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넷Tenet>에 나왔던 존 데이비드 워싱턴 주연의 SF 영화인 <크리에이터The Creator>가 최근 개봉했다. 요새 영화에서 많이 다루는 주제인 AI가 여기서도 나오는데, 이제는 AI가 인간과 어울려 평화롭게 살 '권리'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인간은 주변 사람들이 자신과 같은 의식을 갖는 존재라는 생각을 갖도록 진화되어 있다. 다른 사람의 내면이 실제로 어떤지 몰라도 그렇다. 주변의 사람들에게 자신과 같은 감정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인간은 반사회적 사이코패스일 것이다. 더욱이 우리는 종종 사물인 인형에게도, 심지어 자동차에게도 자신을 투사하여 마치 의식이 있는 것처럼 말을 걸기도 하고 이름을 지어주기까지 한다. 


만약 주변에 AI 로봇이 있다면 어떻게 대해야 할까? 이 AI 로봇은 마치 사람처럼 행동하고 말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를 인간처럼 권리를 갖는 존재로 대해야 할까? 만약 영화에서처럼 AI 로봇을 모두 폐기하기로 결정했다면, 마치 생명을 빼앗는 것처럼 가슴 아파해야 할까? 영화에서는 인간의 모습을 한 AI를 죽이며(또는 폐기하며) 인간은 계속 "이건 단지 프로그래밍일 뿐이야"를 되뇌인다. 


과연 AI 로봇에게 의식이 있을까. 많은 컴퓨터 과학자들은 그렇다고 믿는다. 우리가 그 존재와 대화하여 인간인지 아닌지 알아낼 수 없다면 인간과 마찬가지로 의식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튜링 테스트'이다. 하지만 울프 다니엘손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The World Itself> 5장). 의식은 육체와 결합한 특별한 현상이며, 논리만으로, 또는 소프트웨어로 만들어낼 수 없다고 믿는다. 그는 AI를 인간의 형태로 만들면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크리에이터> 영화에서 다루듯 우리는 인간과 닮은 로봇에게도 우리와 같은 내면이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로봇은 인간을 위해 만들어진다. 인간과 같이 '실존이 본질에 앞서는' 존재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AI 로봇은 만들어진 '본질'을 떠나서는 권리가 없다. 인공지능이 인간으로부터 독립된 자율성을 획득하면 어떨지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데, 현재로서는 범용 인공지능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여러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크리에이터>는 재미있는 오락영화이지만, 오락영화 이상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