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 제도화된 수렁들>
유산상속 : 공공연한 불리의 세습
--->대물림과 계급 내부의 구성


대물림이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을 영입하는 방식이었고 대물림이 ‘절차‘로서 기능한다는 점, 자식(장자인 아들)이 아버지의 ‘위치‘를 점하는 ‘움직임‘과 대립하는 효과는 자식들(장자 이외의 아들들과 딸들)을 아버지의 위치로부터 배제하는 것이다. 후자가 대물림의 ‘고전적인‘ 효과인 전자의 조건이라는 점에서 두 효과는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대물림은 하나의 ‘움직임‘에서 생겨나는 불가분의 두 가지의 효과의 총체다.

대물림은 보편적으로 자연 현상처럼 간주된다. 
상호적으로 아버지의 위치를 자식이 차지하는 행위는 안정성으로 평가된다. 대물림은 따라서 이중으로 관성적이다.하나는 ‘자연‘적인 상태로서, 다른 
하나는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서 그렇다. 이는 뒤이은 절차가 부재하게끔 이끄는, 절차가 부재한 상태로 이해된다. - P90

그러나 대물림이 사회적 현상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대물림이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을 영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영입 방식으로서 대물림은 반드시 행위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대물림이 ‘절차‘
라는 점 역시도 명백하다. 그러므로 자식이 아버지의 위치를 점하는 것은 그 자체로 ‘움직임‘이다. 이때 대물림이 발휘하는 또 다른 효과는 앞서 언급한 움직임과 대립하는 성격의 것으로서, 자식들을 아버지의 위치로부터 배제하는
것이다. 이 두 효과는 서로 연관되는데, 모두 대물림
의 효과이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후자가 대물림의
‘고전적인‘ 효과인 전자의 조건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대물림우 하나의 움직임에서 생겨나는 불가분의 두 가지 효과의 총체다. - P91

그러므로 우리는 사회적 위치의 대물림을 설명할 때 ‘안정성‘이라는 용어를 지양해야 한다. 또한 대물림이라는 명칭을 그 두 효과 중 하나로 한정하지도 말아야 한다. - P92

결론적으로, 대물림은 계급이 만들어지는 방식이나 계급간 ㄱㅐ인들의 움직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계급 자체의 구성에 작용한다.
 바로 계급 ‘내부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대립된 범주
와 지위의 존재 및 그 생성에 관여하는 것이다.
-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