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고통 이후 오퍼스 10
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 이후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은 뉴스나, 기사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이미지로 나타낼 수 있는 상징적인

매개체입니다. 이미지가 뚜렷하면 보도의 핵심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전세계적으로 ‘전쟁’이 이슈가 되면서 더욱 빛을 발했습니다. 전쟁의 참혹함을 표현하기에는 말이나 글보다 이미지가 주는 충격이 훨씬 효과적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모두가 앞 다투어 사진을 찍었고, 각종 방송 매체와 신문들은 더욱 자극적인 이미지를 생산했습니다.

저자인 수전 손택은 미국의 비평가이자 사진작가로 활동하면서, 어두운 사회의 비리를 고발하고 특히 미국문화에 날카로운 비평을 날린 것으로 유명합니다. 책은 전쟁의 처참하고 잔인한 장면을 담은 사진이나 화가의 작품을 다량 실어 보여줍니다.

현대 사회 우리는 타자의 고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며, 고통이라는 것은 어떻게 환기되고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서, 총 9장으로 나누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또, 타인의 고통이 담긴 잔인한 이미지를 바라보는 ‘우리’의 내면은 참사가 벌어진 그 곳에 있지 않음을 지적합니다. 사진을 보는 사람의 관점은 언제나 찍는 사람의 어깨 바로 뒤에 있습니다. 우리는 전쟁이 일어난 제 3세계 사람들의 비참한 모습이 담긴 사진을 보지만, 어디까지나 안전이 보장되는 제 1세계의 관점으로 그것을 해석합니다.

책의 본문에는 이 시기에 각종 매체에 전파되었던 ‘공개 처형 중인 죄수의 사진’이나, ‘전쟁에 쓸린 시신의 사진’이 자주 등장한다. 사진들은 여과 없이 반만 남은 몸이나 처형 중에 죽어가는 실제 죄수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줍니다. 당시 전쟁을 다루던 모든 매체들은, 이 정도의 폭력성 짙은 사진들은 기본적으로 묵인했고, 방대한 자극의 홍수 속에서 대중은 사건을 이미지로 받아들이는 것에 익숙해졌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사진’속에 나타난 고통과 참혹함이 대중을 길들였다고 말합니다.

전쟁사진을 바라보는 '우리'와 '그들(전쟁의 고통을 겪는 이들)'에 대하여 말합니다. 그녀는 전쟁사진을 두고 'we'와 'they'를 구분하는 것의 전제가 가지는 의미를 꼬집습니다.

p46 질질 끌고 가 설치한 뒤에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하는 한, 카메라가 미치는 범위는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일단 카메라가 삼각대에서 해방되어 진정으로 휴대할 수 있게 되자, 그리고 멀리 떨어진 최적의 지점에서 전례 없을 만큼 멋지게 근접관찰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 거리 측정기와 다양한 렌즈가 장착되자, 사진 촬영은 소름끼치기 이를 데 없는 몰살 장면을 설명해 주는 그 어떤 말보다 훨씬 뛰어난 신속성과 권위를 얻게 됐다

 

다양한 각도에서 고통과 고통을 바라보는 시각을 파헤칩니다. 전쟁 사진은 익명의 희생자를 객체로 합니다. 전쟁 사진은 하나의 개인, 인간으로서의 구별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존엄성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 걸까요?

p99 카메라의 시대에는 현실감을 둘러싼 새로운 요구들이 등장한다. 현실적인 것은 충분히 무섭지 않기 때문에, 좀더 무서움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또는 좀더 믿을 만하게 재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폭력의 희생자들의 사진(주로 처참하게 찢기고 파괴된 육체의)을 전시하여 많은 이들이 보도록 하는 것을 전쟁이나 타인의 고통을 '기억하기' 혹은 '상기하기' 위해-인간의 본성에는 '악'이라는 거대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기 위해- 필요하다고 정당화하는 것이 과연 옳으냐고 묻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기억하기' 혹은 '상기하기'라는 개념은 흥미롭습니다. 애도의 표현, 즉 연민의 감정을 가진 이러한 행위로 할 도리를 다 한 것이라고 여기는 풍토를 지적하고, 연민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에 이릅니다.

