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심 권하는 사회 - 내가 부족하다는 생각은 어디에서 오는가 자기탐구 인문학 3
브레네 브라운 지음, 서현정 옮김 / 가나출판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못이나 죄를 인식한 인간이 경험하는 정서는 죄책감과 수치심, 두 가지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에 대해 후회하고 자책합니다. 죄책감이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효과를 만들어내는데 비해 수치심은 잘못을 인정하는 경향을 낮추고 부도덕한 행동을 할 가능성을 더 높입니다.
'부끄러운 줄 알라고 강하게 질책 받으면 행동에 대해서만 수치심을 느끼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들 가운데 수치심을 ‘인간을 불행하게 하는 정서’라고도 합니다. 그만큼 수치심은 단순히 행동에 대해서 느끼는 감정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해 수치스럽게 느끼도록 만들어 버리기도 합니다.
 저자 브레네 브라운은 어딘가에 속하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 모든 사람의 본능적인 욕구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수치심은 이 욕구의 충족을 방해합니다.
 수치심은 타인과의 단절, 무리에 소속되지 못하게 만드는 두려움에서 시작되는 동시에 그러한 두려움을 유발하니까요. 안타깝게도 수치심에서 완전히 벗어날 방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저자는 수치심 회복 탄력성은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하며,​ 수치심을 증가시키는 문화적 요인 및 개인적 상황에서 수치심 회복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네 가지 방법으로 '수치심 촉발제 파악하기, 비판적 인식 실천하기, 손 내밀기, 수치심 말하기'를 제안합니다.
그 회복탄력성의 뿌리는 연민과 공감이다. 흥미롭게도 저자는 공감이야말로 수치심의 반대라고 강조합니다. 수치심이 대중매체를 위시한 현대 주류 문화가 반복적으로 조장하는 사회문화적 질병이라면, 이 유행병을 극복하기 위해선 공감, 연민, 용기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그 탄력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일정한 훈련이 필요합니다. 내 안에 도사린 수치심의 정체를 스스로 알아내는 것, 한발 물러서서 시야를 확장하는 것, 다른 이에게 손을 내밀고 내 안의 고통을 말로 표현하는 것, 남들의 시선과 평가에서 자유로워지는 것 등입니다. 
 수치심이 개인의 정서 건강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며, 비단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저자의 견해에는 동의합니다. 개인적인 문제로만 둘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개인과 사회 모두에 이익이 된다는 부분에도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수치심이라는 감정은 마주보고 들여다보기 어려운 감정인듯 합니다. 저자의 말처럼 수치심이 진심 어린 관계 안에서 '나다운 나'로 살 수 있게 도와주는 고마운 매개체가 되어주겠죠 이제 더이상은 이 감정을 외면하지 말아야 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