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당신들 베어타운 3부작 2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피해자가 아니에요. 생존자예요"

600페이지가 넘은 두꺼운 이 소설의 정점을 이루는 문장이다.


옛날 영화 속에 나올법한 작은 마을. 마을 사람들은 똘똘 뭉치고, 어느 가정의 비밀이 비밀이 될 수 없는 그런 마을.

하키라는 중심체가 없었다면 이 마을은 무언가조차 일어나지 않는 깊은 침묵과 고요 속에서 존재조차 희미한 마을...

베어타운의 모습이다.


마을 전 주민의 무조건적인, 그리고 그냥 당연한 듯한 하키 구단을 중심으로 마을의 모든 이야기가 일어난다.

<우리와 당신들>은 베어타운에서 일어났던 사건 이후의 마을 모습이다.

어느 날 한 여자아이가 성폭행을 당한다. 그것도 온 마을 사람들이 무조건적으로 열광하는 하키단의, 하물며 그들의 영웅이라는 남자아이에게 말이다.


마을은 침묵을 선택했다. 무관심을 선택했다.

전적으로 나의 가족에게 일어난 일이라면 그런 침묵으로 도피를 했을까?

나의 식구가 아니라는 이유로, 때로는 그저 이웃이기 때문에 그냥이라는 이유로, 또는 내가 살아가는 것이 먼저라는 이유로, 범죄는 표면 속에 묻힌다.

그 속에 남아있는 모든 것을 그냥 그렇게 덮어버린다.


하지만 그 속에 치열하게 살아남는 이는 분명히 있다.

남아있는 자들과 떠난 자들. 방관하는 자들과 부딪히는 자들, 마을 사람들은 늘 치열하게 싸운다

나와 너. 나와 그들. 그리고 나와 조직들은 늘 치열하다.


무너지는 마을에서 하키 구단의 존재는 마을 그 자체이다.

베어타운과 헤드. 그들의 맞섬은 사람과 사람의 이야기이고 진실과 이익의 이야기이다.

베어타운에 나타난 새로운 코치와 하키 단장. 그리고 베어타운 하키팀의 선수들은 치열하게 맞선다.

사람들의 어긋난 시선과 불편한 시선들과 치열하게 맞선다.


베어타운의 사람들은 어찌 보면, 잘난 사람들이 정해놓은 룰에서 본다면 루저들의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열심히 했지만 내 것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단장. 성범죄 피해자이면서 오히려 더 따가운 시선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마야, 아버지를 사랑하지만 술에 취해 비틀거리는 모습이 부끄러운 아나, 하키 주장을 맡을 자질을 가졌지만 타인과 다른 성 정체성 때문에 공격을 받는 벤이. 그리고 최고의 실력을 가진 최고의 말썽꾼 비다르.


이들의  모습은 잔잔하다. 그리고 가슴이 아프다.

그들을 이해하지만 그들이 부딪히는 일상이 아프다.

루저라고 비웃을지 모르지만 이들은 결코 루저가 아니다.

이들은 뒤로 물러서지 않는다. 악착같고, 지독한 모습은 아니더라도 이들은 여전히 앞으로 걸어가고 있다.


누군가의 희생으로, 누군가의 피해로 또는 누군가의 죽음으로 우리는 나와 당신들을 기억하게 된다.

비록 이어지지 못한 사랑이라고 해도, 비록 거머쥐지 못한 우승이라고 해도 나는, 그리고 당신들은 그 시간, 그장소의 사람들과 그 느낌을 그대로 기억할 것이다.

결코 잊지 않고 그들이 말하고 싶어 했던, 하고 싶어 했던 것을 묵묵히 같이 지니고 같이 기억하게 된다.


소설을 읽는 내내 작은 마을에서 일어나는 그 분주한 소란과 이기심이 참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피하고 싶지만 결코 피할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게 한다. 더러워도 걸어가야 하고, 지긋지긋해도 그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우리의 현실 말이다.


사랑이 아름답게 남아줬으면 좋으련만. 어디 내 맘처럼 그렇게 되나.

사람 일은 전혀 모르는 것이다. 어느 일이 어느 때에 기쁨으로 나타날지 슬픔으로 나타날지..


때론 너희들은 왜 그렇게 당하고만 있냐고 묻고 싶다. 왜 그렇게 멍청하게 당하냐고..

아니. 이들은 당하는 게 아니다. 이들 나름의 방법으로 버티고 헤치고 나간다.

불편하고 아픈 마음을 가진 독자는 이들의 여정을 내내 쫓아가게 된다.

그들이 느끼는 감정과 깊은 한숨 속에서, 그리고 갈등 속에서 이들이 가슴속에 간직하는 그 단단함을 보게 되면서 독자는 비로소 웃게 된다.

울면서 웃는.. 딱.. 그 모습으로 소설 속의 인물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어느 곳을 가던지 이들은 살아남을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세상에서 배척을 받게 된다고 해도 이들은 다시 꿋꿋하게 생존해 나갈 것이다.


"나는 피해자가 아니에요. 생존자예요"


독자들은 이 말의 여운을 오래 느낄 수밖에 없다.

생존... 그 지독한 악랄함 속에서 생존했다.

그래서 이들에게 무조건적으로 따뜻함을 보낼 수밖에 없다. 아무 말도 필요 없이. 그저 따뜻한 응원을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사용설명서 - 내 삶을 사랑하는 365가지 방법
김홍신 지음 / 해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년 365일을 잘 보내야겠다는 새해 다짐을 시작한 것이 벌써 1개월이 지나간다.

이런 다짐을 몇 년을 반복하고, 번복하고  다시 마음먹기를 해왔는지 슬쩍 민망해진다.

 

어느 날 문득 떠올린 나의 다짐이 어떤 것이었더라?는 생각이 들 때쯤 우연히 신간 한 권을 접하게 되었다.

