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니발 렉터라는 사람이 있다.
토마스 해리슨이 만들어낸 소설 속의 살인마이다.
살인마는 살인마이고 악인은 악인인데 묘한 것이,
마음 속 한켠에선 나도 모르게 동정하는 마음도 조금 있다는 거다.
소설의 흥행에 힘입어 영화로도 나왔었는데,
난 시각적 영상이 주는 충격에는 약하여 몇날 며칠 날밤을 새는 불상사가 생기는 고로 못 봤었고,
책은 끝까지 다 읽었던 것 같기도 한데,
기억이 뜨문뜨문 하지만 두번 다시 읽고 싶지는 않다.
암튼, 감옥에 갇혔던 그는 신분을 위조해 탈출에 성공을 하게 되는데, 그것은 차치하고,
내가 하고 싶었던 얘기는 그가 어렸을때부터 엄청 똑똑하고 머리가 좋았다든지, 예술적 소양이 뛰어나다든지 따위가 아니라,
그가 감옥에 갇혀 있을때 제일 힘들어 한것이,
예술을 마음껏 즐기지 못하고, 책을 마음껏 읽지 못하는 '억압받는 생활'이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감옥에 갇혀서도 매너리즘에 물들고, 타성에 빠지는 것을 경계했다는 것이고,
그 사실이 내겐 굉장한 충격이었다.
매번 다른 제목, 다른 주제의 책을 읽는데도,
메너리즘과 타성에 빠져 책에서 내가 보고싶은 것들만 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이걸 어떻게 극복해야 좋을지 모르겠어서 어쩌지 못하는 중에, 기태완 님을 만났다.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치게 되는 꽃과 나무들에게 관심을 갖고 집어서,
씨실과 날실을 엮듯 종횡으로 넘나든다는게 말로는 쉽지만,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지 싶다.
그것도 수십년을 한결같이 마음을 모두어서니까 말이다.
평상시 나는 우리나라의 옛고전을 읽는 것만으로도 버거웠는데,
기태완 님은 대학시절 '강희안'의 '양화소록'과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읽고 감동하여,
꽃과 나무를 따라 방방곡곡으로 찾아다니고 한게 벌써 수십년 째란다.
표지에 혹해서 시작하게 되는 책이 있다.
진달래 꽃잎 빛깔과 연두 이파리 빛깔을 닮은 표지를 보자마자 반해서,
속 내용은 어떻든지 상관없다는 심사로 달려들었다.
물론 나름의 단점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여러 가지 꽃과 나무를 중심으로,
고서들을 참고서 삼아 엮다보니 글이 산만하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기태완 님이 아닌 다음에야 누가 또 이렇게 온갖 고서들을 자유자재로 넘나들었을까 생각하면,
호사도 이런 호사가 없지 싶다.
처음 '서향화'로 시작하는데, 요즘 말하는 '천리향'이란다.
'서향화'가 '초사'에 실린 '노갑'인지 의문스럽다고 퉁친다.
여러 고서를 살펴본 후에 서향화가 꽃 문화권으로 들어온 것이 송나라 때인것 같다고 하면서,
왕십붕의 '서향화'라는 시를 제시한다.
ㆍㆍㆍㆍㆍㆍ참으로 한가할 때의 좋은 벗이다. 이른바 쉽게 죽는다는 것은 참으로 맹랑한 말이다. 아! 대개 사물에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이 있다. 만약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한다면 빈 산중에서 스스로 피고 스스로 지더라도 끝내 아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어찌 한스럽지 않겠는가? 어찌 원망하지 않겠는가? 강의한, 『양화소록』중에서
강희안과 서향화는 참 친한 사이였나 봅니다. 누구나 서향화 같은 벗을 사귀면 행복할 것입니다.(17쪽)
그런데, 한가지 의아한 것이,
21쪽의 '김창업은 서향화의 속명이 정향이라고 했습니다. 물론 정향은 서향화와 다른 나무지만 그 꽃과 향기는 비슷합니다. 자정향紫丁香은 라일락을 한자로 표기한 것입니다.'와 관련하여서이다.
언젠가 읽었던 토마스 해리스의 한니발 시리즈(아마 한니발 라이징이었던 것 같다.)에 보면,
거기에 정향이라는게 나오는데, 그때 라일락으로 알아 먹었었다.
그런데, 정황 상 한니발 라이징이라는 책에 사용된 정향은 clove가 아닐까 싶다.
암튼 어디에선 물푸레나무, 어디에선 수수꽃다리 라고 하는데,
도대체 뭐가 맞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 책을 읽으며 또 한가지 재미있었던 것은,
"오얏 이씨입니다."이다.
그렇다면 우리 남편도 자두 나무 아래 노자의 후손이 되는 건가? ㅋㅋㅋ~.
여러가지 잘못 알고 있는 이름이 있었고,
파초가 '바나나 나무'란 사실도 고수들이 볼때는 당연하겠지만,
내겐 놀라운 새로움이었다.
정향나무라고 해서 한니발 렉터가 떠올랐고,
한니발 렉터 하니까 떠오른 것이,
희대의 살인마, 범죄자, 흉악범이라는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이 아니라,
1권 마지막에서 스탈링이랑 송로 버섯과 프랑스 최고급 와인의 만찬을 즐기던 완전 품위있는 모습이었다.
또 한가지 그는 악인이지만, 선량하게 사는 시민, 착한 사람들은 절대 해치지 않았었다.
어느 누구는 예술을 마음껏 즐기지 못하고, 책을 마음껏 읽지 못하는 생활을 견딜 수 없어 하는 가 하면,
어느 누구는 대학시절 '강희안'의 '양화소록'과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읽고 감동하여,
꽃과 나무를 따라 방방곡곡으로 찾아다니고 한게 벌써 수십년째란다.
그런가하면,
나는 귀와 눈과 다소 착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남들이 볼때 촌스럽고 실력이 형편없더라도,
내 주변의 삶을 반영하는,
내가 이해할 수 있는 그런 예술이 좋다.
예술이라 이름 붙이기 민망하면 그냥 그런대로여도 좋다.
산다는 것은 삶의 반영이고 날것일게다.
그리하여 날것일수록 치열하고 생생하듯,
다소 투박하더라도 때로 진심을 반영한다면,
난 그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싶다.
하고 싶은 얘기는 그러니까,
매너리즘과 타성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 또한 그렇게 지나가기를 바싹 숨죽이고 엎드려 기다려야 하는 때도 있다는 거다.
언젠가는 비가 그치고 날이 갤거니까 말이다.
꽃, 마주치다 (2014년 세종도서 선정)
기태완 지음 / 푸른지식 / 2013년 11월
바흐 : 골든베르그 변주곡 [LP]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Johann Sebastian Bach) 작곡,
글렌 굴드 (Gle / CBS / 2007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