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ㅣ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이 책은 네 개의 분야(대중문화, 세상,인간,인문학)를 바라보는 과학자의 시선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인 홍성욱 교수는 이를 '크로스(Cross)'라고 표현했다. 요즘 말로 치면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융합과학 이야기입니다.
과학과 인문학은고등학교때부터 나뉘어져 있던 문과, 이과 처럼 서로 융합할 수 없을 듯하고,서로 다른 벽을 쌓고 있고 진입장벽 또한 높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이 책은 과학과 대중문화의 '크로스'를 볼 수 있는 다양한 사례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과학과 인문학을 나누는것 자체가 의미가 없음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전에 읽었던 과학 도서와 비교해보면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 이유는 책의 내용이 원래 서울대학교 교양과목인 '과학기술과 대중문화'에서 출발했기 때문입니다. 저자가 밝힌 바에 따르면 이 과목은 이공계열 학생은 물론 인문계열 학생이 함께 들었던 수업이라고 합니다. 특히 이를 통해 과학기술을 문화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생각할 수 있었다고 밝힙니다.
실제 책에서 소개된 사례도 인문학적 소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 이야기는 '유전자 편집'이었습니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인간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 인문학의 역할은 '유전자 편집'의 옳고 그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그러면, 현재 과학이 인문학자를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당연히 단일한 시선의 한계를 느꼈기 때문일 것입니다. 과학에서 이만큼 다가왔으면 인문학도 그들과 대화할 수 있게 과학 소양을 갖춘 인문학자가 필요함을 느끼고 인정하고 배출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책처럼 융합과학을 다룬 책이나 관련 콘텐츠가 더 많이 나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봤던 영화나 책도 있고 못봤지만 꼭 봐야 할 책들도 있었습니다.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은 언제나 인간을 이롭게 할것인가. 과학의 진보가 인류에게 선사하는 것이 진정한 유토피아인지 아니면 결국 모든 것을 잃게 만드는 디스토피아인지 누구도 가늠하기 힘든 현실입니다. 분명한 것은 지금 우리 모두의 성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입니다.
특히,1984나 멋진 신세계는 우리의 진정한 가치의 상실로 인해 생긴 디스토피아 세상이며 이런 작품을 통해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은 진정으로 소중히 여기는, 가치있는 것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간직할 수 있는지, 노력해야 하는지에 대해 보여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