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긴 명절 연휴 동안 뭔가를 하긴 했는데, 뭘 했는지는 모르겠다.
살살 헐어 야금야금 까먹다보면 어느새 바닥 나 버리는 과자봉지였다.
하루 날을 잡아 영화 '남한산성'을 보았다.
호ㆍ불호가 제각각이겠지만, 내겐 지지리도 지루한 영화였다.
캐스팅도 완전 빵빵한 배우들이지만,
남의 옷을 입은 듯 어색한 것이 미스캐스팅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을 뿐이고~--;
김훈의 '남한산성'이 생각나는 것이,
김훈이 참 글을 잘 쓰는구나 하는 생각을 다시 한번 했다.
내가 생각하던 김상헌, 최명길과 영화 속의 김윤석, 이병헌은 거리감이 있었다.
나는 내 본위로 생각하는 나쁜 버릇을 가지고 있는 고로,
내 속의 이미지들을 고착화시키고 싶어서,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들여다보는 수고도 하였다.
박시백의 조선왕조 실록에 나오는 김상헌과 최명길은 이렇게 생기셨다.
김상헌과 최명길은 당시에는 팽팽하게 대립을 했을테지만,
감옥에 갇혀서는 시를 주고 받으며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한다.
명절 연휴동안 텔레비전에서 '1%의 우정'이라는 예능 프로그램도 봤다.
거기에 설민석이 김종민과 짝을 이뤄 나오더라.
설정인지 모르지만, 정말 가까이 하기에 공통분모가 1도 없어 보였다.
이 둘을 이어주는 1%가 뭘까 생각해 보았다.
한명은 유명한 역사 선생님이고,
김종민은 역사에 관심이 많다고 들었었다.
아니나 다를까,
이 둘이 '남한산성'에 오르는 장면이 나왔다.
나는 스치듯 봤을뿐인데 이 부분을 봐 버렸고,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http://tv.naver.com/v/2136800
삼전도비와 관련된 부분인데,
내가 의아해했던 부분을 거칠게 요약해보자면,
고종이 치욕스럽다고 묻은 것을,
일제강점기에 일본에 의해 다시 파헤쳐지고,
이승만 정권 당시 다시 묻었단다.
이 부분과 관련, 내가 좋아하는 N 백과사전의 한꼭지를 볼 것 같으면,
이 비는 조선의 모일모화사상(侮日慕華思想: 일본을 멸시하고 중국의 문물과 사상을 흠모하여 따르려는 사상) 분위기를 우려한 일본에 의해 땅 속에
파묻혔다가 고종 32년(1895) 청일전쟁이 끝나면서 복구되었다. 그후 1956년 국치의 기록이라 하여 문교부(지금의 교육부)에 의해 다시
매몰되었다가 장마로 한강이 침식되면서 몸돌이 드러나자 원래의 위치에서 송파 쪽으로 조금 옮긴 지금의 자리에 되세워졌으며 1963년에 사적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라고 적혀있다.
하나는 구술이고 하나는 글자이지만, 곧이 곧대로 해석을 했을땐 완전 뒤바뀐 내용인데,
어느 쪽이 맞는 것인지 궁금할 따름이다.
(이 모두가 내가 역사에 무지해서 비롯한 것이니 창피하기 이를 데가 없다~--;)
영화 '남한산성'은 현재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제 정치 상황이나 국내 정치 현실, 엊그제 보았던 축구 등 어느 것을 대입시켜도 비슷하게 들어 맞지만, 논쟁을 위해 이 글을 쓰는 것이 아니니 생략하고,
칼보다 무서운 말의 위력을 알고,
말을 중히 여기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잠시 해 보지만,
너무 집착하여 안으로 감정을 키우진 말기로 한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015년 개정판 세트 -
전20권 (본책 20권 + 대형 브로마이드 + 조선왕실 가계도)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6월
남한산성
김훈 지음, 문봉선 그림 / 학고재 / 2017년 7월
* 친구가 이런 자료를 보내주어 삼전도비 관련 궁금증은 해소되었다.
나처럼 궁금해할 다른 이들을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