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이 없는 시대가 온다 - 경제적 자유인가, 아니면 불안한 미래인가
새라 케슬러 지음, 김고명 옮김 / 더퀘스트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심심치 않게 긱경제라는 말을 많이 들을 수 있습니다. 긱(Gig)이란 '일시적인 일'이라는 의미입니다. 1920년대 미국 재즈클럽 주변에서 단기계약으로 연주자를 섭외해 공연한 데서 유래했다고는 합니다.
 과거에는 각종 프리랜서와 1인 자영업자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됐지만, On demand 경제가 확산되면서 온라인 플랫폼 업체와 단기 계약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변화했습니다.
우버, 블랙제트, 스탯, 메커니컬터크 등과 같은 스타트업이 늘어나면서, '독립계약자'로 불리는 새로운 피고용자가 생겨났습니다. 이러한 고용구조는 교대근무도 상사도 제약도 없는 장밋빛 미래일까요? 기존 직업 구조의 종말을 예고하며 새로운 직업의 구조가 등장했지만, 예상처럼 장밋빛 미래는 아닙니다. 독립계약자로 불리는 기존 고용형태에서 직원들이 누리는 복지를 누릴 수 없습니다. 우버의 경우, 본인이 보험금, 유류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큰돈을 벌 수 있다고 우버는 홍보하지만, 유류비, 보험금 등과 같은 비용을 빼면 큰돈을 벌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노동 착취가 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없는 사각지대에 있는 셈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고용구조의 등장에 따라, 법적인 제도와 '독립계약자'와 같은 노동자들이 보호받을 수 있는 사회적인 장치가 생겨야 합니다.

새로운 직업이 생겼지만 과연 좋은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남습니다. 예전에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수익을,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통해서 가져올 수 있었고 경험이나 기술이 없어도 웬만한 일이 부적격이라 생각하여도, 다양화된 플랫폼으로 인해서 수익창출이 가능해졌습니다
초저가 상품과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서 고객을 유치하는 요즘과 달리 예전에는 쿠폰이나 직접 현물을 접할 수 있는 형태의 광고를 했다면, 이제는 한국의 쿠팡처럼 플랫폼을 통해서 경제가 바뀌고 그리고, 직종이 없어질 것이며 새로운 직종이 많이 나타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직접 얼굴을 맞대고 사람을 관리할 필요가 없어졌고, 기업과 노동자의 관계에서 인간적인 면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합니다. 그만큼 기술이 발전되었고, 사람은 퇴화 하지만 기술은 발달하니까요

긱 경제의 양면성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희소성과 전문성이 높은 기술을 보유한 사람들인 IT 전문가,프로그래머,기자,크리에이터 등에게 긱 경제는 자유롭고 독립적인 경제활동인 반면 희소성이 낮은 기술을 보유한 사람들인 청소원,운전기사,단순노동자들에게는 실업과 번아웃에 대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책은 직접적으로 좋다, 나쁘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습니다. 단지 여러 명의 에피소드를 들려줍니다. 즉, 그들이 어떻게 일을 시작했는지, 새로운 일하기 직전의 상황을 설명합니다.

 프리랜서의 시대가 펼쳐진다고 할 수 있지만 좋은 것인가에 대한 의구심과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예전에 직장이나 돈으로 인해서, 포기했던 스토리를 책에 잘 나타나있고 그다음에는, 긱 경제가 살아나면서 어떻게 인생을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서 잘 알게 되었습니다.
취업이냐, 창업이냐 그리고 계속 근무할 것인가, 퇴사할 것인가 긱 경제를 선택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여다볼 수 있고, 긱 경제에서, 노동자의 일상을 알 수 있었던 내용이 참 많았습니다.
다만, 긱 일자리가 시대의 흐름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조류에 우리가 어떻게 대처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어떻게 불안한 미래에 대처해야 하는지와 같은 대안을 제시해주지 않은 것은 아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