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이지만 절대적인 스포츠 속 수학 지식 100 일상적이지만 절대적인 수학 지식 100 시리즈
존 D. 배로 지음, 박유진 옮김 / 동아엠앤비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6 리우 올림픽이 지난 주 개막하면서 아마도 우리나라 선수들의 열전에 많은 국민들이 밤잠을 설쳐가며 응원을 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더욱이 최근에는 연일 폭염이 이어지면서 올림픽 방송 시청과 함께 맞물려 정말 좀비처럼 변해가는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밤잠 이루기 힘든 나날일 것이다.

 

올림픽의 경우에는 프로보다는 아마추어의 향연이라고 봐도 좋고 4년마다 열리는 많은 종목의 스포츠가 중계되다보니 일반 시청자의 경우 우리나라 선수의 출전 경기를 볼 때 경기 방식이나 규칙, 명칭들을 몰라도 선수출신 해설위원의 생생한 정보 전달에 시청에 어려움이 없을텐데 이런 다양한 스포츠들을 올림픽 때만이 아니라 평소 접하면서 어떤 특정적인 궁금증을 느끼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왠지 궁금하고, 그래서 묻고 싶지만 어디에 묻기도 뭣한 질문들. 그러한 질문들을 한 권의 책에 모았고 상세한 질문들을 과학적이면서도 수학적 원리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일상적이지만 절대적인 스포츠 속 수학 지식 100』이 되겠다.

 

아무래도 올림픽 기간을 맞아 지금 읽기에 딱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내용 구성면에서 적합한데 예를 들면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로 불리는 우사인 볼트의 세계 기록 경신과 관련한 이야기, 가히 세계 최강이라 불리는 우리나라 양궁 선수들을 떠올리게 하는 그들처럼 활을 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올림픽을 앞두고 벌어진 러시아 선수단의 대규모 도핑 파문과 관련해 읽어 볼만한 내용인 약물 복용 판단에 대한 이야기 등이 소개된다.

 

그중 선수들의 노력에 대한 보상이나 다름없는 금메달과 관련한 이야기를 보면 흥미로운 금메달의 역사를 읽을 수 있다. 모든 선수들의 꿈이나 다름없는 금메달이지만 사실 고대 그리스 올림픽 대회에는 메달이 없었고 대신 각 종목의 우승자만이 올리브관을 받았다고 한다.

 

지금처럼 메달이 나온 것은 1896년 부활된 올림픽 대회 때로 이 당시에는 우승자가 은메달, 준우승자가 동메달을 받았다니 신기하다. 이후 컵 등의 기념품만 주기도 하다가 1904년에는 순금 매달을 주기도 했었지만 1912년 이후 순금을 사라졌다고 한다.

 

금메달은 각 주최국에서 디자인을 하지만 1928년부터 1968년까지는 양면에 똑같은 무늬가 들어갔었다고 한다. 그러나 1972년부터는 주최국이 저 나름의 디자인을 선보였고 그중 벤쿠버 동계올림픽 메달은 친환경적이라는 이유로, 런던 올림픽의 금메달은 하계 올림픽 사상 가장 컸다는 점에서 주목받기도 했다.

 

이처럼 책은 해당 질문에 대해서는 상당히 자세히 설명을 해주는데 일반인들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는 내용도 있는 반면 수학적 원리가 등장하면 사실 마냥 쉽다고는 할 수 없는 내용도 등장한다. 하지만 설명을 위해서는 필요한 부분일 것이며 책 전체적인 내용을 볼 때 지금 아니면 언제 읽을까 싶을 정도로 올림픽 시기에 잘 맞춰서 출간된 책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