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소에 대한 고민을 끌어내는 SF 소설, 『어둠의 속도』
SF는 과학 기술의 발달 자체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 발달이 우리에게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영향들에 관해 고민하게 만드는 소설 장르인 것 같다. 예전에 가졌던 SF에 대한 인식은, 단순히 기술 발달로 현재와 이질적인 모습을 보이는 미래 사회에 대한 감탄과 놀라움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SF가 현재 시점에서도 충분히 문제 의식을 가지고 고민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루는 장르라는 것을 안다.
이번에 읽은 엘리자베스 문의 『어둠의 속도』도 그런 고민을 끌어내는 소설이다. 자폐인 주인공이 마주하는 여러 인물들과 사건들 통해 생각하게 되는 문제들이 많다.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게 적절한 것인지,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이라고 생각하는 게 옳은 것인지, 타인을 마음대로 판단할 수 있는지 끊임없이 의심하고, 혼란을 느낀다.
마지막 자폐인 세대인 주인공 루 애런테일.
그가 사는 세계에서는 기술 발전으로 임신 중에 자폐를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더 이상 세상이 말하는 '정상'의 선에서 어긋난 아이들이 탄생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일까. 세상은 그들이 설정한 '정상'이라는 기준에서 어긋나 있는 주인공 일행도 억지로 변화시키려 한다.
루와 그가 속한 A부서 모두는 자폐인으로, 특별 복지 헤택을 받고 있는데 새롭게 부임한 상사가 혜택을 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하며 그들을 '정상화수술'을 시켜 정상으로 만들려 한다.
하지만 이들이 '정상'이 되는 걸 원할까? 그들은 정상이 아니라는 판정을 받고 있어도 꽤 괜찮은 삶을 누리고 있다. 어떤 면에서는 다른 이들보다 뛰어난 부분들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 그들에겐 인권이 있다. 그들만의 관점으로 인지하고 살아가는 삶이 이미 존재한다.
내가 생각하는 것은, 어둠의 속도는 빛의 속도만큼이나 흥미롭고 어쩌면 더 빠를지도 모른다는 점이다. 누군가 알아낼까? (p.11)
읽으면서 마음이 혼란스러웠다.
주인공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읽다보니 그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아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주변 사람들의 태도에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첫부분부터 그랬다. 포넘 박사와의 대화에서 루가 속으로 생각하는 부분들을 읽으며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잘못된 판단을 내리고, 일정한 틀 안에 포함시키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주인공을 포함한 자폐인들이 항상 긍정적으로 다가온 것도 아니다. 바로 다음에 나오는 그들의 모임 이야기를 읽다보면 묘하게 거리감을 느낀다.
그러다가도 복지 혜택을 없애려는 상사와 팀 리더 간의 대화를 읽다보면 다시 생각이 바뀐다.
마음이 이리 쏠렸다가 저리 쏠렸다가 하니 혼란스러운 것이다.
결국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장애'라고 판정을 내리고 우리와 다른 '비정상'이라고 규정한 것이 잘못된 판단이 아닌가. 그 판단에서 '정상'이라고 간주되는 이들도 아주 넓은 스펙트럼으로 분포하고 있다. 그들과 다른 부분들이 있지만, 다르지 않은 부분들도 있다. 결국 모두 같은 인간일 뿐이다.
한 사람을 구성하는 요소에서 무언가를 제외한다면 그 사람은 이전의 그와 같을 수 있을까? 그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밖에 없다. '정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그 사람을 이전과 다른 사람이 되게 하는 게 더 나은 일일까?
최근에 읽는 SF들은 기술 발달이 항상 긍정적인 효과만 가져오는 건 아님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아주 감정적인 부분들을 건드리기 때문에 더 효과적이다.
그만큼 기술을 활용하는 데 있어 여러 관점에서 많은 고민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