p153 연민은 변하기 쉬운 감정이다.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이런 감정은 곧 시들해지는 법이다. 따라서 정작 문제는 이렇다. 이제 막 샘솟은 이런 감정으로, 서로 연락을 주고받으며 알게 된 지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만약 '우리'(그런데 '우리'란 도대체 누구를 말하는 것일까?)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고 느낀다면, 그리고 '그들'(그런데 '그들'은 또 누구인가)이 할 수 있는 일도 전혀 없다고 느낀다면,사람들은 금방 지루해하고 냉소적이 되며, 무감각해지는 것이다

 

한편, 저자는 여러 종류의, 여러가지 이름의 전쟁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내전과 2차 세계대전, 옛 유고 연방의 내전까지 이어지는 전쟁들, 그 전쟁들을 담은 사진들을 꺼내놓으며 손택은 전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과 그들에게 고통을 가져다준 전쟁의 잔혹함을 이야기한다. 전쟁을 겪어보지 못했기에 글을 읽고 사진들을 보면서 그 전쟁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세상은 이미 너무 많은 고통이 담긴 사진들이 넘쳐납니다. 그것은 이미 너무 과잉된 통신의 매체들로 인해 가능해진 것인데, 매일 아침 우리는 배달 오는 신문, 스마트폰, 인터넷 뉴스 등을 통해 지구 반대편에 있는 현재에도 고통받는 사진을 쉽게 볼 수 있고, 그 사진 속 사람들의 고통에 손쉽게 노출됩니다. 우리는 과도하게 노출된 미디어로 인하여 오히려 그것들을 비현실적으로 느끼거나 아무렇지도 않게 넘기기며 가볍게 소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온갖 매체에서 쏟아내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요?

우리는 연민을 느끼는 대신, 특권을 누리는 우리와 고통을 받는 타인이 똑같은 지도상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또한, 타인의 고통을 마주함으로써, 또한 타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것이 저자가 바라는 사진을 바라보는 우리의 윤리적 역할일 것입니다.

 

뭔가를 미화하는 것은 카메라의 전통적인 기능으로서, 이런 기능은 보여진 것에 대한 사람들의 도덕적 반응을 하얗게 표백해 버린다. 뭔가를 최악의 상태로 보여줘 그것을 추하게 보이도록 만다는 것은 좀더 근래에 등장한 기능이다.
- P125

모든 기억은 개인적이며 재현될 수도 없다. 기억이란 건 그 기억을 갖고 있는 개개의 사람이 죽으면 함께 죽는다. 우리가 집단적 기억이라고 부르는 것은 상기하기가 아니라 일종의 약정이다.
- P131

사람들은 저 멀리 떨어진 채 고통을 쳐다본다는 이유로 이미지를 비난해 왔다. 마치 다른 식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이 있기나 한 듯이 말이다. 그렇지만 가까이에서 본다고 해서 그냥 보고 있다는 사실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 P171

사진에 찍혀 프레임에 단긴 고통의 역사와 원인을 우리가 잘 모를 경우 사진 자체가 우리의 무지를 교정해 주리라고 당연시 할 수도 없다. 사람들이 겪고 있는 엄청난 고통을 설명하려는 기존 권력의 합리화에 눈길을 돌려보자고, 그 합리화를 성찰하고 깨닫고 꼼꼼히 검토해 보자고 권유하는 것 이상을 이런 이미지가 해낼 수는 없다
- P179

문학은 대화이자 응답입니다. 문화가 발달하고 각 문화가 상호 작용함에 따라서 살아가고 있는 것과 죽어 가는 것을 향해 인간이 보여준 반응의 역사가 곧 문학이라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문학은 이 세계가 어떠한지 우리에게 말해줄 수 있습니다
- P2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