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 인격이다 - 품격을 높이는 우리말 예절
조항범 지음 / 예담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길은 갈 탓, 말은 할 탓'

'혀 밑에 죽을 말이 있다.'

'말 한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다 말과 관련된 속담이다.

늘 하는 말이지만, 그 말 한마디에 인생이 바뀌고, 사람의 됨됨이가 보인다.

말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토록 중요하면서 잘 해야 한다.

그런데 뜻밖에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어떤 경우에 어떤 말을 써야 하는지,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말이 인격이다>라는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혹시 실수한 적이 없나..라는 조심성을 가져본다.

 

저자는 현직 교수이다.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누구보다 제대로 된 말을 실천하고 가르치려는 책임감이 남들보다 좀 더 있을 거라 생각한다.

<말이 인격이다>는 1부 상사가 차마 지적하지 못하는 우리말 예절에는 우리말의 높임법, 호칭법, 인사법 등에서 좀 까다롭고 애매하여 자주 틀리는 예를 소개하고 있다. 2부 직장 상사도 모르는 우리말 표현에서는 표현의 오용 예를 중심으로 올바른 말하기를 이야기한다. 3부 승진하려면 꼭 알아두어야 할 상황 표현에서는 말하기의 기법과 요령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사람의 됨됨이를 파악하게 된다. 겉모습과 달리 막말을 함부로 하거나, 욕을 하거나, 상스러운 말을 쓰는 사람을 보면 우리는 그 사람의 인격을 자연스레 반으로 낮춰버린다. 그만큼 말이라는 것이 품격을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참..., 저자의 표현이 부담스럽다.

교수라는 직분도 그렇고, 연세가 있는 분이라는 것을 고려한다해도 뭐랄까... 동네에서 가장 깐깐한 할아버지의 그런 모습이라고 할까? 여러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책에서까지 그런 느낌을 보여준다는 점이 좀 껄끄럽다.

 


조심해야 할 것은, 요즘 유행하는 "들어가세요"라는 말은 써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도대체 어디로 들어가라는 것인지 도통 알 수가 없다. 전화기가 거실에 있는 것을 가정하고 전화를 끊은 뒤 방안으로 들어가라는 것인지, 아니면 '들어가서 자라'는 것인지 도무지 이 말의 출처를 알 수가 없다. 명령조이니 기분이 나쁘고 상스러우니 듣기 거북하기까지 한다.


 어법에 어긋나는 표현인가보다. 하지만 이 말이 명령조였던가? 네~~들어가세요~~라고 마무리하는 말이라 좀 애교스러운 듯, 조심하는 듯 말하지 않나? 이 말이 상스럽다고 표현하기 전에 왜 이런 말을 유행처럼 쓰는지 출처를 연구해서 말해줬으면 좋았을 텐데 말이다.

 


일단 학생들이 교수를 그렇게 어렵게 여기지 않는다는 느낌이 든다. 오히려 스스럼없이 지내려 한다. 그러니 술을 권할 때 "약주 한잔 올리겠습니다."와 같은 높임말은 기대하기 어렵다. 특이하게도 요즘 학생들은 술을 같이 들자고 수시로 잔을 부딪친다. 이른바 '쨍'을 하고 얼른 마시자는 것이다. 얼떨결에 따라 마시기는 하지만 어딘지 개운치가 않다.


종종 인터넷에 떠도는 무개념녀의 시리즈가 떠오른다. 물론 이는 아주 잘못된 것이다. 제대로 배우지 못한, 다시 말해 가정교육에서부터 제대로 가르침을 받지 못한 결과이다. 얼떨결에 따라 마시는 경우가 생긴다면 당연히 따끔하게 가르쳐야 한다. 저자는 이련 경우에 호되게 야단을 치고 나니 졸업하는 날까지 서운함을 표현한 학생이 있었는가보다. 그런 사람은 그릇이 그거밖에 안 되는 사람이다. 그래도 변하지 말고 가르쳐야 한다. 어딘지 개운치 않은 술자리에 교수라는 직함으로 앉아계시려면 제대로 가르쳐 주시던지, 아니면 요즘 사람들 표현대로 세대차이 없게끔 화통하게 함께 즐겨주시든지 하면 좋을 텐데.

 


중.고등학교에서 어른에게는 "안녕하십니까?" "안녕히 계십시오"로 인사를 하고 어른들에게는 '수고하다.'라는 말을 써서는 안 된다는 교육을 받았을 터인데, 어찌 이 지경인지 의아스럽기만 하다.


어찌 된 일인지 중.고등학교의 선생이 제대로 가르쳐준다는 느낌을 받을 수가 없다. 집합 시간에 늦었다고 수십 차례 뺨을 때리는 선생이 있고, 아이들 앞에서 속옷 차림으로 변신해서 정직함을 가르치려고 하는 선생님이 있단다. 나 역시도 학부형의 한 사람으로 이런 뉴스를 접할 때마다 선생님들의 의식구조도 참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다. 공부에 관해, 성적에 관해 가르쳐줄지는 몰라도 제대로 된 인성을 가르쳐주는 선생님이 몇일까 꼽아보고 싶다.

 

<말이 인격이다>를 읽으면 왜 문장마다 이렇게 반박을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

차라리 잘못된 말 표현에 (X)를 하고 옳은 표현에 (O)를 하는 형식으로 했으면 읽기나 편하지, 너무 몰아세운다는 느낌이 든다.

물론 독자들이 제대로 알아야 하는 말이 있다. 하지만 저자의 생각이 너무 강해서 제대로 배워야 하는 말이 머리에 각인되기 전에 불편함이 먼저 앞선다.

책을 읽다가 접었다. 잠시 쉼을 가지고 다시 읽는다. 아무런 감정의 변화가 없을 때, 무덤덤하게 읽어내려가야 하는 책이 <말이 인격이다> 같아서 독자의 입장으로 씁쓸하다.

 

저자의 서문에 이렇게 씌여 있다.

 


이 책은 나의 반성을 전제로 한 것이다. 그동안 말과 관련하여 내가 저지른 실수, 아니면 주변 사람들이 저지른 실수 등을 거울삼아 더 이상 그런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스로의 경계에서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아울러 이 책은 나의 반성문이자, 대학을 졸업하고 막 사회로 나가는 제자들에게 하는 나의 거듭된 잔소리이기도 하다, 말이 말하는 사람의 됨됨이를 잘 보여주고, 그 말이 살아가는 데 큰 경쟁력이 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말에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고 사회로 나가는 제자들이 너무 안쓰럽고 걱정이 되어 이 책을 쓰는 것이다. 말하기의 조심스러움을 깨달아 험난한 직장 생활에 대비하고, 또 말의 수준을 끌어 올려 질 높은 삶을 구가하라는 간절한 바람이 이 책에 담겨 있다.


독설로 표현되더라도 제대로 말하는 인격을 갖추게 해주고 싶은 저자의 마음은 알겠지만, 표현도 또 하나의 인격이라는 말을 하고 싶다.

책은 재미있어야 한다. 독자의 흥미를 이끌어야 한다. 그래야 모르는 것도 책을 통해 배우게 되고, 틀린 부분도 책을 통해서 배우게 되는 것을 책을 읽는 독자들의 마음이 아닐까? 좋은 의미로 책이 쓰였겠지만, 표현에서 독자들의 반발심이 생기게 하는 것이 아쉬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