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못 읽는 남자 - 실서증 없는 실독증
하워드 엥겔 지음, 배현 옮김 / 알마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책표지에 적혀있는 실서증 없는 실독증(알렉시아 사이니 아그라피아 alexia sine agraphia)라는 것을 보고 그에 관련된 소설책인가 했다. 하지만 지독한 독서광에 오로지 글쓰는 것만 천직으로 삼고 있던 작가 하워드 엥겔의 뇌졸증 발병 경험과 잃어버린 읽기 능력을 위해 그가 노력한 그 모든 기록을 그린 책이다.
'실서증 없는 실독증' 말 그대로 쓰기는 하되 읽을 수 없다는 뇌졸증으로 인한 후유증이다.
가능한 일인가?
쓰고 읽는 것을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아니었던가?
책을 읽어갈수록 눈으로 보이는 것을 뇌로 판단하고 입으로 소리를 낸다는 과정이 무척이나 복잡함을 알게 된다. 병원의 치료와 재활원에서 하워드 엥겔은 읽기 위한 수많은 노력을 하는 과정을 적고 있다.

이상하게도 책을 읽으면서 매끄럽지 못한 그 무엇 때문에 불편한 마음이 든다. 번역을 잘못했나? 내가 외국작가의 정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까?
아니다. 쓰지만 읽지 못하는 뇌졸증 환자가 써내려간 것을 거의 그대로 번역했다는 옮긴이의 글을 보고 그제서야 이해를 하게 된다.
마치 병을 잘 알고 있었던 사람처럼 어느날 갑자기 찾아온 병마를 작가는 너무나도 침착하게 대처하고 있다. 읽는이가 오히려 불안불안한 마음이 들 지경이다. 작가는 모든 것을 받아들인다. 내가 왜 이런 병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한 반항조차 없다. 더더욱 읽는이가 당황스럽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이 한 환자가 병을 이겨나간다는 장황한 투병기가 아니다. 오히려 자기 병을 받아들인후 그 다음을 이어 나가는 과정, 분투를 그려내고 있다.

단어 하나를 제대로 알기 위해 오랜 시간, 오랜 연습을 통해 익히지만 또 잊어버리는 반복을 하면서도 작가는 자신의 천직인 글쓰기를 멈추지 않는다.
과연 그런 그의 열정이 어디서부터 나올까..읽는 내내 감탄스럽다.

책을 읽으면서 하나의 궁금증이 생긴다. 환자 스스로 저 과정을 겪을 때 옆에서 지켜보았던 가족과 친지와 그리고 주변 친구들은 어떠했을까. 당연히 그들도 힘들고 어려운 과정을 지켜보고 같이 겪었겠지만 이 책에서는 상당히 배제하고 있다.
걷지 못한다는 선고를 받고 휠체어에서 내려와 도움없이 스스로 걷게 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면 조금 이해가 될런지.
바로 그 자체를 이 책에서 그려내고 있다.
책 중간중간에 있는 작가의 친필 일기가 있다. 놀랍다.
언뜻 보기에도 무슨 글씨인가 싶기도 하면서 그것을 써내려갔다는 그 의지가 대단하다.
아직 읽어보진 못했지만 '아내를 목자로 착각한 남자'의 저자이자 유명한 의사인 올리버 색스의 추천글과 작가에게 영감을 주고 있는 여러 책의 제목을 보면 그것들을 읽고 싶다는 호기심도 일게 된다.

인간의 잠재된 능력은 무한하다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더구나 몇 년 전 몸이아파 아직도 건강에 관해 신경을 써야 하는 나의 아들이 떠오른다. 하워드 엥겔의 끝없는 도전을 보면서 나의 아들에게 그와 비슷한 정서를 내가 전해줄 수 있다면..이라는 바램이 떠오른다.
나의 아이에게도 충분히 건강해질 수 있고, 자신만의 특기가 있는 것이고, 그리고 좋아하는 나의 일을 하게되면 어떤 불편함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다라는 그 느낌. 그 결과를 아이와 함께 공감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책의 줄거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책의 문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어려움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극복해나가는 것은 인간 모두 가능한 일이라는 것, 그리고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을 다시한번 되새겨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