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공포를 악착같이 쫓을까. 무서운 이야기를 좋아하고 무서운 곳이 있으면 가서 무서움을 확인하려고 하고 무서움을 나누려 한다. 귀신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대부분 믿고 있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이 귀신을 볼 수 있다는 기대를 준다. 귀신을 본 사람도 드물고 귀신은 주위에서 볼 수 없으니 세상의 존재가 아닌 귀신이 있는 곳으로 가서 귀신을 확인하고 싶어 한다

 

중학생 때에는 집 뒤에 있는 공동묘지에 사과를 갖다 놓고 다음 놈이 가져오고 하는 담력 시험을 하기도 했다. 회사에 입사하면 자정에 어두운 곳에서 하는 극기훈련도 한다. 따지고 보면 우리는 끊임없이 공포를 갈구하고 있다

 

우리는 공포영화를 본다. 공포영화는 잘 만들지 못하면 욕을 들어먹는데도 불구하고 잘 만들지 못한 공포영화는 잘 만든 공포영화를 비롯해서 끊임없이 나오고 있고 공포영화제까지 개최된다. 공포영화는 무섭기만 하면 안 된다. 공포는 재미, 그러니까 유머가 같이 딸려와야 한다. 곡성도 중간중간 웃기는 장면이 많다. 알포인트도 군인들의 행동과 말투가 웃음을 자아냈다. 처음부터 끝까지 무섭기만 하면 공포영화는 사람들에게 외면 받는다

 

사실 귀신을 보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기겁을 하고 기절을 하게 될까. 벌벌벌 떨까. 소리를 지를까. 사인을 해 달라고 할까

 

귀신을 실제로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할지는 모른다. 귀신을 만난다면, 마주친다면, 만나서 기겁을 하지 않으려면 한낮의 사람이 많은 곳이 나을까 아무도 없는 오밤중의 낯선 곳이 나을까

 

잔뜩 긴장을 하고 있다가 마주치는 오밤중의 외딴곳이 더 낫지 않을까, 무방비에 사람들이 많은 도심지에서 나만 보이는 입 찢어진 귀신이 나에게로 사람들 사이를 뚫고 서서히 걸어오는 것이 더 무섭지 않을까 싶다가도 그래도 대낮이 나을 거 같애, 라는 생각이 든다

 

귀신에 대한 이런 자질구레한 생각보다 사람들이 귀신을 찾아가고 귀신이 나오는 이야기를 읽고 귀신 영화를 보는 이유는 가만히 생각해보면 현실에서 귀신보다 사람이 더 무섭기 때문에 이 극단적인 무서움에서 벗어나고픈 욕구 내지는 욕망이지 않을까

 

사람이 무서운 건 성폭행을 하고 칼부림을 내고 사기를 치고 피해를 주는 그 이면에 사랑하는 사람에게 배신을 당하고 믿었던 사람에게 믿음이 깨지는 무서움을 매일 겪으며 살아가면서 나 자신이 상대방에게 상처를 아무렇지 않게 주는 무서움을 알게 되었다. 그렇기에 우리는 귀신을 찾아 끝없이 헤매는지 모르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동응답 전화기까지 있는데, 그걸로도 연결이 안 되면 어쩔 수 없는 거죠. 지금까지 어떤 배역을 다른 사람이 가져가서 아쉬웠던 적도 없고요. 오히려 ‘제발 가져가세요, 가져가’하는 마음이에요.

사람이 뭔가를 품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 그것보다 더 가지려고 해도 가질 수 없어요. 그래서 옷이든 물건이든 딴 사람이 마음에 들어 하면 줘버립니다. 다른 사람한테 주면 물건이 다시 살아나니까. 그렇지만 나는 안 받아요

 

 

그녀는 14년 동안 유방암 투병 생활을 하면서 영화를 찍고 하나씩 자신의 물건을 정리해 왔다고 한다. 하나의 영화가 끝이 나면 대본도 버리고, 물건도 하루에 하나씩 버려왔다고 했다

 

 

다들 고마웠어...라고 한 키키 키린

 

 

