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내딛었던 미국의 닐 암스트롱과 그의 가족, 그리고 그의 동료들 이야기이다. 영화는 닐 암스트롱의 시선을 따라서 그가 겪었던 가족적 불행, 훈련과 실패 과정, 그리고 무엇보다 우주 비행사로서의 경험을 보여준다. 지금도 달로의 여행은 쉽게 느껴지지 않는데, 지금과 비교하면 보잘것 없는 컴퓨터와 기술로 인간을 달로 보낸 거의 50년 전의 성취는 정말 대단하게 느껴진다. 로켓의 꼭대기에 타서 돌아올지 모르는 여행을 떠나는 우주 비행사는 또 얼마나 대단한가. 미국인의 프런티어 정신이라는 것, 미국이라는 나라의 에너지, 미국이라는 나라의 위대함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달 표면에 성조기 세우는 장면이 안 나온다고 트럼프는 비난했다던데, 그런 애국주의적 장면이 나오지 않아서 더 세련되게 미국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 거기에 더해 암스트롱의 고독한 내면도... 실제 암스트롱은 내성적이고 조용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영화는 기술적이나 역사적으로 거의 사실에 기반하여 만들어졌다. 딱 하나 영화적 상상력이 가미된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은 영화를 볼 사람들을 위해 말하지 않겠다(아마 보면 바로 알아챌 수 있을 거다). 


영화의 원전이 되는 동명의 책은 영화 개봉과 맞추어 번역되어 출간됐다. 그 옆 2권은 2005년에 처음 출간되고 최근 다시 간행된 원서이다. 
















영화가 지루하다는 평도 있던데, 내게는 아주 좋았다. 인류라는 동물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사업이 달 탐험이라고 생각한다. 당시에도 그 엄청난 돈을 들여 뭐하러 달 탐험을 하느냐는 비판도 많았다고 한다. 그 돈으로 차라리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주는 것이 낫지 않겠냐는 것이다. 아폴로 이후 지금까지 아무도 다시 달에 가지 않은 것을 보면 일리가 있긴 하다. 하지만 인류는 경제적, 사회적, 도덕적으로 옳은 일만을 하는 존재가 아니다. 이성 외에 감성이 있다. 당시 소련과 경쟁하며 국가 자원을 동원하여 목표를 향해 질주하는 미국에게서 뭔가 마초의 냄새가 풍기기도 한다. 물론 국가 경쟁이 전부는 아니다. 산이 거기 있기에 가는 것처럼, 달이 저기(!) 있기에 가는 데에서 인간의 순수한 도전 정신을 느낄 수도 있다. 이런 국가주의, 순수한 탐구와 호기심의 시대는 이제 사라지지 않았나 하는 데에서 뭔가 아쉬움을 느끼기도 한다.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하는 영화이며, 기존의 우주 영화 <그래비티>, <마션>, <인터스텔라>와는 또 다른 측면을 그려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