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는 과연 디스토피아일까? <바람계곡의 나우시카>는 일본 애니메이션 전통의 하나인, 전쟁 후 황폐해진 세계에서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거대 산업문명"의 붕괴 후 황폐해진 지구에는 오염되어 마스크를 써야만 하는 '부해'라는 숲이 점점 영역을 넓히고 있다. 외출할 때 마스크를 써야만 하는 현재의 상황과 겹쳐 굉장히 공감이 가는 애니메이션이라 할 수 있다. 오히려 우리보다 더 나은 것이, 부해 밖에서는 마스크를 쓸 필요가 없다.


다양한 인간 군상과 액션은 이야기를 흥미롭게 이끌어 준다. 1984년 작이지만, 여전히 유효한 메시지와 함께 재미있게 볼 수 있다. 결국 공감compassion을 통한 구원이라는 메시지를 이 작품은 전해 주는데, 너무 감성에만 치우친 것일까. 이성과 감성 중 이성이 세상을 망하게 했으니 이해가 가는 측면이 있다. 


디스토피아를 피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가장 강력한 무기가 이성(과학)이라는 주장을 하는 책이 있다. 칼 세이건의 부인이었던 앤 드리앤의 최근작 <코스모스 - 가능한 세계들>이다.















한국어판 서문이 특별히 있는 이 책은, 우리가 이대로 가만히 있으면 세계는 디스토피아를 향해 간다고 말한다. 어려움 속에서도 세상을 위해 다양한 기여를 한 '영웅'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의 맹성과 행동을 촉구하는 것이 이 책의 한 메시지라고 할 수 있겠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의 영혼을 계승했다는 문구가 책 뒷면에 있는데, 구성이나 이야기 전개 방식, 다루는 주제가 상당히 유사해서 동감하게 된다. 이미 고인이 된 칼 세이건에게 바치는 사랑의 헌사이자 우리에게 주는 희망의 메시지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역사를 살펴 보면, 전지구적 전염병의 유행이나 전쟁의 위험을 인류는 그래도 모두 넘기며 멸종을 피해왔다. 앞으로도 그럴 수 있을까. 우리 손에 쥐고 있는 기술이라는 장난감을 우리를 파괴하는데 사용하지 않고 유용한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여기에는 정치 지도자가 매우 중요하며, 좋은 정치 지도자를 고르고 압력을 가하는 시민들의 역할과 깨달음이 핵심적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