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발 제국주의(영국, 프랑스)와 후발 제국주의(독일, 일본, 이탈리아) 사이의 전쟁으로 2차대전을 바라보는 이 책의 전반부는 2차대전 진행상황의 요약이다. 일반 전쟁사 책처럼 자세하지는 않지만 그 흐름을 따라가기에 좋다. 전쟁에서 일어나는 여러 결정의 배경에 대한 설명이 있어서 전쟁을 다른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1942년 후반부에 일어나는 세 가지 전투--태평양 전선의 과달카날 전투, 북아프리카 전선의 엘 알라메인 전투, 유럽 전선의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저자는 2차대전의 세 전환점이라고 부른다. 추축국의 점령지가 최대로 확장된 지역에서 연합국과 맞붙어 패배하기 때문이다. 이 이후 추축국은 긴 수세로 접어들며 점령지를 하나 둘 잃게 된다. 


처칠은 엘 알라메인 전투가 승리로 끝난 이후, 이것이 전쟁의 "끝이 아니며 끝의 시작도 아니지만, 아마도 시작의 끝"이라는 현란한 연설을 했다. 1943년 1월, 영국과 미국은 향후 전략을 조율하기 위해 북아프리카의 카사블랑카에서 회담을 열었다. 미국은 원래 북아프리카 침공보다 프랑스 침공을 원했고, 북아프리카 침공이 성공적으로 끝난 당시에도 그렇게 하기를 원했다. 하지만 영국은 북아프리카 작전이 끝나는 대로 이탈리아 침공으로 이어가길 원했다. 미국은 영국의 설득에 밀려 북아프리카를 침공하면서도 이것이 영국의 제국주의적 이익을 지키는 일에 말려들어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졌다. 영국은 이집트와 중동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국 미국은 영국의 제안대로 이탈리아 침공으로 전쟁을 이어가게 되고, 프랑스 침공은 1944년으로 미뤄지게 된다. 만약 1942년 말이나 1943년에 미국이 프랑스를 침공했다면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아마 미국은 더 멀리 진격해서 독일 전역을 점령하고 동유럽 일부도 미국에 의해 해방됐을 수도 있다. 물론 미군은 독일과 싸우면서 훨씬 더 많은 피해를 봤을 것이다. 하지만 그랬다면 독일의 분단이 없었을 수도, 폴란드나 체코도 미국의 영향권 아래에서 발전했을 수도 있다. 이렇게 전후 역사는 완전히 달라졌을 수도 있겠다는 상상을 해본다. 


비슷한 일이 태평양 전선에서도 있었다. 대만 침공에 이은 중국 본토 상륙이냐 아니면 오키나와 침공이냐를 두고 미국도 고민을 했는데 결국 오키나와 침공으로 결정이 났다. 만약 미군이 중국 본토에 상륙했다면 중국이 국공내전으로 그렇게 빨리 공산화 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는 아쉬움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일을 되돌릴 수는 없다. 오늘 만드는 역사는 어떻게 후세에 기록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