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생의 사랑 푸른도서관 42
김현화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과연 지금..내가 꿈꾸던 그 길로 걸어가고 있는 것일까?

어른이 된 지금도 이런 질문을 나에게 할 때가 있다. '오래전 나에게 있었던 청소년기에도 이런 질문을 나에게 했던가'라고 반문해본다. 자신이 걷고 싶은 길, 절대로 후회하지 않을 길을 찾기 위해 우리는 무던히도 고민하고, 고난을 겪고, 그리고 사람들을 겪게 된다.

 

한동안 인간의 삶 자체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길'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 작가는 말을 한다. 그 어느 길보다 숱한 시간과 공간이 마주치고, 아찔한 운명과 인연이 만나는 그런 길, 우리가 최선의 가치라고 여기는 사랑과 정의와 우의라는 것이 그 길에 오롯하게 살아나는 길을 그려내고 싶었다고 말을 한다.

제5회 푸른문학상  '미래의 작가상'을 수상한 김현화 작가는 [조생의 사랑]에서 인생을 헤쳐나가는 한 인간의 사랑과 우정과 삶에 대한 갈망을 그려내고 있다. 주인공 연을 의연한 기상을 지닌 인물로 기대하고 자신의 불우한 세계를 극복해 가는 과정을 중국으로 향하는 연행길에서 펼쳐내고 있다.

 


[조생의 사랑]은 연이 임금의 부름을 받고 명나라로 출발하는 모습부터 시작한다.

왕의 부름으로 먼 명나라까지의 연행을 앞에 두고 연은 왠지 망설인다. 모든 것을 뒤로 하고 다시 돌아온 율리에서 시간에 묻혀 살던 연에게는 어떤 시련이 기다리고 있을까?

 

주인공 연은 노복 황업산의 손에서 애지중지 커왔다. 어릴 적 허무하게 삶을 내던진 부모의 죽음이 연의 트라우마로 자리를 잡고 있지만, 연은 업산의 품에서 마치 그것을 기억 못 하는 듯 평범하게 산다. 기화를 만나기 까지는..

평범한 시골의 양반으로 살던 연에게 기화의 등장은 또 다른 세상, 사랑에 대해 그리고 야망에 대해 눈을 뜨는 계기를 준다. 하지만, 또 다른 면의 연은 운명에 대해 정면 대결을 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한 인물로 보이기도 한다. 율리에서의 연은 우물안의 개구리 같은 그런 인물처럼 보일 때도 있다.

 

[조생의 사랑]에는 여러 인물이 나온다. 양반의 자손으로 태어난 연이지만 조실부모한 연, 연을 보듬고 키우는 것이 자신의 운명이라 여기는 충실한 노복 업산, 여자이지만 남자보다 더 뛰어난 학문과 지략을 갖고 있기에 야망을 키우려는 기화, 왕족이지만 왕족이라는 굴레 속에 갇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이경, 기화를 향한 연의 사랑을 그저 바라보면서 주변에 머무는 애기, 그밖에 이들 주변에 있는 인물들.. 

 

시골의 평범한 양반인 조생의 성장 속에서 독자들이 느끼는 사랑과 우정, 그리고 가치 있다고 믿는 신념에 대한 뚜렷한 자존심은 지금 이 시간 현대를 사는, 미래를 향해 걸어나가는 청소년기의 복잡한 심리를 고스란히 표현하고 있고 어른들에게는 과연 나의 삶을 이루게 하는 주변과의 관계를 생각하게 하는 그런 소설이다.

 

[조생의 사랑]은 다소 묵직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운명처럼 만난 인물로 삶의 방향이 전환되기도 하고, 스스로 갖고 있던 신념을 다지는 계기를 가질 수도 있다.

머나먼 사행 길에서 만나는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연이 선택한 운명은 무엇인가.

연이 바라보았던 순간은 무엇인가. 그를 기다리는 조선의 사람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걸까.

지금이 아니면 절대로 생길 것 같지 않던 길에도 또 다른 길이 숨어 있음을 조생은 찾아냈을까?

연이 성장하는 바탕에 그들이 준 의미를 얼마나 찾아냈을까?

사행 길을 뒤로 하고 또 다른 혼자만의 사행 길에 접어든 연은 지금도 저 먼 황사 속의 길 속을 맨발로 걷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어느 한적한 산속에 움집을 짓고 세월과 함께 삶을 지탱해준 이들을 위한 기도를 하는 것은 아닐까?

 


언젠가 이 꿈도 차고 나면 그대와 마주하지 않겠나. 그럼 거기서 자네와 새도 되고 벗도 되어 살지 않겠나.


연을 기다리는 벗에게 남긴 글은, 마치 독자들에게 남기는 아련한 아픔 같은, 하지만 더 먼 세상을 본 듯한 광활함을 느끼게 한다.

 


봤는디 못 온다 어쩐다 그런 말 하지 말아유. 됐유. 지는 그거믄 됐유. 우리 나리 올 때까지는 어디 가서 살아 있다 어쩠다 말도 않을 거유. 우리 나리 지 눈으로 보기 전까지는 암 소리도 안할 거유. 긍께 나리도 지발 암 말 말어유. 살아 있으문 됐유. 그럼 언제고 만나는 거유. 지는 그걸로 됐유.


떠나는 삶에 찢어지는 아픔이 남지만, 다시 돌아오는 삶이 있다는 것을 믿고 싶다.

부모 같은 노복이 눈물을 흘리면서 하는 말에 언젠가는 다시 돌아오리라는 훗날을 기약하고 싶다. 연이 다시 돌아봐야 하는 노복이 있고 뜨거운 벗이 있기 때문이다.

 

참..., 깊은 소설을 읽었다.

청소년 독자에게는 삶의 의미라는 것에 깊은 의미를 두지 못하겠지만, 자신의 신념에 꿋꿋하게 나서는 연의 성장을 함께 공감할 수 있을만한 소설이다. 오랜 사행 길에서 그가 하루하루 성장하는 모습을 보고 느꼈을 테니까.

긴 겨울방학, 아이들의 심성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설이라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