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의 섬>에는 공간과 시간에 대한 대화도 들어 있다. 파리의 철학자 동아리에서 파스칼(1623~1662)로 생각되는 청년도 함께 참여해서 했던 논의를 회상하는 부분이다.
... 자유 사상가 동아리 중의 하나가 그 말을 받았다. ⌜... 허공은 시간과 같아. 시간은 질량의 운동이 아니라네. 왜냐? 운동은 시간에 종속되어 있지만 시간은 운동에 종속되어 있지 않거든. 시간이라고 하는 것은 무한한 것, 창조의 대상이 아닌 원천적인 존재인 것, 영속적인 것이거든. 시간은 공간의 결과가 아니야. 시간은...... 말자자면 그 자체로서의 그것인 것, 허공도 마찬가지라네. 역시 그 자체로서의 그것인 것이라는 말이네.⌟ (594~595 페이지)
“... The Void is like time,” one of the Roberto’s libertine friends commented. “Time is not the quantity of movement, because movement depends on time and not vice versa; it is infinite, increate, continuous, it is not an accident of space... Time is, and that is that. And the Void is. And that is also that.” (p. 432)
절대공간, 절대시간에 대한 생각이 위의 진술에 들어있다. 번역이 좀 어렵긴 하지만 원문의 뜻을 전달하고 있다. 디뉴 신부가 부연한다.
누군가가, 어떤 사물을 설명하면서 정의에 접근하지 않고 <그 자체로서의 그것인 것>은 정밀하지 못한 태도라고 항변했다. 거기에 대해 디뉴 신부가 이런 말을 했다. ⌜여보게들. 옳은 말이네. 공간은 시간도 물체도 아니고 기(氣)도 아니야. 굳이 설명을 요구한다면 무형물이라고 해도 좋겠지.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실재하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네. 시간과 공간은 어떤 원인의 우유적(偶有的)인 결과도 아니요, 그렇다고 해서 실체인 것도 아니야. 그런데도 불구하고 천지창조 이전부터 있어 오던 것, 어떤 우유적인 결과나 실체에도 선행하는 것, 모든 실체가 그 모습을 감추고 난 뒤에도 계속해서 존재하게 될 어떤 것이라네. 그 안에 무엇을 어떻게 넣건, 시간과 공간이라는 것은 바꿀 수 없는 것, 변경시킬 수 없는 것이라네.⌟ (595 페이지)
Some protested, saying a thing that is and that is that, without having a definite essence, might just as well not be. “Gentlemen,” the Canon of Digne then said, “it is true, space and time are neither body nor spirit, they are immaterial, if you like, but this does not mean they are not real. They are not accident and they are not substance, and yet they came before Creation, before any substance and any accident, and they will exist also after the destruction of every substance. They are immutable and invariable, whatever you may put inside them.” (p. 432)
20세기 초, 상대성 이론은 절대공간, 절대시간이란 개념을 부숴버리고 새로운 개념—시공간—을 도입했다. 이제 공간과 시간은 더 이상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는 존재가 아니다. 어쨌든 과학혁명이 시작되어 곧 뉴튼의 만유인력 법칙으로 절정을 맞게 될 시점에서, 이들의 논의를 지켜보는 것은 흥미롭다.
에코는 이후, 로베르토를 통해 의식과 영혼에 대한 상념을 이어가며 돌의 생각에 대한 언설도 늘어놓는다.
하느님 맙소사...... 나에게 영혼이 있다는 것이 대견하다. 돌도 영혼이 있다는 것을 대견하게 여길 것이다. 그런데 나는 돌에게도 영혼이 있다는 바로 그 사실에서, 내 영혼이 내 육신을 살려 내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런데 나는 왜 돌 노릇을 즐기면서 돌에 대한 생각을 계속하는가? 죽으면 나에 대한 것은 아무것도 모르게 될 터인데...... (660 페이지, 밑줄 추가)
위의 번역에서는 잘못된 부분(밑줄)이 있다.
My God, I could enjoy the soul, and even the stones could enjoy it, and precisely from the soul of stones I learn that my soul will not survive my body. Why am I thinking and playing at being a stone, when afterwards I will know nothing further of myself? (p. 480, 밑줄 추가)
“my soul will not survive my body”에서 “survive”는 ‘~보다 오래 살다’의 의미이므로 결국 ‘내 육신이 죽으면 내 영혼도 사라진다’는 말이다. 이렇게 번역해야 뒤의 “죽으면 나에 대한 것은 아무것도 모르게 될 터”라는 문장이 잘 이어진다. 의식에 대한 현대의 ‘물리주의’적 관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로베르토와 그의 “자유 사상가” 친구들의 우주와 인간에 대한 생각이 매우 현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주기 위해 에코가 의도한 바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