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간된 전쟁으로 보는 국제정치 시리즈이다. 책 자체는 비교적 얇은 편이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정치적, 경제적 면모를 살피면서 20세기의 주요 전쟁 이면을 살펴보고 있다. 전쟁의 진행 상황도 나오긴 하지만 그보다는 이면의 국제정치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배경지식을 조금 가지고 있어야 읽기 쉬울 것 같기도 하다. 인터넷에 연재한 글을 엮었다고 하는데, 저자의 내공이 상당한 듯 싶다.















첫 번째 책은 러일 전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단순히 쓰시마 해전으로 승리했다고 피상적으로만 알던 러일 전쟁에 대해 유익한 정보를 많이 얻었다. 

러시아와 일본은 만주와 한반도를 놓고 경쟁했으며, 러시아가 주도한 삼국간섭을 통해 일본은 청일전쟁에서 얻은 요동 반도를 반환해야 했다. 이것이 러일 전쟁의 단초를 제공했다. 

- 러일 전쟁은 육지에서도 양국군 수십 만이 참여한 최초의 근대전을 벌였다. 러시아가 차지하고 있던 뤼순항 공방전, 만주의 봉천 회전 등을 통해 일본만 해도 십만 명 가까운 사상자를 냈다. 

- 영국은 러시아의 팽창을 막기 위해 러일 전쟁에서 직간접적으로 일본을 지원했다. 일본의 국채를 사서 전쟁 비용을 대주었으며, 러시아 발트 함대의 자국 식민지 기항을 막았다.

- 1년 반 정도 지속된 전쟁에서 일본은 모든 국력을 끌어모은 총력전을 펼쳤다. 일본 국민은 군인으로, 세금으로 희생해야 했다. 

- 쓰시마 해전을 통해 러시아 해군은 거의 전멸했으며, 1, 2차 세계 대전에 이르기까지 거의 회복하지 못했다. 

- 러일 전쟁을 통해 일본은 자신감을 얻게 됐으며, 당연히 강대국인 러시아가 이길 것이라는 기대를 깨고 국제 무대에 충격적으로 데뷔했다. 심지어 다른 아시아인들도 자랑스러워했다. 

- 러일 전쟁의 결과 일본은 한반도를 식민지화하고, 만주에서 러시아를 대체해 결국 만주마저도 차지하게 된다.

- 이러한 성공 스토리는 일본의 미래 전략에 영향을 미쳤다. 육군은 정신력이 물량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되었으며, 해군은 전쟁의 승패를 결정짓는 함대 결전에 집착하게 되었다. 결국 러일 전쟁은 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의 실패를 잉태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책은 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촉발된 해군 군비경쟁을 어떻게 조약을 통해 풀어나갔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영국, 미국, 일본 등은 워싱턴 해군조약과 이후의 런던 해군조약을 통해 군함을 건조할 수 있는 상한을 정해서 경쟁을 제한하려고 했다. 주력함에서 미국, 영국의 60%에 묶인 일본은 당시 불만이 상당했지만, 실제로 미국, 영국과의 군비경쟁이 무리였던 일본으로서는 오히려 성공이라고 봐야 한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이후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2차 세계 대전으로 나아가는 세계에 대해 설명한다.

- 일본 해군의 전략(점감요격작전)

- 만주국의 탄생

- 히틀러의 집권과 프랑스의 마지노선 등


전문적 학술서는 아니지만, 인터넷에 연재했던 글답게 읽는 재미가 있다. 제대로 소화하려면 한 번 더 읽어 봐야 할 듯도 싶다. 책의 크기나 스토리 텔링이 과학 분야에서 요즘 나오는 <스낵 사이언스> 시리즈 느낌도 든다. 


16/11/30. 러일전쟁, 전간기의 해군 군축조약을 거쳐 이제 태평양 전쟁으로 끌려 들어가는 일본에 관해 기술하는 시리즈 제3권이 출간되었다!

17/07/26. 태평양 전쟁의 2탄, 전체 시리즈의 제4권 추가.

17/12/11. 태평양 전쟁의 종막을 다루는, 시리즈의 마지막 권 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