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44년의 비원 - 새로 읽는 고종시대사
장영숙 지음 / 너머북스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한 말의 마지막 황제, 고종.

우리는 그를 엄부와 엄처시하에 있던 우유부단한 군주였다는 것만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조선 왕조를 통틀어 장기집권하였던 왕의 한 사람으로 긴 세월과 함께 어느 시대의 것보다 더욱 강한 역사의 변화를 고스란히 겪어야만 했던 왕이기도 하다.

고종의 재위 동안 서양의 문호 개방 요구에 시달리고, 친대원군 세력과 맞서야 했고, 자신의 세력 기반을 위한 처족 여흥 민씨의 세력을 등에 업어야 했다. 개화와 척사를 주장하는 정치 세력의 정점에 휘말리고 청과 일본의 외세 영향을 고스란히 받아내야만 했던 왕이다.

 

고종에 대한 비판은 왜,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가.

그것은 후세의 기록이 조선 안팎의 상황을 고려하기 전에 국권 상실의 책임을 당시 최고 결정자였던 국왕 한 사람에게 전가하였던 결과였고, 식민사학의 주범인 일본은 한국근대사를 쓰면서 대원군과 민비, 사대당과 개화당의 대립만 주목하였기 때문에, 고종은 무능한 왕으로 남아버린 결과이다.

 

얼마 전 뉴스를 통해 고종의 죽음이 암살이었음을 증명하는 자료가 있다고 밝혀졌다. 물론 고종을 제대로 알아가기 위한 노력은 그전에도 있었다. 소설이나 기타 이야기를 통해 고종의 고뇌를 조금이나마 알 수가 있다. 대한제국의 쇠퇴라는 쓰라린 아픔 위에서도 조선을 세우려 몸부림쳤던 고종의 고심과 그것을 행하려 했던 전략들. 그리고 그러한 고종의 행동에 위기감을 느낀 일본이 계획했던 고종을 향한 압박등으로 볼 수 있다. 이토록 눈에 보이는 자료가 발견됨으로써 고종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함은 물론 강점기란 치욕스러운 역사를 만들어 낸 것이 고종 한 사람의 일이 아닌 당시 조선 정치를 들썩이던 이들에 대한 사실을 제대로 알아야 할 것이다.

 

『고종 44년의 비원』은 고종이 재위했던 역동의 44년을 세세하게 적어가는 평전이다.

저자 장영숙 박사는 <고종의 정치사상과 정치 개혁론 연구>라는 논문으로 학위를 받은 만큼 고종 집권기의 정치권의 동향과 사상적 변화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였기에 『고종 44년의 비원』은 고종이라는 인물을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독자들이 다시 새롭게 고종이란 인물을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책이다.

 

고종의 권좌는 4부분으로 구분해본다.

책을 통해 세상을 배우기 시작하던 강학기(1963~1873년), 동도서기 개혁론을 채택한 집권 1기(1874~1884년), 개화자강정책의 재추진을 실행하던 집권 2기(1885~1896년), 그리고 대한제국의 흥망을 바라봐야 했던  집권 3기(1897~1907년)으로 구분한다.

 

왕가의 일원이지만 왕이 될 인물로 키워지지 않았던 고종은 책을 통해 세상을 배웠다. 고종의 왕위 계승에는 상당히 복잡한 세습의 고리가 있다. 지금으로 표현하자면 사돈의 팔촌까지 두루두루 연결하는 그런 분위기였다. 무엇보다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일찌감치 대권의 꿈을 꾸고 있는 인물이다. 고종의 할아버지 남연군 역시 직계 왕손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5대손 병원의 둘째아들이 일찍이 은신군에게 입양되어 남연군으로 봉해졌고. 흥선대원군은 남연군의 넷째 아들이다. 이런 복잡한 관계에서도 왕권을 가장 가까이 거머쥘 수 있었던 것이 바로 고종이 왕우에 오르는 방법이었다. 고종은 아버지의 후광으로, 아버지의 치밀한 계획으로(풍양 조씨의 최고 어른인 신정왕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밖으로는 왕실에 미련이 없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행동등으로 유추할 수 있다)왕위에 올랐기에 스스로 성군으로 노력해서 백성을, 나라를 이끌어야겠다라는 생각을 하기엔 아직은 너무 어렸던 나이었다.

