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조하는 뇌 - 뇌과학자와 예술가가 함께 밝혀낸 인간 창의성의 비밀
데이비드 이글먼.앤서니 브란트 지음, 엄성수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7월
평점 :
이 책은 넷플릭스에서도 화제가 되었던 다큐멘터리 ‘창의적인 뇌의 비밀’을 책으로 낸 것입니다.
뇌과학자인 '데이비드 이글먼'과 예술가인 '앤서니 브란트'가 함께 '창의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를 책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예술가와 과학자라니,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 조합인데, '창의성'이 가장 중요시되는 분야 두 가지를 뽑으라면 과학과 예술이니 꼭 맞는 파트너인 것 같기도 합니다.
현대사회에서 과학 기술이 발전할수록, 기계로 대체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질수록,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예전과 달라질 수록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두 저자는 이 책에서 인류 사회의 발명품을 하나씩 살펴보면서 독자가 창의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먼저 1부 ‘하늘 아래 새로운 것’에서는 “왜 우리에게 창의력이 필요한지, 우리는 어떻게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지, 우리가 이루는 혁신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며, 2부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뇌’에서는 “많은 옵션을 만들기, 위험감수하기 같은 창의적 사고방식의 주요 특징”을 살펴봅니다. 3부 ‘창의성의 탄생’에서는 “기업과 학교로 눈을 돌려 미래를 위한 이 인큐베이터 안에서 어떻게 창의력을 육성할지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창의적인 마인드, 인간 정신 찬미, 우리를 둘러싼 세계를 변화시키기 위한 비전을 다룬다”라고 하였습니다.
1970년, 바로 달을 향해 날아간 아폴로 13호가 지구를 떠난 지 이틀만에 산소 탱크가 폭발하고 우주선이 심한 손상을 입습니다. 우주 비행사들이 살아남을 확률보다 우주를 영원히 떠돌게 될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나사의 관제 센터 총책임자는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엔지니어들
은 계산자와 연필을 가지고 수학함수를 풀면서 지구로 귀환할 방법을 찾아냈고 보온 내의에 들어 있던 플라스틱조각과 비닐봉투 등을 사용했다. 그들은 한번도 생각해 보지 못한 문제에 부딪혔으나 며칠만에 새로운 프로토콜을 만들어 무사히 지구로 돌아옵니다. 극한의 상황에서 창의력을 최고로 발휘한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독창성으로 유명한 피카소의 그림들, 새로운 디자인의 자동차, 양자 컴퓨터 등 여러 곳에서 창의성이 발휘된 것들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미래사회에서 이러한 능력은 점점 중요해질 것입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주입식 교육방식은 변하지 않았으며 모두 같은 목표, 공부 잘 하는 학생이 되기 위해 학교를 다닙니다. 이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싶지 않은 학생과 학부모들도 있지만 기본 학교 시스템은 모두 이 목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현재 기술은 그 어느 때보다 더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신기술이 만들어지면 사람들은 가장 최신 기술을 순식간에 잊어버리고 맙니다. 재미있게도 이런 현상이 미술에서도 일어난다고 합니다.
저자는 이를 ‘뇌의 반복 억제 작동’으로 설명합니다. 뇌가 무언가에 익숙해질수록 뇌의 반응이 점점 출어 들고 이내 적응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많은 기업과 예술가들이 낯선 것과 익숙한 것 사이에서 절충을 합니다. 창조적인 아이디어라고 해서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며
기존의 기억과 인상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책은 인류 역사에서 창의성이 어떻게 작용해 왔는지, 현대사회에서 창의성이 왜 그렇게 중요해졌는지, 우리가 창의성
을 길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그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 책은 '창의성'에 대해 많은 질문을 던지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세상에 새로운 것이 하늘에서 뚝 떨어지듯 생겨나는 법은 없다고 합니다. 즉, 무엇이든지 조금씩 단계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진다는 것인데, 기존의 것에 무언가 변화를 주어 개선된 무엇을 만들어내온 것이 쌓여서 현재에 이른 것입니다. 물론 그 바탕에는 인류가 몸으로 겪으면서 얻은 정보와 사유를 통하여 얻은 새로운 개념을 다음 대에 전하는 기술이, 처음에는 언어로, 다음에는 문자로, 그리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산기술로 발전해온 것이 최근의 가속이라고 말하는 것도 적절치 않은 수준으로 문명의 발전을 이루게 된 힘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저자들은 기왕의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힘, 즉 창조하는 뇌가 가지는 휘기, 쪼개기, 섞기 등 세 가지 전략을 소개합니다. ‘휘기’는 원형을 변형하거나 뒤틀어 본래의 모습에서 벗어나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쪼개기’는 전체를 해체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섞기’는 2 가지 이상의 재료를 합하는 과정입니다. 저자들은 대표적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분야로 회화, 조각 등의 예술분야와 건축 등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창의성이란 타고나는 것이라기보다는 훈련을 통하여 몸에 배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창의성과 혁신에 도움을 주는 교훈이 있는데, 먼저 첫 번째 해결책에 올인하지 않는 게 좋은 습관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무엇을 만들어내는 혁신은 하나에 매몰되지 않는 유연성에서 출발한다는 것입니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고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새로 낸 아이디어를 버리는 것을 시간 낭비라 생각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또한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특히 젊은이들을 혁신의 주인공으로 키워가려면, 의미 있는 일을 하게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상을 주라고 합니다. 예술은 창의성을 꽃피우게 만듭니다. 생각해보면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는 기초보다는 즉각 응용할 수 있는 것을 집중적으로 공부하도록 하는 교육을 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긴 안목으로 보면 기초를 탄탄하게 만든 뒤에 응용을 얹어야 하는데, 이런 과정은 성과가 쉽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채택하는데 두려움을 가지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