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리하는 뇌 - 디지털 시대, 정보와 선택 과부하로 뒤엉킨 머릿속과 일상을 정리하는 기술
대니얼 J. 레비틴 지음, 김성훈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6월
평점 :
우리는 정보의 바다에 빠져서 허우적대고 있습니다. 오늘도 스마트폰을 통해 수백에서 수천 개의
정보를 보고 있습니다.
한때
우리는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일은 모두 컴퓨터가 처리하고 우리 자신은 좀 더 고귀한 목적의 일만 하며
더 많은 여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뇌는 더 정신없이 바빠졌습니다.
정보를 담는 저장 공간이 충분해도 결정하는 뇌는 과부하 중입니다. 정보의 과부화로 우리의 뇌는
종종 오류를 일으킵니다.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하는데 머리 속이 멍해질 때가 있습니다. 기억도 비슷합니다. 뇌에 주어지는 각종 디지털 정보는 그렇지 않아도
불완전하고 왜곡이 많은 기억력에 더 많은 혼란을 가져옵니다. 쓸모없는 신호를 뇌 속 뉴런에 담아두다가
정작 기억해야 할 것은 기억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저자는 ‘머릿속과 일상을 정리하는 기술’을 알려줍니다.
우리 스스로 책임의식을 가지고 인지 과부하 시대에 정보와 생각과 주변 환경을 정리하고 효율적으로 의사 결정할 수 있는 관건은 바로 뇌의
작동방식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정리하는 습관임을 강조합니다.. 뇌는 불완전하고 혼란스럽지만 우리의 행동은 정해져 있습니다. 행동 패턴을 조정해서 기억력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는 것이 바로 정리입니다.
그리고 뇌 신경과학, 인지심리학, 행동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를 토대로 머릿속에서 시작해 가정, 비즈니스, 시간, 사회 및 인간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두
가지가 있습니다. 즉,주의력 배터리와 주의력 전환비용입니다.
사람이 하루에 쓸 수 있는 주의력은 한정되어 있고 그 주의력을 다 쓰면 더이상 효과적으로 업무를 한다거나 올바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업무나 공부나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는 주의력 배터리가 많이 충전되어 있는 잠에서 일어나서 얼마 지나지 않은 시간에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업무를 마친 저녁시간에 중요한 결정을 내린다거나 학습을 해야될 때는 이미 주의력 배터리가 상당히 소모되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주의력 전환비용이란 어떤 하나의 일을 할 때에는 다른 것에 주의력이 쓰이지 않도록 신경쓰일 만한 것들을 다 치우고 방해받지 않도록 해야된다는 것입니다. 즉, 두
가지 일을 일을 번갈아서 한다면 한가지 일에만 전념해서 순차적으로 일을 마치는 것보다 전환할 때마다 주의력이 더 크게 들기 때문에 한개씩 순차적으로 완료시키는 것보다 주의력 낭비가 심하게 일어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하루에 쓸수 있는 한정된 주의력은 최대한 아끼고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5가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1.
메모
나중에 해야될 일이 있다면 업무 중에도 우리의 뇌는 그 나중에의 일을 해야된다고 계속 신경쓰면서 주의력을 소모합니다. 메모를 해둠으로써 사소한 것들에 대해 기억의 외부화를 시킴으로써 주의력을 아낄 수가 있습니다.
2.
2분법칙
2분안에 내릴 수 있는 작은 의사결정이나 다른 일은 떠올랐을 때 바로 해버립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선택을 하게 됩니다. 이때 2분안에 쉽게 결정하거나 해낼 수 있는 것들은 그냥 생각난대로 결정하거나 일을 해냅니다.
미뤘다가 나중에 다시 생각한다면 한가지 해야할 일에 두번 세번 주의력이 쓰이는 것입니다.
3.
분류기준과 우선순위
의사결정은 굉장히 많은 주의력이 들어가는 일이기 때문에 내가 가장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분류기준을 나누고 의사결정을 이루는 것에 있어서 가치의 우선순위를 둬서 의사결정을 쉽고 빠르게 내려야 합니다.
점심메뉴 고르기 같은 사소한 고민거리가 있다면 삶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차이가 있지만 우리의 뇌에서 소비되는 주의력 소모량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사소한 고민거리는 향후 결과의 만족도를 크게 고려하지 말고 빠르게 결정을 내리고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들에 주의력을 더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환경셋팅
해야될 일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둡니다.
