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숨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엘리 / 2019년 5월
평점 :
마침내 다 읽었다.
새로운 단편집이라고 하지만,
난 중편으로 나왔던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주기'를 읽었었고,
그걸 차치하고라도,
다 다른 얘기인것은 분명한데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전작 '당신 인생의 이야기'도 그렇고,
이 책 '숨'도 그렇고,
하나의 관통된 주제를 누군가는 '인간적 통찰력'이라고 얘기하던데,
과학적 사고방식으로 미래를 예견하는 퉁찰력이 대단한 것은 확실하다.
나도 물론 테드 창의 오랜 팬이고,
오래간만에 나온 그의 이 단편집이 많이 반가웠지만,
소설에 등장하는 주제가 과학적이고, 과학적 통찰력을 가지고 있으며,
거기에 대한 애정이 깔려있다고는 하지만,
작품으로서의 성취도가 아니라,
작품을 읽었을때 드는 나의 포만감은 조금 떨어지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매 단편마다 어떤 감동이나 깨달음을 주기는 하지만,
SF소설 특유의 어떤 버라이어티하고 스펙터클한 맛은 없어서 하는 얘기다.
인간에 대한 애정이 깔려있어서 그렇게 느껴지는 건지도 모르겠지만,
반전의 매력 또한 없다.
오히려 과학적 개연성을 가지고 심도있게 접근한다.
그 깊이가 때론 지나치게 학술적이어서 지루하게 느껴졌고,
반전매력이 없는 것이 하나의 매력이었고,
그게 묘한 깨달음을 주었다.
사실 난 김상훈 님의 번역을 그리 좋아하지는 않았다.
SF소설 번역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는 모르는 척 툴툴거리기만 했었다.
바로 전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주기'때 툴툴거렸던 것이 민망 할만큼 요번 소설집은 훌륭했다.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의 경우,
'리멤버'에서 연유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리멤'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 등 번역이 우리의 정서와 겉돌지 않아서 좋았다.
이 책의 내용이 흥미로웠지만,
더욱 더 놀라운 것은 이 책에 나오는 내용들이 황당무개하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언젠가는-멀지않은 미래에- 우리주변에서 벌어질 수도 있다고 어느새 확신을 하게 되는 것이었다.
SF소설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우울러 말과 글의 가벼움과 무거움 사이에서 한번쯤 고민해본 사람이라면 일독을 권한다.
나는 좋았고, 읽는 내내 행복했다.
그 무엇도 과거를 지울 수는 없습니다. 다만 회개가 있고, 속죄가 있고, 용서가 있습니다. 단지 그뿐이지만, 그것으로 충분합니다.(58쪽)
이 문제는 부부 관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다. 온갖 종류의 인간관계가 용서하고, 잊는 행위에 의존하기 때문이다.(288쪽)
처음 글쓰기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만 해도, 종이에 적힌 글을 읽는다면 마치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이야기의 현장을 체험할 수 있으리라 상상했던 기억이 났다. 그러나 글은 그런 효과를 내지는 않았다. 코크와가 이야기를 할 때는 단지 단어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목소리와 손짓, 눈빛까지 모두 이용했다. 그는 몸 전체로 이야기를 했고, 듣는 사람도 같은 방식으로 그것을 이용했다.종이에는 그런 것들이 전혀 포착되어 있지 않았다. 그저 헐벗은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을 뿐이었다.(2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