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빨갱이라는 낙인을 평생 달고 살았던 아버지 고상욱.
어느날 전봇대에 부딪혀 돌아가셨다.
장례를 치르는 3일간의 이야기가 이 책에서의 내용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아리라는 딸의 시점으로 글은 쓰여져 있다. 작가가 전라도 분이라 지역 또한 전라도라 등장하는 인물들의 대화 모두 사투리로 되어 있다. 전라도 사람이 아닌 나는 가독성이 좋진 않았으나, 시대/지역적인 색이 많이 드러나는 이 작품은 사투리로 해야 그 맛이 배가 되는 것 같다.
딸이 상주로 장례를 진행하면서 아버지와 관련한 사람들의 조문 과정에서 그 사람과의 관계, 사건, 에피소드 등을 풀어나간다. 새로운 사람이 등장할 때마다 이 아버지라는 사람은 또 어떤 역할을 한 것인가, 딸이 알고 있던 아버지는 진짜 아버지의 모습인걸까, 초졸 출신인 아버지가 인텔리로 인정받지를 않나. 아버지가 빨갱이라서 많은 제약을 받았던 지난 날의 이야기들이 이렇게도 끊임없이 나올수가 있을까.
예전 빨갱이로 지목되는 순간 자신 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게 악영향이 끼치던 그 시절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각 인물들과 아버지와의 이야기가 너무나 자세하고 구체적이라 글을 따라 읽다보면 그 모습을 그리게 된다고 해야하나. 딸 또한 아버지는 아마도 그러했으리라고 여러번 이야기한다. 초반에는 아버지에 대한 딸의 감정이 무엇일까 궁금했으나, 계속되는 사람들과의 그려지는 아버지의 모습에 새삼 그립고, 측은하고, 사랑해함을 느낄 수 있었다.
왜 사람들은 그 사람이 곁에 있을 때 그 진정한 의미와 존재의 감사함을 모르고 살아가는걸까. 그게 망각의 인간에게 주는 큰 깨달음인건가. 후회하지 않게 많이 사랑하고 아끼기도 유한한데 말이다. 읽는데 여러군데에서 눈물이 났다. 한 사람의 탄생이 정말 축하받고 있음에 또 한 사람의 죽음이 진정으로 애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잠시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