5.
메뉴얼을 짜놓는다
어떠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때 미리 머리속에 기준들을 두고 의사결정을 빠르게 내립니다. 깊게, 오래 고민할수록 주의력 낭비가 심각해집니다.
이 책은 정리를 잘 못하는 사람이, 정리를 잘 하기 위한 자기계발서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왜 정리를
왜 잘 못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입니다. 뇌신경학적 분석에서부터 시작해서, 인문 과학적 지식들이 총동원됩니다. 정리할 것은 차 열쇠와 지갑만이 아닙니다. 인간관계, 계획표, 공부 방법까지. 일상에서 겪는 건망증과 결정 장애의 문제를 ‘정리’의 힘을 통해 해결해나갑니다.. 여기에서 다루는
정리라는 것의 세계가 워낙 광범위하기 때문에 어느 누구라도 유용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핸드폰이나 지갑 등 자주 물건을 두었던 곳을 기억하지 못해 찾으러 다니는 일이 종종 있었습니다. 또한, 해야 할 업무를 정해진 시간에 하지 못하고 미루거나 완수하지 못한 적이 종종 발생했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시간관리, 나의 주의력에 대한 문제를 직시하게 되었고, 새롭게 변화가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해야 할 일을 미리 알려주는 알림이 파일을 사용하거나 일정표를 짜면서 오늘 해야 할 일에 대해 확인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필요성을 느꼈고, 미루는 습관을 고칠 수 있도록 오늘 계획한 일은 꼭 실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다고 다짐해봅니다.
간단한 행동유도장치라면 꼭 새로 무언가를 구입하지 않아도 비슷한 기능을 이끌어낼 수 있다. 책, CD,DVD 같은 것이 잘 정리되어 있고, 책장이나 음반 서랍장에서 지금 막 꺼낸 것을 어디에 다시 꽂아두어야 하는지 기억하고 싶다면 방금 꺼낸 것 바로 왼쪽에 있는 것을 2cm 정도만 앞으로 빼어두자. 물건을 다시 되돌려놓도록 해주는 간단하고 훌륭한 행동유도장치가 될 수 있다 - P138
스탠퍼드대학의 신경과학자 러스 폴드락은 멀티태스킹을 하는 동안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면 정보가 뇌의 엉뚱한 부분으로 간다는 것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TV를 보게 하면 학교공부에서 얻은 정보가 선조체로 간다. 이곳은 사실과 개념이 아니라 새로운 과정과 기술을 저장하도록 특화된 뇌 영역이다. TV 때문에 정신이 산만해지지 않았으면 정보가 해마로 갔을 것이다. - P156
새로 얻은 기억은 처음에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간섭에 저항성이 생기려면 신경 강화 혹은 응고가 필요하다. 그래야 나중에 검색을 통한 접근이 가능하다 - P275
통찰이 일어나기 직전의 순간에는 감마파가 함께 폭발하듯 터져나와 이질적인 신경 네트워크들을 하나로 묶어주며 서로 관련 없어 보이던 생각들을 일관성있는 새로운 주제로 엮어낸다. - P301
노년층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규모가 작고 그에 대한 흥미도 떨어지지만 젊은이들만큼이나 행복하다는 것은 이미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된 바 있다. 이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찾았고 또 그것을 실천에 옮기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연구결과 이런 일이 노화 그 자체 때문이 아니라 시간이 다 되어 가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일어난다는 것이 입증됐다 - P320
생산성 전쟁에서 승리하는 회사들을 살펴보면, 대개 직원들에게 생산성 시간, 낮잠시간, 운동시간, 그리고 일을 할 수 있는 차분하고 고요하고 질서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끊임없이 일을 하라고 다그치는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는 깊은 통찰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
- P446
경험에 비추어보면 내가 그 무엇도 대신할 수 없는 무언가를 잃어버렸을 때 보통은 그보다 더 좋은 무언가가 그 자리를 대신해주었다. 낡은 것을 없애면 무언가 훨씬 멋진 것이 그 자리를 채워준다는 신념을 갖는 것, 그것이 바로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관건이다 - P5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