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신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 창해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나"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직접적으로는 거울에 비친 나의 모습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는 나를 어떤 역할의 호칭으로 부르는 제3자를 통해서다.
또 내가 "나"를 무의식적으로 확인하는 일이 가끔 있다고 하면 그건 나의 슬픔과 기쁨,즐거움과 고통의 감정을 보전하여 새로 발생한 나의 감정이 그 추억에 공명할 때, 나는 "나"의 정체를 알게 된다.
예컨대 내가 남을 사랑한다고 의식할 때 그것은 "사랑하기에 이르는 과정"에 근거하는 나의 감정의 구현화된 상태를 뜻한다.
모든 "나"의 형용은 결국 나의 뇌에 의한 오랜 "생산"과 "축적"의 성과에 의해서 마련된 것이어서 그것은 절대적으로는 나만이 그 전모와 진상을 안다.
"나"는 가끔 철학적인 명제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내가 "나"의 기억과 감정을 의식하여 확인할 때 "나"는 거기에(여기에) 실존하였다고 확인한다.
결국 "나"를 유일하게 확인하는 주체는 나의 뇌란 말이다.
그 나의 뇌가 "나"의 기억을 유지하면서도 나의 감정이 "나"의 추억을 배신하게 되었을 때, 과연 "나"는 무엇으로 변해 가는가?
나루세 준이치는 부동산에 침입해 온 강도로부터 머리에 총을 맞아 우뇌를 손상하여 세계최초로 성인뇌이식 수술을 받게 된다.
수술은 성공하여 준이치는 건강을 회복하게 되는데, 그때로부터 준이치의 감정은 점차 변해간다.
원래 나약하고 소심한 성격이 공격적이고 오만한 성격으로 변하고, 화가를 꿈꾸었다는 것과 또 그를 유일하게 이해하는 애인과의 소박한 행복감마저도 점차 사라진다.
남의 사소한 일에 강한 분노를 느껴 게다가 살의까지 느끼게 된 자기의 감정 변화에 준이치는 당황한다.
"이식한 뇌가 나의 감정을 지배하려고 한다."
자기자신의 감정의 붕괴를 막아 내기 위해 준이치는 이식한 뇌의 도너가 도대체 누구였던지를 알아내려고 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도 "이식한 뇌에 의한 지배"는 심화하여 절망적인 상황에까지 이르게 된다.
내가 "나"의 기억을 유지한채 다른 흉악한 "나"로 변해가는 과정은 긴박감이 이었고 또 무섭기도 하였다.
마지막에 준이치가 선택한 "해결책"은 납특할 수 있어서 오히려 안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