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1일 개봉 예정인 영화 <미드웨이>. <인디펜던스 데이>의 롤란트 에머리히[*] 감독에 에드 스크라인, 루크 에반스, 우디 해럴슨, 맨디 무어 등이 나온다. 에머리히 감독이 평소 만들고 싶어했던 인생 프로젝트라던데, 태평양 전쟁의 시작인 진주만 기습, 둘리틀 공습, 그리고 미드웨이 해전을 138분의 러닝타임에 욱여넣느라 무리했다는 얘기도 있다. 평론가들의 평은 그저 그렇지만 관객들 평은 괜찮은 것 같다. CG가 엄청 많을 것 같은데, 작은 화면으로 보면 유치해 보이지만 큰 화면으로 보면 의외로 볼만할지 모르겠다.
비슷한 주제를 다룬 영화로는 2001년 작 <진주만>이 있다(마이클 베이 감독, 벤 애플렉, 조쉬 하트넷, 케이트 베킨세일 등 출연). 이 영화는 진주만 기습 이전의 얘기인 영국 전투에서 진주만 기습을 거쳐 둘리틀 공습에서 끝이 난다. 전투 부분의 고증이 정확하지 않아 전쟁 영화로는 별로라고 생각한다.
진주만 기습은 여러모로 볼 때 일본의 전략적, 전술적 실패였다는 평을 받는다. 일본 해군은 진주만에서 미국 태평양 함대를 궤멸시키고 전쟁을 시작하고자 했지만, 미국 해군의 항모는 그림자도 못 본 채 전함만 파괴하고 진주만 기습을 끝낼 수밖에 없었다. 결국 6개월 후 미드웨이에서 그 항모들에 의해 일본 해군 항모부대가 궤멸적 타격을 입는다. 사실 미국 해군이 일본 해군을 미드웨이에서 물리치는 얘기는 영화보다 더 영화적인 측면이 있다. 자세한 얘기는 다음의 책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기발한 대책(기책)을 선호하는 일본인들의 성향에 대해서는 <시사인>의 굽시니스트 만화가 재미있게 보여주고 있다. 기습을 위해 미국에게 선전포고 문서를 건네고 30분 후에 공습이 시작되도록 계획했다는 일본. 결국 선전포고 문서는 공습 개시 1시간 후에 건네졌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193
---
[*] 인터넷을 찾아보다가 독일인인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떻게 미드웨이 해전이 그의 관심을 끌게 되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