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리커버)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품절


어떤 계기로 '열 번의 계절'을 거치며 글을 써 책을 내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글솜씨가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며 읽었다. 요즘 같은 (물신주의) 세상에, 불모지 한국에서 천문학으로 학위를 하며, 결혼을 하고, 애를 키우며, 학위 후에는 계약직 맞벌이 엄마로 생활하며 연구하는 젊은 천문학자에게 박수를 보낸다.


글은 매우 솔직하게, 천문학과 학부생 때 일화부터 행성학자로서 타이탄과 달에 대해 연구하며 겪었던 일과 느꼈던 생각을 잘 풀어낸다. 이과생이 이런 글솜씨 갖기가 쉽지 않을 것 같은데, 학창시절 백일장에 나갔다면 수상을 여러 번 했을 것 같다. 김상욱 교수의 글을 처음 읽었을 때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감탄이 나오는 글솜씨임에는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이, 천문학을 전공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없다고 얘기하는 것이다. 그나마 언급되는 것은 그림과 사진이 대부분인 과학잡지 <뉴턴>인데, 이마저도 큰 의미가 없는 것처럼 얘기한다. 재미있게도,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아직 다 읽지 못했다고 고백하는데, 이것 참, 세대차를 느낀다고 해야 할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은, 여러모로 재미와 감탄을 자아낸다. 예컨대 '창백한 푸른 점'이라는 글에서는, 보이저 탐사선이 태양계를 떠나며 찍은 지구 사진 얘기와 엮어 자신과 아이의 어른으로의 성장에 대한 감상을 풀어낸다.


지구를 떠난 탐사선처럼, 내가 나의 삶을 향해 가열차게 나아갈수록 부모님과 공유할 수 있는 것은 줄어든다. 그렇게 점차 멀어져만 가는 것이다. (154 페이지)

보이저는... 춥고 어둡고 광활한 우주로 묵묵히 나아간다. 그렇게 우리는 각자의 우주를 만들어 간다. 그렇게, 어른이 된다. (156 페이지)


한 구절만 더 인용한다.


  지구 밖으로 나간 우주비행사처럼 우리 역시 지구라는 최고로 멋진 우주선에 올라탄 여행자들이다. 어쩌면 그래서 우리의 생이 그토록 찬란한 것일까. 여행길에서 만나면 무엇이든 다 아름다워 보이니까. 손에 무엇 하나 쥔 게 없어도 콧노래가 흘러나오니까. (259페이지)


여러가지로 재능 있는 젊은 연구자의 앞길에 밝은 미래가 함께 하기를 빈다.


---

[*] '프롤로그'에서 연주시차에 대한 고등학교 시절의 일화를 언급하는데, 이해가 가지 않아 기록해 놓는다. 선생님이 칠판에 점 두 개를 가깝게 찍어 놓고, 맨 뒤에 앉은 학생에게 몇 개냐고 물었더니 '한 개'라는 대답을 얻었고, 맨 앞에 앉은 학생에게는 '두 개'라는 답을 얻었다는 것이다(10 페이지). 그러고는 연주시차에 대한 설명을 하는데, 이 일화가 왜 연주시차의 예가 되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