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재천의 희망 수업 - 그럼에도 오늘을 살아가고 내일을 꿈꿔야 하는 이유
최재천 지음 / 샘터사 / 2025년 2월
평점 :
AI 시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일자리가 사라질 뿐이지 일거리가 없지는 않다.
일자리가 없음에 대한 전사회적인 준비를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생각하게끔 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간의 역할에 대해서도 우리 하나하나 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서 인간은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함을 말이다.
통섭형 인재가 되기 위해 현재 학교에서의 교육이 맞는지, 우리의 교육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을 강한 어조로 말하고 있다. 통섭이라는 단어를 통해 우리 사회가 얼마나 분야별로 단절되어 있는지 새삼 깨닫게 되었고 두루두루 잘 해내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실제로 다양한 것을 할 필요가 있음을 말하고 있었다.
교수님의 책읽기, 글쓰기는 워낙 유명하다. 이과형 인재가 이렇게 글을 편하게 쓸 수 있음을 옛적 교수님의 글을 통해 확인했고, 글쓰기가 문과/이과의 문제의 것은 아니구나 라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잘 쓰기 위해서는 잘 읽어야 하고 잘 읽기 위해서는 집요하게 목표의식을 갖고 읽어야만 한다는 것 또한 배우게 되었다.
모든 일의 끝은 글쓰기이다. 사실 그런 것 같다. 글쓰기는 너무 힘드니까. 아무리 그 분야 대가라 하더라도 논문, 책을 위한 글쓰기는 쉽지 않은 작업이며 그 글이 갖고 있는 힘과 파장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내용 뿐만 아니라 그 의미 또한 생각하고 쓴다면 그 또한 어려운 것이리라.
마지막으로 생물학적으로 우리가 앞으로 잘 살기 위해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더불어 기후 위기 등의 생태적 변화에 따른 인간의 노력 또한 어마어마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 분의 글은 말하고자 하는 바는 크고 깊은데, 글은 너무나 쉽고 읽기 편하게 쓰여져 있어서 독자로 너무 좋다. 더불어 배우고 싶다. 책 속에 의사 친구들 사이에서 모두 부러워하는 삶을 살고 있음 또한 닮고 싶다. 자신이 하고 싶은 영역의 대가이면서도 돈을 바라지 않지만 좋아하는 일을 열심히 하면서 돈도 저절로 들어오게 되고 연구하고 싶은 것이 바로 보고 싶은 것이 되는 삶. 정말 멋진 삶을 사는 것 같아 신선 느낌이었다.
자잘하게 이래라 저래라 하지 않지만 삶을 어떤 방향으로 그 이정표를 잡는데 큰 도움이 되는 책이며,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많은 이들에게 멘토와 같은 역할을 해주심이 감사할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