작가 김홍신 님은 글을 쓰고 싶어 하는 제자들에게 "함축적인 의미를 담아 공감할 수 있고 화두가 될 만한 가볍고 짧은 글"을 날마다 하나씩 써보라는 과제를 내주며 자신도 함께 해보기로 마음먹었고. 그렇게 시작한 글쓰기는 어느덧 1년을 채웠다는 책 소개 글이 눈에 띄었다.

"작가 김홍신"이라는 이름만으로도 궁금한 책이지만 무엇보다 1년 365일을 매일 글을 적었다는 그 상황과 진득함에 궁금했다.

과연 작가는 어떤 공감을 어떻게 써 내려가는지, 어떤 이야깃거리를 매일 꺼내볼 수 있는지를 말이다.

1월부터 12월까지 매일매일의 기록에는 작가의 삶과 생각, 인생관 또는 여러 분야의 관심과 철학이 있다. 누구에게 보여주는 글이라기보다는 글을 써 감으로써 나를 다시 생각하고 나를 들여다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책이라고 할까?

길지 않은 글이라 읽기 쉽고. 전문적인 철학이나 지식을 언급하지 않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다.


샘을 청소할 때는 바가지로 물만 퍼내기만 하면 안 된다. 마구 휘저어서 바닥의 흙을 일으켜 구석구석에 가라앉는 미세한 오물들을 걷어내야 비로소 맑은 샘이 된다.

사람 마음도 마찬가지다. 내 마음을 살펴보는 게 마음공부요, 마음을 청소하는 건 사랑이고 용서다.

마음이 어지럽고 복잡할 때, 바로 그때가 마음 청소를 할 때이다.(-들여다보고 청소한다 중에서)

 

살면서 마음을 정리해야 할 때는 꼭 필요하다. 그런데 그때가 언제일까. 좌절했을 때? 아니면 잠시의 여유를 느낄 때? 그것도 아니면 누군가와의 갈등으로 지쳤을 때??

작가는 마음이 복잡할 때, 그때가 마음 청소를 할 때라고 했다.

청소는 습관이다. 매번 쓸고 닦고, 정리하고. 누가 하라고 한 것도 아니고 매일 일어나서 움직이면서 하는 것이 청소이다.

이런 청소를 마음 청소에도 습관처럼 쓸고 닦으면 마음을 늘 개운하게 갖고 있지 않을까? 마음이 개운하다면 복잡할 일도 적어질 때고 원망과 갈등도 적어지지 않을까?

 

...(중략) 참으로 신기하게도 우리 뇌가 마음의 쓰레기를 버리기 어려운 걸 알고 건망증이란 걸 생성해낸 것 같다. 건망증이 잦으면 '에라, 내가 버려야 할 게 많은가 보다'라고 생각하면 된다.(-건망증 중에서)

건망증이 생겼다고 실망하고, 더 늙어가는 아닌가라는 좌절감이 먼저 떠오르는 것이 일반적인 반응일 것이다. 민망함에 가볍게 얘기를 하면서 넘어가는 때도 있겠지만, 대부분 나이가 들어감을 서글프게 여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건망증이라는 단어 앞에서 작가는 색다른 생각을 보여준다. 생각을 바꾸는 것이다.

건망증이 생활의 불편함을 주는 증상이라는 것이 아니라. 때론 내가 움켜쥐고 아등바등 가진 것에 대한 미련을 버리는 그런 의미로 말한다.

아.. 그렇구나. 살아온 날이 많으면 쓸데없이 쌓여있는 한 조각의 미련, 한 조각의 원망, 또는 한 조각의 욕심이 있겠구나.. 무엇인가 잊어버린다면 그것은 나에게 그렇게 중요한 그 무엇이 아니겠구나..

그래.. 증상의 슬픔보다는 또 다른 나를 한 번 정리하는 그런 것으로 보면 좋겠구나..

시선의 다름을 생각해보게 한다.

 

<하루 사용 설명서>는 무심코 지나는 일상의 소소함에 대해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주기도 한다. 나는 전혀 생각지도 않던 생활의 이야기를, 사람의 이야기를, 또는 세상의 이야기를 작가는 한번 더 들여다보고, 생각하고 그것에 대해 깊이를 짚어본다.

 

산다는 것이 참 평범한 것 같으면서도 그 속에서 매일매일 벌어지는 소소한 일상은 결코 평범하지 않다. 남들의 평범함이 때론 나에게는 큰 사건이 되고, 고민이 될 때가 있다. 정답이 없지만 정답을 찾기 위해 매번 고민하는 것이 극히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좋게좋게 좋은 방향의 결과를 얻게 된다면 삶이 얼마나 즐겁고 행복하겠냐만. 결코 이렇게 쉽게 오지 않는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그러면서도 좋게좋게를 찾으려고 무던히도 애를 쓴다.

 

<하루 사용 설명서>를 가볍게 읽어가면서 그 속에서 또 다른 삶의 결과를 미리 생각해보게 한다. 꼭 그것이 아니더라도 이런 방법도 사는 방법이고. 저런 방법도 정답이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쉬운 것은 결코 없다. 하지만 시선을 조금 돌리면 그 쉬운 방법을 내 것으로 만드는 시선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아마도 짜증 내던 원인을 조금은 다르게 보려고 할지도 모르겠다. 여전히 가지고 있던 욕심을 조금을 덜어내려는 노력을 스스로 해볼지도 모르겠다.

여전히 고민스럽고, 여전히 불만에 쌓여 살지도 모르겠지만, 조금 더 멀리 보는 시선을 가지려고 노력을 하지도 모르겠다. 작은 변화.. 이것을 얻을 수 있어서 스스로 다행이라고 여겨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