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 stubbornly persisting in being, encumbering the planet with one's presence for centuries, really necessary? One cannot help thinking of Odysseus' paradox: taken in by the nymph Calypso after a shipwreck on his way back to Ithaca, he is cared for, fed and loved for seven years by his hostess, whose lover he becomes. Then Calypso proposes to make him immortal. But Odysseus, weeping on the seashore, dreams of returning to his family. Calypso is tiring him out, forcing him to make love to her every night. Even if his Penelope is not as splendid as the goddess, he wants to go home, to see his native land and people again. The attraction of the familiar is stronger than the seductiveness of the unknown. (p. 161)

... It is the brevity of existence that is the true miracle, not the phantasmagorical construction of religions promising us beatitude -- that is, from our point of view, an endless dullness... If there is an eternity, it is here and now, where we live. (p. 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엄하게 산다는 것 - 모멸의 시대를 건너는 인간다운 삶의 원칙
게랄드 휘터 지음, 박여명 옮김, 울리 하우저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생물학자인 저자로부터 뇌의 가소성(plasticity)에 대해 배웠다. 나와 남의 존엄을 지키며 살자는 주장은 어찌 보면 당연해서 새로울 것이 별로 없다. 결국 모든 것은 실천의 문제이다. 책을 읽으며 별 재미를 느끼지 못해서, 내가 생물학이나 뇌과학에 별 관심이 없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세대의 역할에 대해:


각 세대는 역사에서 맡은 명확한 역할이 있다. 그 역할 이후는 다음 세대가 주역이 된다. 각 세대는 긴 사슬에서 하나의 연결 고리이다. 사슬은 고리 이전에도 있었고 이후에도 있을 것이다.


Each generation can play only a precise historical role, after which it has to yield to the next. It is a link in a long chain that has preceded it and will survive it. (p. 153) 

우리 세대가 맡은 역사적 역할은 무엇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의 '성공'에 대해:

Our desire's most cherished object has value only if it remains inaccessible and especially unknown: it is the movement that we prize more than the objective; it is remaining mobile that makes us alive. Some people strive to avoid complete success in their domain in order to leave themselves a future and not bar its way. (p. 1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레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81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상은 논리를 뛰어 넘는다. 논리적 모순 속에서 진실의 한 조각을 엿볼 수 있다. 진실은 미친 사람에게만 보이는 것일까. 현대 물리학은 논리적 모순을 평행우주 등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여기에, 나는, 왜, 있는 것일까. 알레프. 이해할 수 없어도 받아들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