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0: 서문>인식론과 방법론, 유물론


4. 기존 학문에 대한 비판과 페미니즘 관점의 발전

하지만 과학도, 페미니즘도 국경이 없다. 
지식의 평가는 국가적인 차원도, 다국적 차원도 
아니고 전 세계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1975년 내가 소원이라 불렀던 전세계적 ‘지식의 페미니즘적 혁명‘은 시작되었으며 계속되고 있다. 페미니즘적 사유는 지난 30 년 간 사회과학 전체가 한 것보다  더 많은 가설을 낳았고, 더 많은 개념을 만들어냈으며, 더 많은 대상 ㅡ‘여성 억압‘을 비롯해ㅡ을 구성해냈다. - P64

페미니즘사상에 대항하는 프랑스 지식 기관 대표자들의 격렬한 공격(Delphy, Armengaud et Jasser1994)은 후위전戰 특유의 형태를 보인다. 페미니즘에 반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페미니즘이 만들어낸 개념(예를 들면 젠더) 중일부를 빌려야만 하기 때문에, 이 대표자들은 방어적인 태도를 보인다. - P65

하지만 젠더가 ‘섹스‘와 동의어로 (개념이 아닌 용어로) 쓰이는 경우에도, ‘젠더‘라는 단어가 발화되었다는 사실만으로도 이는 담론에서 싫든 좋든,
가장 일반적인 차원에서 가장 전복적인 차원-‘젠더‘를 사회 분열의 주요 쟁점으로 만드는-에 이르기까지 젠더에 대한 모든 함의를 끌어내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페미니즘에 적대적인 이들은 페미니즘의 영역으로 끌려 나오게 된다. 그들이 페미니즘과 그 영역이 존재할 만한 장소가 없거나
말할 가치가 없다는 듯 군다고 하더라도, 그렇게 된다. - P65

계급 개념에서 젠더 개념으로

계급이라는 개념은 사회 구성의 개념에서 출발했으며 그 결과를 구체화한다. 집단은 더 이상 관계에 앞서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관계가 집단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성별 분업을 구성함으로써 ‘성별‘이라 일컬어지는 집단을 만드는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관행을 밝혀내야 한다. - P70

1970년대, 영어권에서 ‘젠더‘라는 개념이 탄생하면서 이론적으로 매우 주요한 발걸음을 떼게 되었다. 나는 1976년부터 이 개념을 사용했다. 
젠더 개념은 처음 등장했을 때 단 한 단어로 
‘성적‘ 이분법의 사회적 측면을 인정하고 그 사회적 측면을 사회적으로 다뤄야 할 필요성을 포괄했으며, 결과적으로 사회적인 측면을 성의 해부학적·생물학적인 면과 분리했다. 젠더는 성 역할에 대한 시선을 ‘성‘의 구성 자체로 이동하게 할 방편을 잠정적으로나마 가지고 있다. 

어떻게 이 잠재적인 힘을 발현시켜 가부장제를 연구하고, 여전히 부재하는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느냐는 이어지는 책에서 다루려 한다. - P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