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탐독 - 나무 박사가 사랑한 우리 나무 이야기
박상진 지음 / 샘터사 / 2015년 11월
평점 :
나무를 보고 싫다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뜨거운 여름 햇살을 잠시 가려주는 커다란 느티나무 그늘의 느낌도 참 좋고요, 추운 겨울 눈꽃 속에서 푸른 모습을 한 소나무의 위상도 새삼스럽게 느낄 때가 있습니다.
가을은 또 어떤가요. 팍팍한 일상 속에서 맞이하게 되는 낙엽들의 총천연색 속에서 잠시의 여유와 감성에 젖어볼 때도 있습니다.
이렇듯 나무는 우리의 주변에서 늘 함께하는 감정의 또 다른 표현을 대변해주는 그런 존재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나무탐독>이란 책을 보게 됩니다.
그저 무심히 지나쳤던 나무들에 대해 새롭게 바라보게 되는 시선을 보내게 됨을 느낍니다.
책의 저자 박상진 교수는 오랫동안 나무 문화재 관련 연구를 해왔으며 해인사 팔만대장경판, 공주 무령왕릉 관재 및 고선박재, 사찰 건축재 등의 재질을 규명한 바 있는 분으로 우리 문화와 역사 속에서 선조들이 나무와 어떻게 더불어 살아왔는지를 찾아내고, 각종 매체와 강연을 통하여 이를 소개함으로써 일반 대중들이 나무와 친해지게 하는 일에 매진하고 계시는 분이라고 합니다.
나무를 공부하고 나무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 분의 산문집이기에 책에서 들려주는 나무 이야기가 참 평범하지만 참 솔직한 이야기가 많습니다.
<나무탐독>에 실린 글들은 그동안 교수님이 각종 매체나 칼럼 등에 기고한 내용을 다시 정리해서 묶어놓은 것입니다. 다시 정리한 교수님의 글은 매체나 형식에 얽매인 것이 아닌 좀 더 자유롭게 작가의 경험이 흠뻑 젖어있는 글이라고 소개를 하고 있기도 합니다.
나무를 통해서 일상의 이야기를 잔잔하게 전하고, 나무에 대해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평생을 나무와 함께 했던 추억의 단편도 적어가고 있고요, 나무와 관련된 역사와 문화적인 사실들과 함께 나무를 통해 앞의 이야기도 한 번쯤 떠올리게 되는 책입니다.
교수님도 나무를 좋아하고 연구하는 분이지만, 매일 반복되는 일상에는 지치기 마련이겠죠. 그럴때 훌쩍 떠나보는 길에서 만나는 나무들이 있습니다.
일반인들이 간혹 만나게 되는 아름드리나무나, 잘 정리된 나무에 딸려있는 푯말을 보면 참 어렵습니다. 과명에,, 학명에,, 꽃 모양이나 열매 모양 등을 참 어려운 전문용어만 써서 달아놓은 것이 태반이죠. 교수님도 이런 것은 참 싫어하는가 봅니다, 유홍준 교수님과 함께 했던 작업에서 이런 형식을 벗어던지는 일을 진행하기도 했답니다.
예를 들어 진달래는 이런 식이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드리오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진달래는 예로부터 이렇게 사랑을 노래할 때 단골로 등장한답니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양지바른 곳에 널리 자라는 아름다운 꽃나무죠. 삼월 삼짇날에는 찹쌀 부침개에다 진달래 꽃잎을 얹는 화전을 부쳐 먹는 멋스러운 풍습이 있었습니다'라고 하여 소월의 시로 시작했다.
