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에는 에밀 졸라를 읽기로 했다.
되돌아보면 나는 여름에 책을 많이 읽었던 것 같다. 무더운 날에 어디 나갈 궁리도 못하고 그러니 집안에 틀어 박혀 책을 읽었던 걸까. 어려서는 비오는 날을 참 좋아했었는데 이제 나이가 드니 비고 눈이고 다 싫고, 사시사철 쨍쨍했으면 좋겠다.
문득 집에 읽지 않은 에밀 졸라의 책들이 많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고 이번 여름의 작가로는 에밀 졸라를 내 마음대로 선정했다. 이제 부리나케 달려볼 생각이다.
나의 목표는 에밀 졸라의 대표작이라는 흩어진 루공 마카르 전서다. 물론 국내에 루공 마카르 총서 20편이 모두 번역되어 있을 리가 없겠지. 그래도 일단 나와 있는 책들부터 하나씩 컬렉션해서 읽을 생각이다. 아직까지 에밀 졸라를 읽은 게 하나도 없다니 좀 부끄럽군 그래. 영화 박쥐의 모티프를 제공했다는 <테레즈 라캥>은 읽지 않았나? 리뷰가 없어서 알 수가 없다. 물론 책은 가지고 있긴 한데, 리뷰가 없으니 읽었는지 안 읽었는지 알 수가 없다. 이래서 기록을 위해서라도 리뷰를 써야 한다니깐 그래.

내가 에밀 졸라를 읽게 된 이유 중의 하나는 올해 하반기에 창비에서 출간 예정이라는 루공 마카르 총서 중의 한 권에 대한 글을 읽은 덕분이다. 알라딘에서 봤는데, 지금은 찾을 수가 없네 그래. <살림>인지 무슨 살이 어쩌구가 아니었나.

여튼 일단 집에 쟁여둔 <작품>부터 집어 들었다. 이 책 때문에 수십년 지기 폴 세잔과 손절을 했다는 점이 흥미를 유발한다. 그 다음에는 7월 들어 산 첫 책들인 <꿈>과 <돈> 중에서 오늘 새벽에 <꿈>을 조금 읽었다.
그 외에도 문동에서 나온 <제르미날>, <나나>, <목로 주점> 그리고 시공사에서 나온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도 소장하고 있다. 다만 <목로 주점> 2권하고 <여인들의 행복 백화점>은 바로 보이지 않는다. 뭐 어딘가에 있겠지.
<작품>도 그렇지만 <꿈>도 소설의 시작이 비범하기 짝이 없다. 그런데 그 작품 모두 왠지 ‘구원’ 혹은 ‘구조’라는 주제가 엿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기는 <작품>부터 시작했는데 순전히 책이 상대적으로 얇다는 이유로 <꿈>부터 읽어야지 싶다.
주인공 마리 앙젤리크는 과연 제2제정 시대의 아이라고 무방할 것 같다. 괴제 나폴레옹 3세가 공화정 대통령이던 시절인 1851년에 태어나 소설의 출발점이 되던 1860년 9살의 나이로 보몽의 사제복 제조 장인 위베르가의 업둥이로 들어가게 된다. 19세기 중반 여전히 장인-도제 시스템이 가동하던 근대 프랑스에서 가업을 이을 노동력을 가진 인원은 필수적이었다. 그렇게 근본을 알 수 없는 업둥이 앙젤리크는 위베르가의 수양딸이자 도제가 된다.
다른 루공 마카르 총서에서 어떤 주제를 다루는지 모르겠지만 16편 <꿈>에서는 왠지 종교가 주제가 되지 않을까 싶다. 역시 스타트는 <작품>에서와 같이 일종의 구원으로 시작한다. 오갈 곳 없는 고아 소녀 앙젤리크는 위베르가의 마음씨 좋은 인사들을 만나 기아와 추위에서 일단 해방되지 않았던가. 다만, 그들은 보수주의자답게 앙젤리크에게 정식 교육 대신 읽고 쓰기 그리고 간단한 사칙연산 정도만 가르친다. 그리고 앙젤리크는 자신이 찾아낸 성인전을 읽으면서 종교계에 입문하게 된다. 그녀가 만난 <황금빛 전설>에 나오는 숱한 성녀들과 순교자들의 일대기는 아마 비종교인이라면 SF 판타지 같은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잠깐 들었다.
순식간에 초반을 읽었는데 무척이나 흥미진진하구나. 주말에 내달려봐야겠다.
괴제 나폴레옹 3세가 프랑스를 통치하던 제2제정 시대를 문학적으로 다루었다는 20편의 루공 마카르 총서의 방대함에 그저 놀랄 따름이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에밀 졸라는 이 총서 하나만으로도 문학사에 길이 남을 만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남은 시리즈들도 출판사는 어디건 상관이 없으니 계속해서 출간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달의 기대작]

은행나무에서 7월 16일에 출간 예정이라는 치고지에 오비오마 작가의 데뷔작 <어부들>이다. 지금 네이버에서 출간 전 연재를 하고 있는데 역시나 나는 읽지 않을 생각이다. 예전에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의 안 좋은 기억 때문에.
한동안 인도 문학이 세계 문학계를 주름 잡았었는데 이제 다시 나이지리아로 그 축이 이동하지 않았나 싶다. 이 책하고 안토니우 로부 안투네스의 <세상의 끝>은 이달에 살 책 목록에 담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