우리는 할머니 키키 키린의 얼굴만 알고 있어서

아주 젊은 시절의 키키 키린을 그려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장 한국 자동차와 휴대폰이 많이 나온 시리즈는 마블의 데어데블 시리즈와 아이언 피스트와 제시카 존스와 루크 케이지다. 심지어는 백만장자의 아이언 피스트가 타고 다니는 자동차도 억지스럽게도 산타페다. 그리고 시즌마다 다르지만 제시카 존스 첫 시즌에 삼성이 어떤 짓을 했는지 몰라도 빌런, 주인공 전부 삼성 폰을 사용하고 있다. 자동차도 전부 현대차를 몰고 다닌다. 소나타, 제네시스, 산타페 등. 루크 케이지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다가 제시카 존스가 시리즈 2에 와서는 폰도 아이폰으로 바뀌고 차도 도요타로 바뀐다

 

이렇게 해외, 미국의 많은 영화에 한국의 차와 폰이 등장해서 좋긴 하지만 정작 한국 사람이나 한국의 역사 같은 건 나오지 않는다. 데어데블에서도 빌런으로 일본의 닌자가 나온다. 닌자는 거의 시리즈 전부에 걸쳐 등장한다. 그들이(엘렉트라, 빌런, 데어데블?) 하는 무술도 일본 무술에 가깝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그들의 역사를 줄거리에 녹여내어서 시리즈 내내 이끌어 간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한국의 차와 폰이 나오는 것이 마냥 좋은 것만도 아닌 것 같다

 

알리타에서도 그렇지만 그 영화의 대부분의 그래픽을 우리나라 회사에서 도맡아서 했다. 봉준호의 기생충의 쾌거와 이병헌과 수현의 입지가 영화의 공화국 할리우드에서 깊은 공간을 채워주는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제 자본으로 영화시장에서 꼭 그들에게 어필을 할 필요는 없는 것 같지만 회사와 회사의 시장에서는 일반인인 나 같은 인간이 모르는 것들이 많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쓸데없이 무차별적으로 고어적이고

신경질 날 만큼 반전에 반전에 반전에 반전인데

겟 아웃에서 주인공 여자친구로 나왔던 섬뜩한 연기의 엘리슨 윌리암스의 연기가 보고 싶었고

생각지도 못한 시나리오에 끌려 보게 된 영화 퍼펙션

 

심리 스릴러 영화라고 보게 되었지만 욕망과 광기로 몹시 기괴하고 상당히 괴기스럽고 무척 기이하며 대책없이 흥미를 여러 번 뒤엎는 반전이 있는 영화였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은혜받는 시간이었습니다
축복합니다
천국의 자리하나 마련해주십시오
공동체에 들겠습니다


구해줘 2를 보고 있으면, 욕망 때문에 스스로를 파멸시킬 것이 분명한 정글보다 더 한 먹이 사슬에 기꺼이 뛰어드는 사람들의 ‘사채꾼 우시지마’를 보는 것 같다


글을 잘 적는 한 블로그에 사채꾼 우시지마는 아주 잔인하고 무자비하고 괴로운 내용임에도 자꾸 보게 되는 건 무한정성으로 선량한 피해자가 없다는 데 있다. 그래서 보는 이들이 심적으로 덜 괴롭다고 했다. 하지만 구해줘 2를 보는 내내 괴로운 것은 피해자들이 절대적으로 선량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어떤 글을 적기 위해 나도 6개월 정도 이단종교를 따라다닌 적이 있었는데 거의 흡사하다. 그때, 아는 사람들은 나에게 왜 그렇게 위험한 짓을?라고 했지만 대체로 교인들 대부분은 선량하다


묘한 장소에 묘한 복장과 묘한 장식으로 묘한 노래(트로트에 찬송가 가사를 입혀 부른다거나)를 부른다. 일반적인 가톨릭에서 하는 기도에서 벗어난 묘한 기도를 한다. 그리고 신도들에게 하던 일을 관두고 하루 종일 여기 묘한 공동체에만 매달리게 한다


구해줘 2에서 천호진의 악마 같은 연기는 정말 사람을 빨아들인다. 이렇게 겁이 나고 잔인할 수 있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