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커리어 가이드북 - 유학생을 위한 해외 취업 코디네이터
조주형.홍성현.홍정택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4월
평점 :

글로벌 커리어 가이드라고 해서 글로벌 기준에 맞는 능력을 갖추는 방안들을 안내하는 책은 아니다. 오직 ‘유학생’을 위한 안내, ‘유학생’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으로, 해외에 지출하고자 하는 이들이 아니라, ‘해외에 나가 있는’사람들에 대한 조언이 가득하다.
책의 앞부분은 유학파에 대한 국내의 인식 한계나 근무 환경의 차이를 이야기 하고, 해외 취업이 필요한 이유를 실핀다. 그 다음부터는 각 대학에서 영주권 취득에 유리한 분야 등을 보는데 이 점만 봐도 이 책이 국내파를 대상으로 나온 책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관심사나, 비자, 영주권 신청 등에 소요 시간과 각 자격의 차이 및 비용. 캠퍼스 내의 전문적인 동아리 활동을 통한 취업 준비 (미국은 우리나라와 달리 수시채용이 기본이라 이런 동아리에서 미리 인맥을 만들어 두어야 유리하다), 네트워킹 접근 및 활용 방법, 인턴십, 유학생의 병역 문제 안내 (현역, 카투사, 통역장교) 등까지 안내 하는데다가, 각 장의 인터뷰를 이용해 해외 금융 회사의 업무량, 로스쿨 등 전문직으로 가기 위한 이야기 등까지 생생한 예시도 담고 있어 더욱 읽어볼만하다.
그러나
다만 철저하게 유학생을 대상으로 나온 책이라서 일단 ‘유학’에 성공한 이들이 글로벌 커리어를 쌓고, 진출할 수 있는 안내서로 기능에 충실하지만, 역시 우리나라에서 글로벌 커리어에 맞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 게다가 미국의 기업문화가 우리나라보다는 합리적일 수 있겠으나, 미화된 면이 없지 않아 보인다. 미국이 철저하게 실적 중심으로 움직이는 건 사실이지만, 이런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아름답기만 할까? 오히려 더 큰 문제는 없을까?
그리고 책의 상당 부분이 재무나 경영 쪽에 치우쳐 있는데, 물론 경영이나, 컴퓨터 등이 해외진출하기 좋은 업종이겠지만, 더 넓은 이야기가 없어서 아쉽고, 책에서 이야기하는 ‘글로벌’이 미국이나 홍콩 같이 한 손으로 셀 수 있는 정도밖에 나오지 않아, 더욱 그렇다.
예를들면, 유럽이나 중동, 일본 같은 아시아 진출을 희망하는 이에게는 아무래도 가치가 적고 중국유학생이나, 프랑스 유학생에게는 기업 인턴 등에서 큰 차이가 있을 테니 일반화 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 더 아쉽다.
그냥 게다가 이 책을 만남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해외 취업문을 여는데 도움이 될까? 별로 그렇지 않다. 네트워킹 등이 의미 앖어지니........ 클로벌 커리어 가이드란 이름보다는 ‘유학생 진로 안내서’ 나 ‘유학생 커리어 가이드’ 정도로 하면 더 나은 제목이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