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에 관한 짧은 우화 - 반 룬 전집 2
헨드릭 빌렘 반 룬 지음, 김흥숙 옮김 / 서해문집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화'는 도덕적인 명제나 행동의 원칙을 인간이 아닌 동식물에 빗대어서 들려주는 짧은 이야기를 말한다. 그래서 우화속에는 유머가 담겨 있고, 교훈을 알아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 '코끼리'가 코끼리로 남게 된 사연을 소개하고 있다. 이야기는 '인간'들에게 무슨 일이 벌어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황새들이 인간 아기를 날라다주는 일이 점점 줄어들게 된 것이다. 그렇게 감소하는 인간들을 대신하기 위해서 동물들 가운데 가장 '현명하다'는 코끼리들이 점점 줄어드는 인간을 대신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었다. 그래서 코끼리는 '인간세상'을 먼저 경험해보기로 결정한다. 그러고 나서 '인간'이 되기로 결정해도 늦지 않으니까 말이다. 그렇게 한 코끼리가 용감하게 뉴욕으로 떠난다. 그곳이 인간세상 가운데 가장 번화한 곳이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직접 읽어보시길 바라고, 결론은 '코끼리'는 인간이 되길 포기하고 코끼리로 남기로 했다. 그건 '인간세상'에서 겪은 일들이 인간이 아닌 동물들로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분명 인간도 '동물'과 함께 살아가던 시절이 있었는데, 인간세상에 '무슨 일'이 있었기에 다른 동물들은 감히 인간세상에 적응조차 할 수 없게 된 것일까? 정녕 '무엇'이 인간과 동물을 다르게 만든 것일까?

  인간이 '문명'이란 것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다른 동물과는 별개로 살아가기 시작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그 문명은 오직 '인간'만이 살아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다른 동물들은 해당사항이 전혀 없다. 그렇게 인간은 스스로 고립된 삶을 살아가게 되었다. 그 덕분에 인간들은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지혜를 잃어버렸다. 문명이 점점 확장되면 확장될수록 동물들은 서식지를 잃고 떠나야만 했다. '그곳'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동물들은 끝내 멸종되고 말이다. 그래도 인간은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다. 오직 '문명'이 유지되고 번영하는 일에만 골몰할 뿐이다.

  그렇다고 '문명'에 아무런 문제가 안 생긴 것은 아니다. 인간조차 살 수 없을 정도로 '환경오염'을 시켰고, 맘놓고 살 수 없을 정도로 '치안'이 확보되지도 않았으며, 착하게 살기보다는 못된 짓만 골라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더 많았다. 이 모든 것들이 바로 '욕심' 때문이었다. 남을 위하는 마음은 '자기만을 위하는 마음' 앞에 설 자리를 잃고 내쫓긴 지 오래 되었다. 그렇게 무법천지로 만들고서도 인간들은 '귀찮은 일'에는 신경조차 쓰지 않으려 한다. 그저 '나만 아니면 된다'는 식이었다. 그래서 뉴욕에 간 코끼리도 불운한 사건에 휘말렸던 것이다. 그 불운한 일을 겪고도 코끼리가 무사히 고향으로 되돌아 갈 수 있었던 것은 몰인정한 인간사회에서도 '착한 마음'을 잊지 않은 사람들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도시에 살아가는 '착한 동물들'이 먼저 도움을 주었지만 말이다. 이런 사건을 통해서 '인간사회'에도 아직 따뜻한 온정이 남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결국은 나쁜 마음을 품은 사람들이 더 많기에 결국 '인간사회'는 멸종해 버릴 것이라는 게 이 '짧은 우화'의 주제다.

  도대체 인류 문명은 언제부터 '나와 다른 것을 포용하는 마음'을 잃어버리게 된 것일까? 왜 인간은 다른 동식물처럼 '한 곳'에서 나고 자라는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곳까지' 정복하지 않고서는 직성이 풀리지 않게 된 것일까? 더구나 씀씀이는 너무나 헤퍼졌다. 지구의 자원으로도 모자라 '지구밖의 자원'을 탐내서 굳이 지구로 가져와 쓰려고 혈안이 될 지경으로 '욕심'이 그득하다. 핑계는 참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구인들의 삶'이 평안하고 윤택해질 것이란다. 그럼 지구에 사는 '다른 동식물들의 삶'도 그러할까? 인간이 확장해온 '문명' 아래 인간 이외의 다른 생명들도 모두 평안하고 윤택한 삶을 '더불어'서 살 수 있을까? 답은 너무도 뻔해서 답하는 것이 민망할 정도일 것이다. 정답이 '아니오'이기 때문이다. 이런 인간들이 '도덕적인 삶'을 말하면 위선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 '문명'이란 것도 인간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해코지 하기 위해서 만든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그런 판국에 '도덕'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이 책을 쓴 '반 룬'은 네덜란드계 미국인으로 살다 1944년에 62세의 나이로 돌아가셨다고 한다. 그러니 이 책이 쓰여진 때는 20세기 초반이었을 것이다. 무려 100여년 전에 쓰여진 책이다. 그때 쓰여진 책인데도 '인간세상'은 살기에 썩 적합한 곳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린 것이다. 하긴 100여 년전이 '세계대전'이 벌어지던 때였으니, 인간이 저지른 가장 끔찍한 만행을 경험한 탓일지도 모르겠으나, 그 당시의 서양인들에게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며, 특히 '백인'에 대한 우월주의가 판을 치던 시절이었는데도 '하얀 인간'이 쓴 책치고 꽤나 진보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다. 그가 쓴 대표작이 <인류이야기 (전3권)>라니 조만간 다시 읽어보아야 겠다. 십 몇년 전에 휘뚜루마뚜루 읽은 기억이 나긴 하는데 말이다. 전반적인 느낌을 다시 정리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