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에 관해 풀리지 않는 의문들
김종성 지음 / 지호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하루 종일 몸을 쓰고 살면서도 특별히 아프거나 병이 나지 않으면, 내 몸의 쓰임새와 그 정교성에 대해 심각하고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게 된다.  특히 다른 어떤 신체 기관보다도 훨씬 많이 일하고 엄청나게 정교한 곳이 바로 ‘뇌’인데, 문제가 생기기 전까지는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인지, 뇌의 작용이 마음이나 영혼으로 표현되는 쪽에 더 친숙하고 거부감이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어쩐지 ‘뇌’에게 미안해지기도.

하지만 사랑하는 연인에게 “내 마음과 영혼을 모두 바쳐서 너를 사랑해.”라는 말 대신에 “내 뇌의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간뇌와 기저핵, 뇌량과 신경전달물질까지 송두리째 바쳐서 널 사랑해”라고 한다면 아무래도 이상한 사람으로 취급당하며 가차 없이 차일 확률이 더 커지지 않을까.  일반적으로 굳이 연인에게 신체의 일부분을 바친다면 뇌보다는 심장을 바치는 게 더 로맨틱하다고 생각해 왔던 것 같기도 하다.  그러고 보면 뇌는 그 중요성에 비해서 감정적으로는 홀대를 받은 신체 기관이면서, 복잡하고 섬세한 수없이 많은 기능을 수행하는데 비해 밝혀진 게 별로 없는 신비의 영역인 듯.  “내 마음 나도 몰라”는 “내 뇌 나도 몰라”라는 무지에 대한 고백인 셈이다.

신경과 전문의이자 교수이기도 한 지은이는 의학적, 유전학적, 진화론적인 설명으로 우리의 ‘뇌’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주는 수필이다.  어떤 분은 이 책의 일부분이 너무 ‘야’하다는 말씀을 하셨다는데, ‘여성의 가슴은 왜 커졌을까?’와 ‘섹스에 대한 고민은 왜 인간만 할까?’라는 제목으로 쓰인 딱 10페이지의 분량을 가지고 하신 말씀인 것 같다.  아마도 이 책에서 ‘잠은 왜 잘까?’라는 글이 중학교 교과서에 실렸고, 그래서 ‘권장도서’라는 생각으로 집었다가 화들짝 놀라셨던 것 같다.  하지만 ‘야’하다는 게 뭘까.  ‘야’하다는 이유로 성에 대한 이야기를 금기시하는 것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을까.  초등학교 고학년만 되어도 알 건 다 아는 세상에, 아이들이 어둠의 경로를 통해서 성에 대한 음습하고 왜곡된 시각을 갖게 하는 것보다는 이렇게 아예 밝은 곳에 드러내서 ‘성’을 다양한(여기서는 의학적, 진화론적 관점) 시각에서 바라보게 하는 게 오히려 더 좋지 않을까.  그런 건전한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야말로 성에 대한 음습하고 왜곡된 시각을 고정화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 이유로, 난 280쪽의 이 책에서 단 10쪽이 ‘야’(?)하다고 청소년들에게 이 책을 금하는 것에 반대다.  게다가 뇌가 ‘성’이나 ‘생식’에 대한 기능만 담당하는 게 아닌 이상 이 책이 뇌에 대한 다양하고 유익하고 재미있는 정보들을 담고 있다는 사실을 참작한다면 더더욱.

그런데 사실 조금 더 꼼꼼하게 들여다보자면 이 책은 ‘뇌’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이 책은 ‘뇌’를 도구삼아 ‘인간’과 ‘삶’에 대해 말하고 있다고 하는 편이 더 정확하다.  그래서 읽고 나면, 인간이란 다른 동물들보다 조금 더 우수한 뇌를 가진 생명체일 뿐이라는 생각, 오만을 떨 정도로 그렇게 잘나지는 않았다는 생각, 단호박만한 내 뇌의 작은 부분 하나만 삐끗해도 삶 전체가 엉뚱하게 어긋날 수도 있을 만큼 내가 연약한 존재라는 생각, 그러니 아직 내 뇌가 쓸만할 때 열심히 생각하고 좋은 일을 하며 행복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요즘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 그들의 뇌를 파헤쳐 조사해보고 싶다는 욕구도 모락모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