내부의 경계를 더 쉽게 넘을 수 있게 된다.
낯선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으면서도 집의 즐거움과 편안함이 필요한 세상에서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하는 오랜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인간은 가까운 친척이 아닌 사람들을 접대하고, 환영하고, 손을 내밉니다. 그렇다고 항상 최대한의 사교성을 옹호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실제로, 저자는 삶이 공동체적이고 공개적으로 살았던 인도네시아 마을에 머무는 동안 때때로 호텔의 평화와 고독을 동경했다고 고백합니다. 또한 파키스탄에서 만난 압도적인 환대에 적응하고 좋은 손님이 되는 법을 배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p214 낯선 사람들 사이에서 시간을 보내며 낯섦 속에 빠져들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만남 속에서 내가 전과 다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희망, 어쩌면 새로워질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키우고 있었다
낯선 사람과 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낯선 이가 가져다주는 가능성에 더욱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방법, 고독과 불신, 적대를 해소하는 방법은 '환대'입니다. 환대의 경험이 쌓이면, 너와 나, 우리에게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넘는 일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듭니다. 각자도생이 아니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꿈을 꿀 수 있습니다. 비록 국경이 엄연히 존재하지만, 그것을 상쇄하고도 남을 낯선 사람들의 친절을 경험해 보는 일은 삶의 큰 자산이 됩니다. 낯선 사람에 대한 환대는 단순한 이타주의가 아니라 문제 또는 의무, 존중 및 존엄성일 수도 있습니다. 아라비아와 몽골에서처럼 가장 정교한 환대 전통에서도 손님은 음식과 숙소를 적절한 방식으로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적절한 시간에 올바른 방법으로 떠나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개방성은 항상 위험과 신뢰를 수반합니다.
p292 외로움이 이토록 파괴적인 것은 우리 인간이 만지고 만져져야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촉각의 존재다. 붙들고 어루만지고, 손을 뻗어 서로를 쿡쿡 찌르고, 간지럽히고 포옹하고 어르고 싶어 한다
여전히 인간은 함께 모이는 것에 중독되어 있습니다. 인간은 “혼자보다는 함께 있도록 만들어진 사회적 동물”입니다. 타인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것이 숙명이라면, 그것을 희망으로 만드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집과의 미약한 연결조차 끊어졌을 때, 한 장소와 한 공동체 그리고 그동안 기반을 쌓아왔고 내가 이방인이 아니었던 세상의 한구석과 우리를 이어주는 끈이 사라졌을 때, 우리는 누구인가?
- P26
사람들을 바라보며 행복한 함박웃음을 지으면서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 관대함이 흐르는 물길을 내고, 서로 선물을 주고받고, 즐거움을 나누어 배가함으로써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 브라스밴드가 명랑한 음악을 연주하고 테이블에 직접 만든 음식이 가득한 나무 그늘 아래서 이방인과 친구들을 만나 함께 동물적 온기를 만들어냄으로써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 - P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