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쉬운 철학책 즐거운 지식 (비룡소 청소년) 12
우에무라 미츠오 지음, 고선윤 옮김, 박이문 추천 / 비룡소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 철학의 대표적인 인물 플라톤, 데카르트, 칸트, 마르크스, 사르트르 이 다섯명의 철학에 대해 아주 간결하고 재미있는 책이 나왔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철학책>
철학은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우리 생활을 조금 더 객관적인 관점으로 본다고 하면 철학을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저자인 우메무라 미츠오는 철학을 배운 사람이다. 철학을 배운 사람이 철학에 대해 말하고 있는 책들이 하나같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을 느끼고 아주 쉽게, 어느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그런 내용으로 만들었다.
책 속에 등장하는 다섯명의 철학자는 할아버지, 아저씨. 선생님, 선배. 형의 모습으로 재미있는 캐릭터로 변신해서 주장하던 그 방대한 사상을 단 몇 줄의 대화로 풀어내고 있다.
모든 것이 변하고, 현실에서 서로 다른 존재의 근거라고 말하는 플라톤이데아. 서양 사회의 이분법적 사유의 근간을 세웠다는 어려운 결론으로 플라톤을 설명하고 있지만 책 속의 삼각형을 두고 지금 보이는 삼각형과 눈에 보이지 않는 삼각형의 비교를 통해 이데아를 설명하는 것은 나 역시도 아하~! 이것을 설명하는 것이였구나..라는 감탄이 나오게 한다.
플라톤 이후 약 2,000년간 이어 온 고전 철학에 종지부를 찍고 현대 철학의 전환점이 된 데카르트.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주장한 말은 현대까지 이어지는 존재성에 대한 명쾌한 해석이다.
자유를 주장한 칸트자유란 이성의 한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생각을 인간의 자유라고 논한다.
즉, 하고 싶은 일만 하는 것 다시 말하면 욕망과 감정에 지배되는 행동을 하면 그것은 동물과 다를 바가 없다고 말하면서 하고 싶은 일을 참아야만 해야 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진정한 인간의 자유라고 말했다.
도덕적 사회적 개혁가에 더 가까운 이념적 싸움꾼이였다고 표현되는 마르크스는 이전의 철학자들이 해석만 하는 이론을 주장했던 반면 마르크스는 실제적으로 세상을 바꾸는 일이 중요하다고 확신했다. 그의 이론은 노동은 사람의 본질이나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노동을 하고도 자신이 생산한 것을 갖지 못하는 것 즉 노동의 소외를 말하면서 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고 주장한 사르트르는 인간이 인간다움을 되찾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

현대까지도 다섯 철학자가 남긴 이론들에 대해 끝없이 연구되고 인용되는 중요한 의미가 된다.
이 책은 이런 생각에 대해 설명한다. 철학이란 무조건 어려운 학문이 아니고 우리 일상 생활에서 누구나 생각을 해봤을 그런 주장인 것이다.
학생들을 가르쳤던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조건 어려운 단어와 어려운 문장만이 철학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쉽게 접근할 캐릭터를 등장시켜 우리 이웃의 모습으로 철학을 설명하고 있다.
손 안에 쏙 들어오는 양장본의 책을 펼치면 귀엽다고 표현될 일러스트들이 각각의 임무를 띄고 아주 쉽게 철학을 말하고 있는 <세상에서 가장 쉬운 철학책>은 제목 그대로 아이들이 철학을 아주 쉽게 이해를 하고 세상을 철학적으로 짚어볼 수 있는 시야를 충분히 넓혀 주리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