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혼
고은 지음 / 창비 / 2016년 10월
평점 :
시집 속날개에 적힌 고은의 프로필은 다음과 같다.
고 은
高 銀
시인생활 58년.
시집 여럿.
이런 간결한 문장에 마침표가 필요할까 싶은데, 온점(.)이 마침표로 들어가 앉았다.
당신의 프로필을 단 두줄로 정리해 놓을 수 있다니 참 멋지다.
단 두줄이지만 중량감은 엄청나다.
아무리 떨어내고 비워버리고 극도로 응축시킨다 한들 내 삶은 아직 두줄로는 어림도 없지만,
또 알겠는가, 그리다보면 닮아 있을지.
내 조상
한낱 입자도 파동일진대
나의 명사는
동사의 쓰레기
나는 그리운 동사에게 가야 한다
나는 파동
나의 자동사는
먼 타동사의 쓰레기
나는 그리운 그리운
선사(先史) 타동사로 가야 한다
오늘밤 미래가 미래뿐이라면 그것을 거부한다
나는 입자이자 파동
이시를 읽다가 언젠가 고은 시인이하셨던 말씀이 기억났다.
시 한편을 가지고 고생을 하기도 하지만, 시 자체로 운명을 개척하기도 한다.
시는 나의 내부에서도 오지만, 우주의 저끝에서 달려오기도 한다.
시를 쓰기위해서 깨는게 아니라, 시심 자체가 잠을 깨우게도 한다.
당신의 시들은 때론 정치적으로 읽히기도 하는데,
정치적인 것을 넘어서는 범 우주적인 시들이라고 해석하고 싶다.
만약 시가 우주 저끝에서부터 나에게로 달려오는 상황이란게 있다면 이런 것이 아닐까 생각하니 절로 숙연해진다.
고은 시인의 시를 이러쿵 저러쿵 할 깜냥은 아니기 때문에 귀하게 아껴 읽었고,
읽다가 뒷표지에서 문득 김사인을 만나다니 반가웠다.
한생을 치르는 필사의 형식으로서 시는 과연 그럴 만한 것인가.
이제 어디에 기대지 않는다. 무엇을 목표하지도 않는다. 작위도 무위도 여의고, 쥘 것도 놓을 것도 그친 자리에서 그는 다만 '시간도 공간도 없이 단도직입'(「소원」)의 꿈을 추어갈 따름.
아무렴, 시집 뒷쪽에 자리한 '시인의 말'을 옮겨보는 것으로 느낌을 대신하여야 겠다.
이것은 『무제시편』이후
내 마음의 소요(騷搖) 가운데에서 생겨났다.
지난날로 충분하다는 감회는 어이없다.
이백여년 전의 사나이가 시시한 듯이
노래한 적이 있다.
발로 글을 쓴다고.
그래서인가 나도 가끔은 들판, 가끔은 종이 위를 돌아다니고는 했다.
내 손도 이제 허랑한 구름인지도 모르겠다.
나를 시에서 떼어놓지 못한 나와
시에서 떠난 지 오래여서 시가 무엇인지 모르는
내가 어쩌다가 만나는 날에
이 세상의 (無事奔走)를 놓을 것이다.
다음을 기약하지 않는다. 그토록 숨찰 것도 없지 않은가.
시인의 나이에 이르면 괴발개발 발로 시를 써도 지극한 경지에 다다를 수 있나 보다.
아무려면 시인은 온우주를 아우르는, 파동이면서 입자인 그런 공감각적인 존재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