한편 물푸레나무는 '물을 푸르게 한다는 뜻으로 물푸레나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어린 가지 꺾어 맑은 물에 담그면 정말 파란 물이 우러납니다. 아름다운 이별과는 달리 예전에는 주로 죄인의 볼기짝을 치는 곤장 나무로 쓰였습니다. 그 외 도리깨 등 농기구를 만드는 데 널리 쓰였고 야구방망이나 라켓 등 운동 기구를 만드는 데에도 빠지지 않았답니다'라고 하여 우리 문화 속에서 물푸레나무를 잠깐 되돌아보았다.(본문 중에서)
자작나무의 이야기를 하면서 강원 인제 원대리의 지명이 있습니다. 우연찮게 여행을 갔었고 맛있는 메밀국수를 먹은 곳이라 참 반갑게 느껴지는 곳이기도 합니다. 자작나무 숲을 보겠다고 잘 걷지도 않던 우리 부부는 느릿느릿 40분을 걸려서 기어코 보고 왔습니다만,
때가 때이니 만큼 나무보다 더 많은 사람들의 소음에 실망했던 기억도 떠오릅니다.
여름 한자락의 기억 중 하나가 바로 등나무 아래 벤치인데요.. 시원한 장소이기도 하지만 왠지 등나무 아래 벤치를 생각하면 여고시절이 떠오르게 되는데요... 이 등나무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우리말 갈등(葛藤)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갈'은 칡이고 '등'은 등나무를 뜻한다죠. 둘이 만나 뒤엉키게 되면 풀어낼 방법이 마땅치 않은 식물이라고 합니다. 오죽했으면 칡과 등나무의 얽힘을 빗대어 사람들의 얽힘을 설명했을까 싶기도 합니다.
봄의 절정을 알리는 단어 중의 하나가 바로 벚꽃이 아닐까 합니다. 연분홍빛의 꽃잎이 사방에 흩날리는 모습이야 정말 아름답지요. 언제부터인가 벚나무의 수가 더 많아진 것 같기도 한데요. 우리가 이 벚나무에 대해 이면의 생각을 한 번쯤은 되새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왕벚나무의 자생지가 제주도라는 주장이 있다 하더라고 일본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벚꽃 천지를 굳이 만들어줄 필요가 있는가에 대해 생각은 해봐야겠습니다.
5월이 되면 마치 눈꽃이 하얗게 내려앉은 듯한 나무를 만나게 됩니다. 이팝나무죠. 그런데 이 이팝나무에는 사연이 있습니다. 옛날 보릿고개를 견뎌야 했던 사람들에게 이밥에 고깃국을 먹는 것이 가장 큰 소원이었던 때가 있습니다. '이(李) 씨의 밥'이란 이름의 이밥은 조선시대 벼슬을 해야만 이 씨 왕조가 내린 밥을 먹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거기의 이밥에서 유래된 말이 바로 '이팝'인 것입니다. 이름에서 느낄 수 있듯이 굶주림에 사람들은 많은 희생을 치러야 했지요.
천연기념물 214호 이팝나무가 있는 자리 근처에는 아이들의 무덤 자리였던 곳이 있다고 합니다. 굶주림에 세상을 떠난 아이들을 묻으면서 그 부모의 마음을 얼마나 처절했을까요? 하얀 밥이 수북이 쌓인 모습을 가진 이팝나무를 심어서 혹여나 배고픔에 세상을 등진 아이들을 위로하는 뜻이 담겨있는 곳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고 합니다.
조금 더 보태자면 <나무탐독>의 후반부에는 나무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가 있습니다. 굳이 나무와 역사를 엮을 필요가 있는가라고 반문하는 이들도 있겠지만, 우리가 아름답다고 칭송하고 바라보는 나무들의 원산지나 그에 얽힌 사실은 꼭 한번쯤은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충남 아산 현충사, 충남 금산 칠백의총 그리고 경북 안동 도산서원의 금송이 바로 그 이야기입니다.
그저 여름날의 그늘 한자락을 만들어주는 나무라고 생각할 뿐이었고, 가을 한자락에 삶의 여유를 과시하러 단풍 구경을 갈 때 새삼스레 아름답다라고만 칭하던 나무들입니다. 작은 화분에 화초는 키워보면서 아름드리나무에 대한 이야기는 그다지 궁금해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무탐독>은 이런 문외한의 독자들에게 재미있는 이야기와 상식을 전달해주고 있습니다.
간혹 지나가는 여행길에서도 나무를 한번 더 바라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유적지를 찾게 되는 일정에도 그 마당에 있는 나무의 역사를 한번 더 들여다보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