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1 : 주적》

늦은 점심 먹고 데크에 나와 읽다 춘곤증이 밀려오길래 커피 두 캡슐 내려서 마시고 잠시 망중한을 즐겨본다. 우리 동네 바라보고 앉아 있으면 시간이 순삭되는 경험을 매일 하게 된다^^
요즘은 정원에 나무 사다 심느라 아주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앉아서 바라보고 있으면 자꾸 빈곳을 찾아 채우고 싶은 욕구가~~~
오늘도 1년생 조팝나무 15주, 키 큰 산수유 나무 1주 사와서 열심히 삽질하고 정원을 채우고 바라보니 뿌듯한데...
큰 화분들이 몇 개 비어있으니 무얼 심을까 생각하며 또 마음이 동한다. 몸이 아파도 계속하고 싶은 즐거운 중노동이다^^


상향혼을 향한 경주, 여성 노동의 무가치성(이 경우 가사노동을 지칭), 그리고 가정 밖에서 일하지 않는 여성들은 결국 남편의 계급으로 환원되는 이 변함없는 사실이 씁쓸하다.

내 얘기 하는 거 같은 문장이 많았다. 왜 변하지를 않나! 임신, 출산, 양육, 가사노동에 쏟아붓는 시간이 계속되는 동안 어떻게 하면 밖으로 나갈 수 있을까 많은 고민을 했었지만, 가정 밖에서 일하면서도 가사노동에 투입된 시간은 줄지 않았다!
가정의 일을 배우려고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무리 가르쳐 주고 지적해도 여전한 그 무관심한 대처에, 보조자로만 머물러 있던 남편에게 실망하고 치를 떨었던 시간이 얼마나 길었던가. 이런 상황이라면 밖에서 일해서 가정경제까지 책임을 보태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수도 없이 했다.
아무리 시간이 지났어도 아직 뉴스로 접하는, 가정 내 부부의 가사 투입시간은 비교 자체가 불가할 정도로 일방적이다. 물론 안그런 남편들도 많다는 거 안다. 그럼에도 ....!

어릴 때부터 이런 불합리를 보고 자란 우리 딸은 결혼에 대한 환상 따위 없다.(그런데 우리 아들도 그렇다. 엄마만 하는 개고생? 싫었다나 뭐래나! 그러면서 가사노동을 잘할 자신도 없단다.)
이러니 딸에게 결혼하란 말을 하지 않는다. 본인이 결혼을 선택한다면 존중하겠지만 권유도 강요도 결코! 하지 않는다. 아이를 낳으란 말도 하지 않는다. 일도 계속 할텐데 결혼과 출산, 양육과 관련해서 딸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으로 굳이 등떠밀 이유가 뭔가 싶다(그런데 친구들 손자, 손녀 자랑질 보면 부럽기도 하니 어쩌지???). 이런 양가감정 옳지 않아 ㅠㅠ


이 책의 많은 예시들이 1970년대를 기준으로 쓰여졌는데 그동안 많은 국면전환이 있었다지만 여전히 변하지 않는 사실들에 답답함이 가시지를 않는다.
가부장제라는 제도는 정말 우리 여성들의 ‘주적主敵‘이어야만 할까.... 적어도 우리 딸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거 같아 답답해서 ...
그냥 우리 딸 이쁜 사진 들여다 보고 있게 된다.



... 같은 부양을 받더라도 여성은 남편의 필요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노동을 제공하게 된다. 
가령, 부르주아의 아내는 사회적 체면유지라는 업무를 제공함으로써 가정 내 노동의 업무는 더 적게 수행한다. 제공한 노동과 무관하게 보상받기 때문에, 여성들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들에게 유일한 해결책은 더 부유한 남성에게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향혼을 향한 경주"는 "여성 노동의 무가치성"
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된 결과라 하겠다.

그러나 생산수단을 소유한 계급에 속한 남성과의 결혼으로 여성의 삶의 질이 올라갈 수 있다 해도,
이것이 여성을 그 계급에 속하게 해주지는 못한다.
여성은 스스로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P50

결혼 관계에 깃든 노동 전유와 착취는 모든 여성이 경험하는 공통의 억압이다.

‘누군가의‘ 아내가 된다는 운명을 가진 존재로서 공통의 생산 관계에 속할 수밖에 없는 여성들은 따라서 단 하나의 계급만을 구성한다. - P55

앞선 논증에 비추어 보면 "부르주아의 아내"를 
"부르주아"라고 부르는 것은 플"랜테이션 농장주의 노예"를 "농장주"라고 부르는 것과 다름없는 일이다. 
그러나 이런 표현은 일상적이다. 
마찬가지로, 노동자의 아내와 (여성) 노동자도 흔히혼동된다. 
이는 여성에 한해서는, 그들이 속한 계급이 때로는 계급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인 정의-생산에 대한 관계-에 의해, 때로는 아내를 남편의 재산 혹은 남편의 연장으로 보는 시각에 의해 결정된다는 뜻이다. - P56

그러나 흔히 그러하듯 자본주의 생산 양식만을 
고려하고 여성들에게 남성과 같은 기준을
적용한다면, 가정 밖에서 일하지 않는 여성들은 결국 (프롤레타리아-자본가) 계급체계의 바깥에 자리한다. 이 여성들을 계급체계에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비마르크스주의적 ㅡ남편의 계급ㅡ 에 따라 계급을 결정할 수밖에 없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