하지만, 성인이 되어가면서 흥선대원군이 휘두르는 권력에 대해 불만이 쌓인다. 결국, 최익현의 사건으로 대원군의 하야를 못 본 척하고 고종의 친정이 시작된다.

 

고종은 무의식적으로 아버지와 다른 개혁을 추진하게 된다. 매사에 신중한 고종은 말을 먼저 하기보다는 듣기를 먼저 하는 왕이었다. 신하들의 의견과 주변 나라의 정황을 파악하면서 대원군의 쇄국노선을 수정한다. 이는 자주적으로 나라 문호를 개방하는 것만이 살길임을 인식하는 이유이다.

고종이 민씨 왕후의 꼭두각시였다는 설도 제대로 알아야 하는 독자의 몫이다. 집권 1,2기를 지나면서 대원군의 세력을 배척하기 위해서는 외척의 인물들이 필요했고, 이것은 고종의 '중비'를 통해 직접 선택된 인물이었고, 왕후가 죽임을 당한 뒤에도 지속적으로 행한 것을 보면 왕후가 민씨 세력을 동원해서 고종을 좌지우지했다는 말은 틀린 것이라는 결론이 얻는다.

 

고종은 조선을 외국과 교류하는 그런 나라로 만들고 싶어했다. 하지만, 세계를 정복하려는 야심을 가진 일본은 청과 손잡고 있는 민 황후와 여흥 민씨들의 세력을 없애야만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들의 배경을 안고 있는 고종을 없애야만 했다.

비명에 간 왕후가 기록된다. 이는 일본 낭인의 일만으로 볼 일이 아니다. 일본은 이 사건을 드러나지 않게 묵인하고 있었다.

 

고종은 절대로 유약한 왕이 아니다.

고종은 늘 독살의 위험을 안고 살았다. 그가 즐기던 커피에 들어간 독약을 마시기도 했다. 그리고 약한 순종보다 먼저 죽임을 당한 의문이 남아있다.

흥선대원군의 야심이 아닌 처음부터 왕위에 오를 인물로 키워졌다면 어떠했을까. 아들을 왕위에 세우고 아들을 도와 조선의 발전을 꿰한 흥선대원군이 옆에 있었다면 조선의 운명은 어떠했을까.

『고종 44년의 비원』은 고종을 중심으로 대원군과 민 황후에 대한 인간적인 면까지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정치적 배경과 사건과 주변 인물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있다.

 

『고종 44년의 비원』을 독자들이 읽어야 하는 이유는 고종을 실패한 군주, 망국의 군주로만 기록되기 때문이다. 이는 식민지시기부터 이어지는 왜곡된 역사지식이다. 비록 고종이 행하던 개혁이 실패로 끝나 결론이 없는 정치가 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을 위해 애썼던 과정과 동기는 반드시 재조명되어야 하고 알려져야 한다.

고종은 절대적으로 역사에서 밀려나 있어야 하는 인물이 아니다.

흥선대원군의 업적을 외우고, 민 황후의 죽임을 통해 분한 감정만 드러낼 일이 아니다. 그 사건 뒤에모든 것을 바라보고 겪으면서도 조선의 왕이기 때문에 끝까지 살아남아야 했던 고종이란 인물을 다시 한 번 되돌아봐야 하는 것이 후손의 의무가 아닐까.

한 나라의 흥망을 바라보면서 이루어놓지 못한 대한제국의 개혁을 가슴에 품고 눈을 감았을 고종을 우리는 다시 한 번 바라보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