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사이언티스트> 특별기사(2016.09.03)의 첫 번째 주제는 '내가 존재하는지 어떻게 아는가?How do I know I exist?'이다. 내가 '정말로' 존재하는지, 누군가의 시뮬레이션 속에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 마치 매트릭스 영화처럼, 내 경험을 누군가 만들어서 그냥 넣어주는 것은 아닌지 어떻게 아느냐는 것이다. 동양식으로 말하면 이게 다 꿈이 아닌지 어떻게 아느냐가 되겠다. 이것은 너무 어려운 질문이므로 기사는 질문의 의미를 바꾸어 '내가 존재한다는 느낌을 누가(어디서) 만드는가'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결론을 바로 말하자면 우리의 뇌가 주변의 정보를 종합해서 우리가 '존재'한다는 느낌을 만들어 준다는 것이다. 실마리로 언급되는 것은 코타드 증후군Cotard's syndrome이다. 이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갖는다고 한다. (어떤 느낌일지 상상이 되지 않는다.) 브레인 스캔을 통해 밝혀낸 바로는 이러한 증후군을 갖는 사람들은 뇌의 특정 부분에 이상을 보이는데, 이 부분은 보통 우리 몸과 감정 상태를 인식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존재한다는 느낌은 뇌가 만들어낸다는 것인데, 뇌란 일종의 예측기계prediction machine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우리의 생존을 위해 뇌는 우리 몸과 주변의 신호들을 종합해서 무엇이 이 신호들을 야기시키는가를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예로, 우리가 만약 절벽 위를 걷고 있다면, 뇌는 이대로 계속 걸어갈 경우 절벽에서 떨어질 것이라는 것을 인지(예측)해야만 한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뇌는 사전지식을 가지고 자기 모델의 정확성을 계속 테스트해야만 한다. 독일 마인츠 대학의 메칭어Metzinger 교수는 "뇌란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려고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시스템이다"라고 말한다.
어려운 질문에 대한 실제적 대답이다. 과학이 우리에게 제시하는 바는 우리 존재란 뇌가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나'는 뇌 속에 존재한다. 하지만 어려운 질문에 대한 해답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 이 모든 것, 이 모든 연구, 이 모든 세상, 내가 얻는 모든 경험이 '누군가'가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아는가? '누군가'는 하나님일 수도, 기사에 따르면 '악마'일 수도 있다. 데카르트는 이 질문에 대해 '하나님은 선하시므로 우리를 속일 리가 없다'는 결론을 얻고 '나는 생각한다, 고로 (확실히) 존재한다'라고 말했다. 이를 현대과학적 표현으로 바꾼다면 아마 이렇게 될 것 같다: '나는 뇌가 있다. 고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