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시 - 한시 학자 6인이 선정한 내 마음에 닿는 한시
장유승 외 지음 / 샘터사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시는 어렵고 고리타분하다는 생각이 먼저여서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문학으로 여기게 된다.

더구나 한시는 특유의 형식과 표현 때문에 시 속의 의미를 이해하기는커녕 원문의 뜻조차 이해되지 않을 때가 있다. 또한 어쩌다 접하는 한시는 군주를 향한 신하의 충성심이거나, 그리운 사람을 에둘러 표현하는, 또는 자연의 여유로움을 읊는 것이 대부분이었던 터라 어쩌면 그 시대의 있는 자들의 여유만을 표현한 것 아닐까라는 엄한 선입견도 한시를 멀리하는 이유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 시라는 것이 결코 음풍농월만을 그리는 것이 아니란다. 우리가 착각하는 것 중의 하나인 한시는 고상한 문학작품이라는 생각을 달리하게 하는 책이 <하루 한시>이다.

한시 학자 6인이 마음에 닿은 한시를 뽑아 독자들에게 한시의 깊음을 전한다. 자연의 아름다움도 전하고 인생의 낭만을 전하는 것도 있지만. 부조리한 사회를 비판하기도 하고, 불우한 삶을 하소연하는 것도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독자들은 <하루 한시>에서 얻게 되는 것은 인생의 깨달음이다.

 

<하루 한시>는 한시 학자 6인이 모여 고상한 문학작품과 이것을 외면하는 대중 사이를 좁혀보고자 학문의 영역에서 벗어나 일상의 영역이란 시선으로 독자들에게 한시를 전하고 있다.

이런 취지이기 때문에 원문에서 가장 와 닿은 부분만을 읊기 때문에 원문이 전하고자 하는 느낌과는 다소 다를 수도 있다.

하지만 한시는 시대의 일상을 읊던 문학이었다.

일상 자체였다.

<하루 한시>를 과거와 현재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삶의 이야기를 읊어보게 된다.

 

한 떨기 연꽃 머리엔 비취 장식 꽂고

꾀꼬리, 제비가 모두 무색하구나

석류꽃 수놓은 치마 밑 비단 버선발을 드니

초승달 모양 귀밑머리에 귀고리가 흔들리네

 

19세기의 중인층 시인 김진수의 작품이다. 청나라로 가는 조선 사신단을 따라갔다가 북경의 저잣거리에서 배우들의 공연을 본다. 다른 여행기에서는 조선에서 볼 수 없던 잡기에 관한 기록이 흥미진진하게 기록이 된다. 물론 배우들의 겉모습에 대해서만 기록이 남긴다. 하지만 김진수를 이 글을 남기면서 소년 배우에 대한 글을 남긴다. 외모가 예쁜 사내아이가 팔려와서 춤과 노래를 가르쳐서 공연을 하고, 때론 왕공귀인의 노리개가 되었다가 2차 성징이 나타나면 버려지는 그들의 삶을 이야기한다. 화려함 뒤에 숨겨진 내면.. 그것을 김진수는 한시로 남긴다.

 

모르겠네, 옛사람은 무슨 운수였기에

내 나이에 벌써 명성과 사업을 이루었나

 

그 예전에도 자신의 성공 여부에 대해 한탄함이 있었는가 보다. 이 시를 지은 김낙행은 31세 되던 해에 제주로도 유배된 부친을 따라 머물고 있었다. 김낙행이 그리던 영웅들은 이십 대에 천하를 호령하던 이들을 보고 있으니 제주도에서 허송세월을 보내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현대인들도 마찬가지 아닐까? 나보다 먼저 성공한 사람을 부러워하고, 나보다 먼저 결론에 도달하는 이들을 나와 비교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김낙행도 이 시를 지었던 당시에 몰랐던 것이 있었다. 시대의 영웅 중에는 대기만성으로 나이가 지긋해서 자신의 꿈을 이룬 사람도 분명히 있었다는 것을..

남보다 늦는다고 안타까워하지 말자. 인생은 길다.

 

<하루 한시>는 삶의 소소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남들의 성공과 나의 현시점을 비교하는 속상함을 토로하기도 하고, 앞으로의 전지는 오롯이 나의 노력에 의해 이루어짐을 담담하게 적어가는 한 시도 있다.

아침이든 낮이든 잊지 말고

언제나 그 길에 몰두하자

라는 시어로 나를 다시 다잡는 마음을 일컬어보기도 한다.

 

어렵게만 느끼던 한시의 매력이 시대를 벗어서 충분히 느낄 수 있는 것임을 <하루 한시>를 읽으면서 알게 된다.

모든 일은 자신의 결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현대인들은 이런 점에서 나를 더욱 강하게 하기 위해, 올바른 계획과 목표를 이끌어가기 위해 자기 계발서를 끝없이 읽는다.

그런 생각을 하는 독자라면 <하루 한시>를 읽어봄이 어떨까?

 

나태하고 나약해지는 자신을 채근하는 한시도 있고, 세상사가 마음먹은 대로 되지 않는 근심을 하소연하는 한시도 있다. 때론 녹록지 않는 현실 속에서 가족과 고향을 그리워하는 한시도 있다.

시대가 변했어도 세상을 살아가는 마음은 그때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읽게 될 것이다. 원인과 결과로 분석하는 자기 계발서도 좋겠지만, 한시에서 말하는 삶의 이야기를 자기 계발서로 써봄은 어떨까? 한시가 전하는 여유가. 삶을 여유 있게 바라볼 수 있는 시선을 가져봄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